•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development support

검색결과 218건 처리시간 0.029초

중국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진로적응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on Chinese College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 : Based on the Mediating Role of Career Adaptability-)

  • 유륜륜;고정;왕수양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389-399
    • /
    • 2023
  • 요즘에는 중국 대학생들의 창업 의지가 동기부여 행동의 초점이 되고 있지만 기존의 선행연구들은 사회적 지지가 중국 대학생의 창업의지에 실제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 연구는 드물다. 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 대학생들의 창업 의지를 증진시키고, 사회적 지지와 창업 의지 사이의 관계에서 진로적응성의 매개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중국에서 민영 경제 1위인 저장성(浙江省)은 강력한 경제 발전 동력과 혁신적인 창업 분위기를 갖추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저장성 소재 4년제 대학교의 3-4학년 대학생 194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여 사회적 지지, 진로적응성, 창업의지 척도를 활용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측정 변수 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SPSS26과 Stata17SEM builder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정량화 및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사회적 지지가 창업의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진로적응성과 각종 하위변수를 통해 간접적으로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는 진로적응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진로적응성은 창업의지에 긍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의 창업교육과 진로적응성 등 관련하여 이론적 및 실무적인 시사점과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대학생 진로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 김현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251-262
    • /
    • 2018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도, 충청도에 소재한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673명에게 진로결정 여부와 진로 관련 변인들의 영향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결정 집단과 진로미결정 집단 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집단 간 차이 검증을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 성별은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오는 변인이 아니었다. 둘째,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는데, 학년, 전공만족도, 진로개발역량은 대학생의 진로결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으나, 학업성취도, 대학생활적응, 진로적응성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아니었다. 그 효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고학년이 저학년보다 진로를 결정할 확률이 2배 이상 컸으며, 전공만족도가 1단위 증가하는 경우 진로를 결정할 확률이 1.9배 커졌고 진로개발역량이 1단위 증가하는 경우 진로를 결정할 확률이 5.1배 커졌다. 이러한 결과들은 대학생의 진로결정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전공만족도를 높이고 진로개발역량을 증진 시킬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의과대학생을 위한 체제적 진로상담 모델과 전략 (A Systematic Career Advising Model and Strategies for Medical Students)

  • 이영희
    • 의학교육논단
    • /
    • 제24권3호
    • /
    • pp.193-204
    • /
    • 2022
  • One of the important roles of medical schools is to support medical students in deciding upon their future career path or choosing their special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career advising model and strategies for medical students through a systematic approach.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parts. The first part introduces some main career theories: super's career development theory, career decision-making theory,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and ecosystem theory. The second part proposes a systematic career advising model using the results acquired from previous studies and theories. This model considers a medical school as a social system that consists of two domains (internal and external). This social system is considered as a complex where various factors interact with each other: students'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stitutional policies and culture, curriculum and learning experience, students' perceived specialty characteristics, and aspects of the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healthcare systems. The third part suggests some career advising strategies based on a systematic approach that medical schools can apply. These research results can be used for designing career advising courses for medical students, integrating various career advising programs and resources of medical schools, and evaluating the outcomes of career advising programs at an institutional level.

농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원, 지각된 유용성이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areer Decision on Perceived Usability,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t Agricultural High School Student)

  • 유병민;박혜진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2권4호
    • /
    • pp.445-454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influence between the variables affecting the Agricultural high school students in career deci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self-efficacy(${\beta}=.14$, p=.000), perceived usefulness(${\beta}=.52$, p=.000) and social support(${\beta}=.31$, p=.000)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according to career decision of agricultural high school student the result of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 all regression coefficients were positive. second, perceived usefulness(${\beta}=.52$) was found on the most influential of the three variables. Finally, when students perform studies related to agro-industry can be called self-efficacy are important factors. also The real working environment for the agro-industrial field placement, explore the world of work, ways of understanding reality based on what they learned at school such as university-industry linkage will also be established.

치위생 전공 학생들의 셀프리더십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elf-leadership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dental hygiene student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민경혜;도유정;민희홍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25-533
    • /
    • 2020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acilitate improvements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development of dental hygiene students by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dental hygiene students.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by 190 dental hygiene students between August 20 to October 31, 2019.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0.0.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the Scheffe posthoc test, and the Pearson correlation results were reviewed,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s: Self-leadership,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ere scored 3.29, 3.36, and 2.91 points, respectively. The variables that influence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ere the motion of major select and self-leadership. These factors had 30.5% of variance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Conclusions: Institutional support, including counseling and leadership education by professors and students, is needed in schools to improve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students majoring in dental hygiene.

