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bonated water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33초

흰쥐의 적출소장을 통한 물의 흡수에 관한 연구 (The Absorption of Water from the Isolated Small Intestine of the Rat)

  • 김종국;이범진
    • 약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94-197
    • /
    • 1988
  • We measured the rate of water transfer across the isolated small intestine of the rat in Wiseman apparatus using tritiated water ($^3H_2O$) in drinking beverages such as electrolytes solution, fruit juice, carbonated water and barley water. Initial transfer rate of water using four beverages were determined: Electrolytes solution is the fastest and followed by barley water, carbonated water and fruit juice.

  • PDF

국내 시판 탄산수가 의치상용 레진의 표면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ommercially available carbonated water on the surface of denture based resin)

  • 김희경;김명은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703-710
    • /
    • 2021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influence of commercially available carbonated water on denture resin by confirming the changes in the denture surface and adhesion of bacteria. Methods: Carbonated water available in the domestic market was used on specimens made of prosthetic resins. The top four products with respect to sales performance was deposited for 30 min, 24 h, and 48 h over the study groups and over one control group. The surface roughness was measured. Candida albicans was inoculated and cultured over these dentures at 37℃ on the study groups of 1 h, 24 h, and 48 h, and the number of colonies formed was measured. Result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surface roughness between groups by immersion time,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confirmed at 48 hours. The Trevi group showed a larger Rz than the Samdasoo group.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surface roughness by time in each group,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hown in the Ra value of the Seagram and the Rz value of the Chojung sparkling water (p<0.05). The Ra value of the Seagram was higher for 48 h than for 30 min, and the Rz value of the Chojung sparkling water was higher at 48 h than at 30 min (p<0.05). Candida albicans concentration increased over the course of immersion. Conclusions: It was confirmed that longer the specimen of the denture resin was immersed in carbonated water, more the surface roughness was affected and higher the number of attached bacteria.

시판 탄산수에 의한 우치 법랑질 침식과 침착 효과 (The Effect of Carbonated Water on Bovine Enamel Erosion and Plaque Adhesion)

  • 임도선;반유희;민영은;박진주;유예진;인소라;주현지;정선영;황영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37-444
    • /
    • 2015
  • 본 연구는 시판중인 국내외 제조 플레인 탄산수 5종을 선정하여 우치 법랑질 침식 및 그에 따른 세균 침착 정도를 확인하였다. 탄산수에 시편을 침지 후 용출된 칼슘 농도를 측정하고, SEM을 이용하여 법랑질 표면의 침식을 관찰하였다. 이 후 S. mutans 균과 S. sorbinus 균이 접종된 배지에 시편을 함께 배양하여 침식된 시편의 세균 침착 정도를 확인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실험에 사용된 탄산수 5종은 수소이온농도가 pH 5.5보다 낮았고, 치아의 탄산수 침지 후 칼슘의 용출이 확인되었다. SEM을 이용한 치면 침식 분석 결과, 칼슘 용출은 탄산수에 의한 법랑질 침식이 원인임을 확인하였고, 두 분석 방법을 통해 인공 탄산수와 광천수간의 뚜렷한 침식 활성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탄산수에 의해 유발된 치아 침식으로 치면 세균 침착이 용이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런 결과들로부터 탄산수 음용 시 치아 침식이 유발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구강 내 세균 침착이 가중될 수 있으므로, 탄산수 음용 시 치아 침식 가능성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이 필요하며, 탄산수를 물 대체음료 정도로 생각하기보다는 무가당 콜라와 같은 탄산음료에 준하는 범주로 포괄하여 음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DNCB로 아토피가 유도된 NC/Nga생쥐에서 천연 탄산 온천수의 온도별 항아토피 효과 (The anti-atopic effect of natural carbonated hot spring water on DNCB-induced NC/Nga mice under different temperature)

  • 고가연;박정환;장순우;김윤하;박정미;안택원
    • 혜화의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9-132
    • /
    • 2016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atural carbonated hot spring water (NCHW) on DNCB-induced NC/Nga mice, an atopic dermatitis (AD) model. Methods :At first, NC/Nga mice were prepared and induced to have atopic lesion on their back skin by dinitrochlorobenzene (DNCB). They swam for 20 minutes everyday in tanks where the one is filled with $28^{\circ}C$ NCHW, the other is with $25^{\circ}C$ carbonated hot spring water and another is with artificial carbonated hot spring water (ACHW). After 3 weeks, We assessed the skin clinical score and macroscopic appearance, total IgE, IgG1 levels, WBC differential counting, IFN-${\gamma}$, IL-4, IL-13, TNF-${\alpha}$ production levels and histological changes. Results : There are meaningful results of improving atopic lesion-state by relieving the count of total IgE, IgG1 levels, WBC differential counting, IFN-${\gamma}$, IL-4, IL-13, TNF-${\alpha}$ production levels and recovering skin clinical score in the group with $28^{\circ}C$ NCHW in comparison with the other groups. Conclusions : The NCHW may have potential as an effective treatment for atopic dermatitis.

