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bon dioxide content

검색결과 298건 처리시간 0.025초

동치미의 발효중 $CO_2$ 발생특성 ($CO_2$ Production in Fermentation of Dongchimi (Pickled Radish Roots, Watery Radish Kimchi))

  • 이동선;이영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1021-1027
    • /
    • 1997
  • $CO_2$production in fermentation of dongchimi was measured and interrelated with changes in pH and titratable acidity. The effects of salt content and temperature on $CO_2$production rate were analysed. Fermentation of dongchimi showed drastic pH decrease in early stage and subsequent levelling off around 3.9, with linearly increased acidity up to 0.3~0.4% optimum quality. $CO_2$production of dongchimi could be analysed to consist of two consecutive stages of constant rate. The first stage $CO_2$production of higher rate moved to the second stage of lower rate when acidity rose beyond 0.3%. When compared to those of 1 and 2% salt content, dongchimi of 3% salt showed lower $CO_2$production rate in the 1st stage and slower acidity change through the whole fermentation period. However, it resulted in the product of highest $CO_2$accumulation at optimal ripeness because of consistent $CO_2$production of longer 1st stage period and relatively high $CO_2$production rate in 2nd stage. $CO_2$production depended on temperature less compared to acidity change(activation energy: 57.3 and 44.3kJ/mol for $CO_2$production of 1st and 2nd stages, respectively; 79.3kJ/mol for acidity change), which means higher ratio of $CO_2$production rate relative to acidity increase at lower temperature. Slower increase in acidity at low temperature also was shown to extend the period of 1st stage $CO_2$production. Therefore, low temperature fermentation was effective in producing the high $CO_2$content dongchimi at adequate acidity, which is desirable organoleptically.

  • PDF

다중분광광학센서를 활용한 농업가뭄의 토양수분-식생-이산화탄소 플럭스 관계 분석 (Assessment of soil moisture-vegetation-carbon flux relationship for agricultural drought using optical multispectral sensor)

  • 서찬양;남원호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6권11호
    • /
    • pp.721-728
    • /
    • 2023
  • 농업적 가뭄이 발생하면 토양의 수분이 감소하여 식생의 광합성 및 성장을 저해한다. 광합성을 통해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가 흡수되며 산소 생산량이 증가하는데, 이러한 광합성에 부정적인 영향이 생긴다면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중분광광학센서인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산출물을 이용하여 토양수분, 식생 활력 및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토양수분의 경우, 기존의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는 낮은 공간 해상도로 제공되는 특징으로 인해 소규모 연구 지역 분석에 한계가 있어서 상대적으로 고해상도인 광학센서를 이용한 토양수분 산정 방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MODIS 총일차생산량(Gross Primary Productivity, GPP) 산출물을 이용하여 식생의 호흡과의 관계식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 플럭스를 계산하였다. 원격탐사 기반의 토양수분, 식생지수와 이산화탄소 플럭스를 국내의 극한 가뭄 발생시기인 2014년과 2015년도에 대하여 지점 관측 자료인 플럭스타워 값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토양수분과 식생지수 사이에는 한 달의 지체시간, 식생지수와 이산화탄소 플럭스 사이에는 2주 지체시간이 발생했을 때,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반탄화목재를 이용한 유해가스 저감형 성형연료의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Harmful Gases Reducing Molded Fuel Using Torrefied Wood)

  • LEE, Chang-Goo;EOM, Chang-Deuk;KIM, Min-Ji;KANG, Seog-Go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5호
    • /
    • pp.732-74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졸참나무를 반탄화 처리 후 성형숯 형태로 제작하여 물성과 연료특성 및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 정량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대조군으로 시중에서 유통 중인 구이용 성형숯을 선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반탄화 시험편의 고위발열량은 구이용 성형숯 보다 약 14% 높았으며, 회분함량은 약 51배 낮았다. 또한, 밀폐된 챔버에서 각각의 시험편을 900 s간 연소시켰을 때 발생되는 유해가스(일산화탄소, 질산화합물, 이산화황)를 정량평가한 결과, 반탄화 시험편에서 발생한 일산화탄소의 발생량의 최대값이 기존 성형숯보다 약 50배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작한 반탄화 시험편이 시중 성형숯보다 고위발열량이 높고 연소과정에서 일산화탄소 발생량이 현저히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용제조시설과 폐기물처리시설에서 발생된 나노폐기물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안전관리방안 제시 (Suggestion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afety Management in the Waste Containing Nanomaterials from Engineered Nano-materials Manufacturing Plants and Waste Treatment Facilities)