관계적 및 학교적응 요인이 중학생의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The Study on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related to Relational and School Adjustment Variables)

  • 오정아;남부현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1권2호
    • /
    • pp.185-209
    • /
    • 2014
  • 본 연구는 충청지역의 광역시와 군소도시에 거주하는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태도성숙의 하위요인(결정성, 목적성, 확신성, 준비성, 독립성)들이 관계적 요인(부모, 교사, 친구)과 학교적응 요인(학교생활, 수업, 환경)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550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520부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 중 467부를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이들의 진로태도성숙과 관계적 학교적응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와 단순회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주요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태도성숙과 관계적 및 학교적응 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친구관계가 진로준비성과 독립성에 그리고 학교생활과 수업이 진로준비성에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관계적 요인이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살펴본 결과, 친구관계가 진로준비성과 독립성에서는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이 밝혀졌고 부모와 교사관계는 진로결정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학생들에게 친구요인이 중요함을 다시 한 번 확인한 결과이다. 셋째, 학교적응 요인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학교생활이 중학생의 진로결정성과 준비성 그리고 독립성에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중학생의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주변인은 친구이며 학교생활이 이들의 진로준비성과 독립성 성숙에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 번 확인하였다. 이 결과들을 토대로 학교 내 진로교육 강화, 동아리 활동, 그리고 진로교육연수를 통한 교사의 적극적인 지도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경력정체성에 대한 개발지원관계망 특성과 개발지원기능의 효과 분석 (The effects of developmental network characteristics and develomental functions on career identity)

  • 장지현
    • 지식경영연구
    • /
    • 제17권3호
    • /
    • pp.23-44
    • /
    • 2016
  • This study examined the cause-and-effect relationships among developmental network characteristics, developmental functions, and career identity. The study analyzed the data of employees with more than two years of experience and a college degree or over qualifications, from domestic companies. For analysi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pplied. Most of all, it was substantiated that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developmental network characteristics, developmental functions, and career identity. The specific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ie strength had a positive effect on all of developmental functions but psychosocial suppor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ie strength and career identity. Second, an indirect relationship between indicators of network diversity and identity was not found or the indirect relationship was very weak.

지역사회복지관을 이용하는 빈곤가정 부모의 청소년자녀 진로지원경험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Experience of Parents Who Use Community Welfare Center Supporting Their Children's Career in the Underprivileged Families)

  • 김경희;박주혜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60호
    • /
    • pp.101-13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빈곤가정에서 청소년 자녀를 양육하고 진로를 지원하는 과정에서의 역할과노력, 어려움과 과제를 탐색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의 11개 지역사회복지관을 이용하고있는 빈곤가정 부모를 대상으로 초점집단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에 대한 주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자녀의 진로지원 과정에서 부모가 겪는 어려움, 자녀의 진로지원을위한 부모의 노력, 도움이 된 사회적 지원과 앞으로의 과제들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자녀를 둔 빈곤가정에서 자녀의 진로를 지원하는데 도움이 될 수있는 가족중심 실천과제와 지역사회복지관의 역할에 대해 제언하였다.

국가기술자격취득자들의 경력개발에 대한 인식조사 (The Perception Research on the Career Development of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NTQ) Acquisitors)

  • 이연복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147-156
    • /
    • 2010
  • 본 연구는 국가기술자격취득자들의 경력개발에 대한 인식을 조사 연구한 것으로 조사결과는 ${\bullet}$ 자격취득자들은 취득한 자격과 관련된 직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미래에도 취득한 자격과 관련된 직업에 종사하기를 원하고 있다. 또한, 취득자격등급이 높을수록 취득자격과 동일하거나 관련된 직업을 더욱 선호하고 있었다. ${\bullet}$ 자격취득자들은 자신의 경력개발에 대하여 많은 필요성을 느끼고 있으나 직장에서 경력개발을 일부라도 지원받고 있는 자격취득자는 45.4%이며 이 또한 교육훈련에 국한되어 있다. ${\bullet}$ 자격취득자들은 기술변화에 민감하고, 이에 대처하기 위하여 새로운 기술이나 지식의 습득, 전문가 집단과의 연계를 원하고 있으며 자신의 경력을 인정받을 수 있는 상위 자격취득 정보와 교육훈련을 원하고 있다. ${\bullet}$ 이러한 경력개발 및 관리를 체계적으로 제공해 주는 것이 자격취득자 배출기관인 공단의 역할이라고 응답하였다. 끝으로 자격취득자들에 대한 경력개발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일반 기업 등에서 운영하고 있는 경력개발 프로그램에서 조직이 담당하여야 할 부분을 자격취득자 배출기관에서 담당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하여야 한다는 제언으로 본 연구를 마친다.

  • PDF

생애주기에 따른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 지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pport for the Re-employment of Women with Career Break in Life Cycle)

  • 배나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268-275
    • /
    • 2018
  • 본 연구는 여성의 생애주기에 따른 재취업에 필요한 사항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경력단절 여성의 욕구에 보다 적합한 재취업 지원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는 현재 대전에 거주하는 미취업자인 여성으로 연구조사는 문화센터, 여성인력개발센터 등의 협조를 받아 취창업관련 교육을 받고 있는 여성 5명을 선정하여 질적조사를 실시 하였다. 자료 수집기간은 2017년 10월부터 12월까지 3개월 동안이었으며, 심층인터뷰(In Depth Interview)로 진행되었다. 인터뷰 과정에서 발생하는 새로운 내용을 적극적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반구조화된 개방형 질문지(Open-Ended Interview)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경력단절 여성을 위한 지원정책은 무엇보다 현재 취업중인 여성들이 결혼과 출산, 육아로 인해 직장을 그만두지 않도록 하는 경력유지를 위한 지원이 우선되어야 한다. 그리고 경력이 단절된 여성들이 노동시장으로 단기간내에 진입할 수 있도록 관련제도를 정비하고,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실시 할 필요성도 제기 된다. 이를 위해서는 여성의 생애주기에 따른 영향요인을 이해하고, 여성들의 경제활동을 지원하기 위해서 경력계획을 수립하여 지원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