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danol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4초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cardanol based eco-friendly flame-retardant adhesive for building construction

  • Sang-Bum KIM;Sang-Ho CHA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1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1274-1274
    • /
    • 2024
  • Herein, the cardanol-based flame retardant containing epoxide group to form the chemical bond with hydroxyl group in wood substrate was synthesized. It was confirmed that this cardanol based derivative can replace bisphenol A diglycidyl ether monomer in the epoxy-amine crosslinking reaction, and flame retardancy and adhesion property were investigated for the application of building construction.

천연오일로부터 내화학성이 향상된 에폭시계 수지용 반응성 희석제의 제조 : CCD-RSM을 이용한 최적화 (Production of Reactive Diluent for Epoxy Resin with High Chemical Resistance from Natural Oil : Optimization Using CCD-RSM)

  • 유봉호;장현식;이승범
    • 공업화학
    • /
    • 제31권2호
    • /
    • pp.147-15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천연오일인 cashew nut shell liquid (CNSL)의 구성성분인 cardanol을 이용하여 내화학성이 향상된 에폭시계 수지용 반응성 희석제 제조 공정을 최적화하였다. 이를 위해 반응표면분석법 중 중심합성계획법을 이용하여 최적화과정를 설계하였다. 계량인자로는 cardanol/ECH 반응몰비, 반응시간, 반응온도이고, 반응치는 수율, 에폭시 당량(EEW), 점도이다. 기초실험으로부터 계량인자 범위를 각각 cardanol/ECH 반응몰비(2~4), 반응시간(4~8 h), 반응온도(100~140 ℃)로 설정한 후 최적화과정을 진행한 결과 최적의 조건은 cardanol/ECH 반응몰비(3.33), 반응시간(6.18 h), 반응온도(120 ℃)로 산출되었으며, 이 조건에서의 예측값은 수율(100%), EEW (429.89 g/eq.), 점도(41.65 cP)로 나타났다. 실제 실험을 통해 알아본 결과 오차율은 0.3% 이하로 나타나 중심합성계획모델을 이용하여 cardanol 원료 반응성 희석제의 제조 공정을 최적화할 수 있었다.

우루시올과 카다놀을 이용한 항균성 폴리우레탄 폼의 합성에 관한 연구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microbial Polyurethane Foam Modified by Urushiol and Cardanol)

  • 김상범;강성구;조일성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3권2호
    • /
    • pp.124-132
    • /
    • 2008
  • 항균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우루시올과 카다놀을 폴리우레탄 제조시 첨가하여 항균 기능을 갖는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하였다. 이 항균 첨가물이 MDI와 화학 반응하여 폴리우레탄 합성에 참여한다는 것을 FT-IR을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우루시올과 카다놀을 첨가하여 제조된 폴리우레탄 폼의 물성 변화는 없었으며 우루시올과 카다놀로 각각 공중합된 폴리우레탄폼의 열적 안정성이 항균물질 미처리된 폼 보다 향상된 것을 TGA를 이용하여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대장균을 균주로 이용하여 항균테스트를 실시한 결과 균 감소율이 99%까지 나타났으며 이러한 항균성이 지속적임을 알 수 있었다.

알지네이트-폴리비닐알콜 블랜드 항균 필름 제조를 위한 카다놀 함량의 영향 (Effect of Cardanol Content on the Antibacterial Films Derived from Alginate-PVA Blended Matrix)

  • 안희주;강경수;송윤하;이다해;김문호;이재경;우희철
    • 청정기술
    • /
    • 제28권1호
    • /
    • pp.24-31
    • /
    • 2022
  • 오늘날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고 있는 석유계 플라스틱은 지구 환경 및 생태계에 큰 위협을 주는 존재로서 이를 대체하기 위한 방안을 찾기 위해 범세계적으로 각 분야에서 많은 노력이 가해지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생분해성 특성을 지닌 해양 바이오매스 유래 알지네이트에 석유계 기반의 폴리비닐알콜(Poly vinyl alcohol; PVA)을 10 wt% 혼합하여 알지네이트 기반 폴리비닐알콜 블렌드 필름(alginate-based PVA blend films)을 수용액상으로부터 캐스팅하여 제조하였다. 가교제로는 글루타르알데히드가 사용되었으며, 필름에 항균성을 부여하고자 캐슈넛껍질액으로부터 추출된 알킬 페놀계 바이오오일인 카다놀(cardanol) 성분을 0.1 ~ 2.0 wt% 범위로 첨가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블렌드 필름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푸리에변환 적외선 분광법(FTIR), 열중량분석(TGA), 인장강도, 팽윤도 및 항균성 등을 측정하였다. FTIR과 열중량분석, 인장강도 결과들은 주성분인 알지네이트에 PVA가 하나의 매트릭스 상을 이루며 잘 분산되어 있음을 보여주었고, 특히, 단일 성분일 때 약점으로 알려진 알지네이트의 취성(brittle)과 PVA의 약한 열적 내구성이 블렌드를 이루면서 PVA와 알지네이트 기능기들의 가교 및 수소결합으로 인하여 열적, 기계적인 물성들이 향상됨을 보였다. 카다놀 성분의 첨가는 황색포도상구균과 대장균에 대한 항균성을 크게 향상시켜 60 min 접촉시간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의 사멸율은 98% 이상이고, 대장균의 경우 약 70%의 우수한 향균 성능을 나타냈다. 알지네이트-PVA 블렌드에 대한 최적 항균성은 카다놀이 0.1 ~ 0.5 wt% 범위이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볼 때, 카다놀을 함유한 알지네이트-PVA 블렌드 필름은 식품 포장제 및 여러 항균소재로서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벤토나이트를 첨가한 카제인나트륨 기반 코팅지 제조 및 특성 연구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odium Caseinate Coated Papers with Bentonite)