  • 김우일;연진모;조나현;김용준;엄남일;김기헌;이영기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지
    • /
    • 제35권7호
    • /
    • pp.670-682
    • /
    • 2018
  • Engineered nanomaterials (ENMs) can be released to humans and the environment through the generation of waste containing engineered nanomaterials (WCNMs) and the use and disposal of nano-products. Nanoparticles can also be introduced intentionally or unintentionally into waste streams. This study examined WCNMs in domestic industries, and target nanomaterials, such as silicon dioxide, titanium oxide, zinc oxide, nano silver, and carbon nanotubes (CNTs), were selected. We tested 48 samples, such as dust, sludge, ash, and by-products from manufacturing facilities and waste treatment facilities. We analyzed leaching and content concentrations for heavy metals and hazardous constituents of the waste. Chemical compositions were also measured by XRD and XRF, and the unique properties of nano-waste were identified by using a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alyzer and TEM. The dust and sludge generated from manufacturing facilities and the use of nanomaterials showed higher concentrations of metals such as lead, arsenic, chromium, barium, and zinc. Oiled cloths from facilities using nano silver revealed high concentrations of copper, and the leaching concentrations of copper and lead in fly ash were higher than those in bottom ash. In XRF measurements at the facilities, we detected compounds such as silicon dioxide, sulfur trioxide, calcium oxide, titanium dioxide, and zinc oxide. We found several chemicals such as calcium oxide and silicon dioxide in the bottom ash of waste incinerators.

이산화탄소에 의한 메탄올 합성 (제 1 보). Cu / ZnO 촉매계 연구 (Synthesis of Methanol from Carbon Dioxide (I). Study on Cu / ZnO Catalyst System)

  • 조성운;전기운;박대철;이규완
    • 대한화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558-567
    • /
    • 1989
  • 여러가지 조성비로 만든 Cu/ZnO계 촉매로 이산화탄소를 수소화시켜 메탄올을 합성하였다. 촉매제조시 각 성분의 조성비가 촉매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반응촉매에 대하여 표면적 측정(BET), 주사전자현미경 측정(SEM), X선회절분석(XRD), X선광전자분석(XPS) 등을 실시하여, 각 촉매의 촉매특성을 조사하고 촉매활성과의 연관성을 연구하였다. 반응생성물은 메탄올과 일산화탄소 뿐이었는데 메탄올의 생성은 CuO의 함량이 증가하면 그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으나 CuO:ZnO의 조성비율이 30:70일 경우에 최대이었고, CuO가 70 이상이면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촉매에 대한 SEM 측정과 BET 측정결과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이점은 미세결정크기가 증가되고 표면적이 감소하는 점과 일치되었다. 또 XPS 측정결과에서 촉매표면상에서의 Cu의 농도는 Cu/Cu+Zn(atomic ratio)을 비교할 때 CuO의 함량이 50% 이상인 경우에서 현저히 감소하였다. 그리고 각 촉매들의 $Cu(2P^3)$에 대한 결합에너지의 수치상의 값은 거의 같았으나 환원된 상태의 $Cu(2P^3)$의 결합에너지는 소성된 상태의 것과 비교하여 낮아졌고, 표면에 분포된 Cu 는 대부분 $Cu^{\circ}$로 확인되었으며 CuO:ZnO의 조성이 30:70인 경우에서 최대가 되었다. 이것은 또한 CuO의 조성비율이 30인 때에 메탄올생성이 최대라는 실험결과와도 잘 일치하였다. 그리고 환원된 각각의 촉매로 펄스(pulse)형태의 반응기에서 이소프로판올을 분해시킨 결과 아세톤의 생성율이 프로필렌보다 컸음으로 이들은 염기성이 상대적으로 강한 촉매라고 추측하였다.