자당 및 탄산음료 섭취 후 생성되는 구강 내 치아우식 유발성 유기산의 농도 차이 (The concentration differences of dental caries induced organic acids which are produced after intake of sucrose and carbonated drinks)

  • 박정은;장종화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81-394
    • /
    • 2017
  •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valuate carbonated drinks induced dental caries with qualitative analysis and to compare with oral organic acids including lactate, acetate, propionate, formate, butyrate, pyruvate and valerate which cause caries when taking either 10% sucrose drinks or carbonated drinks. Methods: Saliva was collected from six study subjects before and after (start, 5, 10, 30 minutes) taking water intake upon (A) 10% sucrose intake, (B) 10% sucrose intake, and (C) carbonated drink intake, then they were centrifuged at 1,200 rpm followed by removing bacteria and enzymes with syringe filtering, performing a qualitative analysis with HPLC conductivity detection (GP50 gradient pump, ED 50 detector) after saliva pre-treatment under isocratic 100 mM NaOH mobile phase. Results: Higher risk of dental caries was evaluated in order of C>B>A, with the results of total oral organic acids' concentration, lactates of organic acids and organic acids produced after 5 minutes from the 3 types of drinks intake. Conclusions: Carbonated beverages were estimated to develop higher dental caries induction than beverages containing 10% sucrose because of the high organic acid concentration in the mouth after its intake.

물의 종류를 달리한 동치미의 경도 변화 및 세포벽 관찰 (The Changes of Hardness and Microstructure of Dongchimi according to different kinds of water)

  • 심영현;안기정;김지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86-94
    • /
    • 2004
  • 물의 종류를 달리한 동치미의 발효숙성 중 미세구조관찰을 조사하기 위해 담금액의 종류를 증류수, 정수, 광천수 처리구로 달리해 1$0^{\circ}C$에서 46일간 저장하면서 pH변화, 총산변화, 염도 변화, 탁도 변화, 조직감 변화 및 세포벽관찰을 조사하였다. 전체적으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pH는 점차로 낮아지다 숙성 12일부터 완만하게 변화하고 총산도 변화는 광천수 처리구의 경우 다른 처리구와는 다르게 적숙 도달시점인 0.3-0.4범위$^{26)}$에 가장 늦게 도달 하여 적숙산도 범위가 숙성말기까지 지속되었다. 또한 동치미의 침지액의 소금농도는 담금 직후 3%에서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다 각 처리구별 숙성 12-25일에 평형상태에 도달했다. 동치미의 침지액의 탁도 변화는 숙성초기엔 미생물이 증식이 없기 때문에 숙성기간별 염도와 상관관계가 있어 숙성 12일까지는 광천수 처리구의 경우 다른 처리구에 비해 높게 나타나다 발효말기에 다시 증가하였다. 동치미 무의 조직감 변화는 각 처리구별 숙성 25일에 최대 절단력을 나타내다 점차 감소하였으며 광천수 처리구의 경우 담금 직후인 0일에 비해 최대 절단력이 2.7배 증가하여 세 처리구 중 가장 높았다. Ca변화에서 동치미 침지액의 Ca변화는 숙성초기에 광천수 처리구의 Ca함량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광천수 처리구의 물 자체의 Ca함량이 높았기 때문에 영향을 주었으리라 여겨지며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Ca함량이 증가하다 숙성25일에 최대치를 보였다. 정수 처리구의 침지액과 무의 Ca변화는 숙성초기에 광천수 처리구보다는 낮게, 증류수보다는 높게 나타나다 숙성 9-15일에는 증류수가 약간 높게 나타났다. Mg변화는 침지액에서 전 처리구에서 숙성초기부터 점차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광천수처리구가 숙성 4-25일에 증가하였는데 이는 광천수의 $Ca^{2+}$, $Mg^{2+}$ 와 같은 양이온이 존재하여 펙틴질에 영향을 주어무 조직을 단단하게 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세포벽 관찰에서는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중엽(Middle lamella)과 세포막 붕괴현상이 현저해짐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물의 종류를 달리한 동치미의 경우 광천수 처리구에 있어 식물조직에 영향을 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무조직에 있어 펙틴 물질들 사이에 $Ca^{2+}$를 통한 가교형성으로 조직감을 부여함을 알았다. 광천수 처리구는 물자체에 함유된 칼슘과 마그네슘 등의 미네랄성분이 조직감 향상에 관여 될 뿐만 아니라 탄산을 함유한 물 자체의 특성이 발효기간 중 영향을 줌을 알 수 있었다.다.

시판(市販) 음료수(飮料水)가 백서(白鼠) 혈청내(血淸內) 성분(成分)에 미치는 영향(影響) (A Study on the Change of Serum Components in Rats by Feeding the Diet with Soft Drink)

  • 이성동;김창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05-108
    • /
    • 1978
  • This experiment was designed to observe some influence on the serum components in rats by feeding basal diet (Protein contents: 20.0%; lipid contents: 3.5%) with soft water (Water, Carbonated cider, Cola and Fanta). Fourty male Albino rats were used as the experimental animals and the subjects were devided into four feeding group and each group was fed on the corresponding diet for six weeks. The contents of protein, lipid and cholesterol were determined in their serum. The obtained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rotein contents in the serum was decreased by the feeding of the Carbonated cider, Cola and Fanta compared with Water experimental group. 2) The lipid contents in the serum was similar to each feeding experimental group. 3) The total cholesterol and ester form cholesterol in the serum were decreased by the feeding of the Carbonated cider compared with Water, but were similar to the feeding of the Cola and Fanta.