  • 황지현;이정현;정제영;심진기;김도완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3-49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CasNa/CL의 물리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BN을 충진제로 활용하여 CasNa/CL/BN코팅제 및 코팅지들을 제조하였다. BN의 함량변화에 따라 제조한 CasNa/CL코팅지와 CasNa/CL/BN코팅지들의 화학적 및 형태학적 특성을 분석하였고, 기계적강도, 수증기차단특성, 표면특성, 항산화특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포장소재로써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SEM분석결과, CasNa/CL코팅지 표면에서 핀홀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BN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핀홀 현상은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고 표면거칠기는 증가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BN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CasNa/CL/BN코팅지들의 연신률 및 수증기차단성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BN함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CasNa/CL/BN코팅지들의 항산화특성은 CasNa/CL코팅지와 유사한 경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자연유래소재인 CasNa, CL 및 BN을 활용한 코팅지의 경우 친환경 포장소재로써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지만, CL 및 BN과 CasNa와의 혼화성 및 분산성 개선 방안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우루시올 및 우루시올 유도체의 항균 활성 (Antimicrobial Activities of Urushiol and Urushiol Derivatives)

  • 김진철;안정근;고수영;최영훈;김도현;이태용
    • 청정기술
    • /
    • 제13권1호
    • /
    • pp.22-27
    • /
    • 2007
  • 옻은 전통적으로 옻칠로서 사용되었으며, 최근 많은 연구를 통하여 과학적으로 그 내구성, 항균성들이 밝혀졌기 때문에 본 연구진은 옻이 최근 대두되고 있는 친환경적 방오도료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옻의 주성분인 urushiol을 화학적으로 합성하고, 그 유도체들과 함께 어느 정도의 항균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본 연구진은 합성된 urushiol이 뛰어난 항진균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고, 항균효과 측면에서는 그람양성균에는 좋은 효과를 보인 반면 그람음성균에서는 큰 효과를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urushiol과 그 유도체들의 항균력은 균주에 따라 서로 다른 특이적 항균성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Propolis from the Stingless Bee Trigona incisa from East Kalimantan, Indonesia, Induces In Vitro Cytotoxicity and Apoptosis in Cancer Cell lines

  • Kustiawan, Paula M;Phuwapraisirisan, Preecha;Puthong, Songchan;Palaga, Tanapat;Arung, Enos T;Chanchao, Chanpe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5호
    • /
    • pp.6581-6589
    • /
    • 2015
  • Background: Previously, stingless bee (Trigona spp.) products from East Kalimantan, Indonesia, were successfully screened for in vitro antiproliferative activity against human cancer derived cell lines. It was established that propolis from T. incisa presented the highest in vitro cytotoxicity against the SW620 colon cancer cell line (6% cell survival in $20{\mu}g/mL$). Materials and Methods: Propolis from T. incisa was extracted with methanol and further partitioned with n-hexane, ethyl acetate and methanol. The in vitro cytotoxicity of the extracts was assessed by the MTT assay against human colon (SW620), liver (Hep-G2), gastric (KATO-III), lung (Chago) and breast (BT474) cancer derived cell lines. The active fractions were further enriched by silica gel quick column, absorption and size exclusion chromatography. The purity of each fraction was checked by thin layer chromatography. Cytotoxicity in BT-474 cells induced by cardanol compared to doxorubicin were evaluated by MTT assay, induction of cell cycle arrest and cell death by flow cytometric analysis of propidium iodide and annexin-V stained cells. Results: A cardol isomer was found to be the major compound in one active fraction (F45) of T. incisa propolis, with a cytotoxicity against the SW620 ($IC_{50}$ of $4.51{\pm}0.76{\mu}g/mL$), KATO-III (IC50 of $6.06{\pm}0.39{\mu}g/mL$), Hep-G2 ($IC_{50}$ of $0.71{\pm}0.22{\mu}g/mL$), Chago I ($IC_{50}$ of $0.81{\pm}0.18{\mu}g/mL$) and BT474 (IC50 of $4.28{\pm}0.14{\mu}g/mL$) cell lines. Early apoptosis (programmed cell death) of SW620 cells was induced by the cardol containing F45 fraction at the $IC_{50}$ and $IC_{80}$ concentrations, respectively, within 2-6 h of incubation. In addition, the F45 fraction induced cell cycle arrest at the G1 subphase. Conclusions: Indonesian stingless bee (T. incisa) propolis had moderately potent in vitro anticancer activity on human cancer derived cell lines. Cardol or 5-pentadecyl resorcinol was identified as a major active compound and induced apoptosis in SW620 cells in an early period (${\leq}6h$) and cell cycle arrest at the G1 subphase. Thus, cardol is a potential candidate for cancer chemotherap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