  • PDF

한국인들의 고강도 신체활동(일)과 음료 섭취빈도 간의 관계 (Relation between High-intensity Physical Activity(Work) and Beverage intake Frequency among Korean)

  • 박해령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1호
    • /
    • pp.85-93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에서 고강도 신체활동(일)과 음료수 섭취 빈도와의 관계성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 대상자는 2021년 제8차 국민건강영양조사(KNHANES)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데이터 자료 분석은 집단 간 평균 차이, χ2-test,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p<0.05). 탄산음료는 그룹 중 63.6%가 일주일에 한 번 이하로 섭취하였고, 에너지 드링크는 68.6%가 일주일에 한 번 이하로 섭취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고강도 신체활동(일)을 하는 그룹에서 탄산음료와 에너지 드링크가 더 자주 소비되었으며, 대부분의 음료수가 일주일에 한 번 이하로 섭취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고강도 신체활동(일)을 할 때 탄산음료와 에너지 드링크를 대체할 만큼 건강에 이로운 음료의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며, 음료수 섭취보다는 건강에 이로운 새로운 접근 방식을 탐구하고 건강증진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남한 탄산수의 지구화학적 특성과 안정동위원소 조성 (Geochemistry and Stable Isotopes of Carbonated Waters in South Korea)

  • 윤정아;김규한
    •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16-124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남한에 분포하는 23개의 약수지역을 대상으로 탄산수의 수질 특성과 탄소의 기원을 연구하기 위하여 용존 이온 및 동위원소 분석연구를 수행하였다. 지질 특성별로 분류.비교된 국내 탄산수는 대체로 Ca-HC $O_3$형에 속하며 pH는 5.3~6.3의 범위이다. 탄산수내 대부분은 양이온과 음이온의 농도가 각각 $Ca^{2+}$>$Na^{+}$>M $g^{2+}$>S $i^{4+}$>F $e^{2+}$> $K^{+}$ 와 HC $O_3$$^{-}$>S $O_4$$^{2-}$ >C $l^{-}$의 순이다. 탄산수의 수질 유형은 대체로 Ca-HC $O_3$형에 해당되나 지역별로 다소 차이가 나타나 강원 지역의 선캄브리아기 변성암류 및 쥬라기 화강암지역(GI)의 탄산수는 Ca-HC $O_3$형이 우세하나 전형적인 Na-HC $O_3$형을 보여주는 경우도 있다. 경상 퇴적분지내의 중생대 퇴적암 및 화강암류 지역(GII)의 탄산수는 Ca-HC $O_3$형 내지 Ca(-Mg)-HC $O_3$형이 우세하다. 옥천 변성퇴적암류 및 화강암류 지역(GIII)의 탄산수는 Ca-HC $O_3$내지 Ca(-Na)-HC $O_3$형을 보여준다. 산소 및 수소 동위원소 분석 결과, 탄산수의 기원은 탄산수 지역 부근의 순환수 기원이며 지형 특성에 따라 동위원소 고도 효과 및 위도 효과를 반영하고 있다. 탄산수의 탄산이온의 탄소의 $\delta$$^{13}$C(PDB)값은 -6.2~0.0$\textperthousand$범위이며, 그 기원은 대수층인 지층내 탄산염암 또는 탄산염 광물의 용해에서 유래한 무기기원 탄소로 해석된다.다.

  • PDF

양방향 흐름 팬텀 모델에서 탄산수의 도플러 유체 효과 연구 (Study of Doppler Fluid Effects of Carbonated Water in a Bi-directional Flow Phantom Model)

  • 김지혜;허영철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83-91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양방향 흐름 팬텀 모델에서 탄산수의 도플러 유체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양방향 흐름 팬텀 모델은 동맥과 정맥의 흐름을 구현한 것이며 이중 수조 구조를 통해 유체의 순환이 가능하고 팬텀의 크기를 줄일 수 있게 고안되었다. 사용된 유체는 탄산수, 소금물, 설탕물, 증류수를 이용하였고 수조 표면에서 깊이 1.5 cm, 3.0 cm에서 초음파 B-mode와 컬러 도플러 효과를 이용해 초음파 스캔하였다. 컬러 도플러 효과는 탄산수, 소금물, 설탕물, 증류수 모두 도플러 시프트 효과를 나타냈으나 탄산수의 도플러 시프트 효과가 가장 높았고 깊이에 따른 변화에서도 탄산수의 도플러 시프트 효과 편차가 가장 적었다. 결론적으로 탄산수의 도플러 유체 사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탄산수의 기포가 적혈구의 도플러 반사체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도플러 초음파 팬텀 제작에서 혈액 모방액과 유사한 물질로 탄산수를 이용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며 이에 본 연구가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라 사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