  • PDF

에테폰 처리가 자두과실의 성숙과 수확후 유통방법이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thphon treatment on the maturation of Plum fruits(Prunus salisina) and changes of the quality as affected by storage conditions)

  • 임병선;이종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55-170
    • /
    • 1996
  • In order to determine the physiolosical characteristics of plum fruits(Oishi wase) during maturation and guilty according to temperature after harvest, (2-chloroethyl) phosphonic acid(ethphon) 390ppm was sprayed on plum tree 11days before commercial matuarity in Suwon area. And also this study was acted to investigate fruits quility(Formosa) influenced by temperature(room, low) and polyethylene films(0.03, 0.06, 0.1mm), 1. Effect of ethphon on the fruits maturation and fruits(Oishi wase) quility according to temperature ofter harvest. Ethephon stimulated fruits ripening but the firmness was reduced rapidly. Soluble solids and titratable acidity was not very different than each treatment. Carbon dioxide and ethylene production were advanced and the production peak were shown earlier by ethephon treatment as compared with control fruit. Anthocyanin development was enhansed rapidly by ethephon treatment but it exerted a bad influence on fruits color after harvest, The soluble sugars in fluits were mainly glucose, sucrose, and fructose. Those content were higher in treated fruit than control. The organic acid was mainly malic acid. The shelf life was less than about 5days at room temperature and about 10 days at low temperature. 2. Fruits(Formosa) quility as affected by polyethylene film bagging. The polyethylene films well maintained the firmness both room and low temperature. Low temperature was more effective in maintaining titratable acidity than room temperature, especially polyethylene films. On the Other hand, soluble solids content was not shown wide differance between room and low temperature. Polyethylene film showed a high resperation rate, the rate was higher at room temperature than low temperature and thicker films revealed higher rate. Otherwise, ethylene production was low in all treatment Polyethylene film inhibited the coloration of fruits, decreased anthocyanin content. Fruits coloration delayed by low temperature in control. The shelf life of plum fruits was about 6 days at room temperature and 13 days at low temperature in control Polyethylene film had no advantage on shelf life both at room and low temperature.

  • PDF

인삼엽에서 추출한 Crude Saponin이 미생물의 생리에 미치는 영향 (제1보) Saccharomyces cerevisiae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Crude Saponin Extracted from Ginseng Leaves on the Physiological Properties of Microorganisms (Part 1) Effects on Saccharomyces cerevisiae)

  • 양희천;이태규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23-128
    • /
    • 1981
  • 인삼엽에서 추출한 crude saponin이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의 $CO_2$발생, alcohol발효, 균체생산에 미치는 영향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발효액 중 효모의 $CO_2$발생은 crude saponin 농도 3%, 1.5%, 0.7%, 5%, 7%, 0.3%는 대조구보다 빠르고, 9%구에서는 $CO_2$발생이 억제되었다. 이들 시험구 중 3%구가 $CO_2$발생이 가장 많았다. (2)발효 중 각 시험구의 alcohol 함량의 순위는 5%, 3%, 1.5%, 7%, 0.3%, 대조구(0%)며, 이들 시험구 중 5%구와 3%구는 다른 시험구보다 alcohol 생산량이 현저히 증산되었다. (3) 발효 중 crude saponin 액 소량첨가구 (0~0.7%)는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pH가 감소했으나, 다량첨가구 (1.5~7%)는 24~48시간 사이에 pH 변화가 심하였으며 그 이후부터는 증가하였다. (4) 건조균체량은 모든 시험구에서 대조구 (0%) 보다 많았으며 그 중 3%구가 현저하게 많았다.

  • PDF

저온처리가 케일(Brassica oleracea)잎 내 Carotenoid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ld Stress on Carotenoids in Kale Leaves (Brassica oleracea))

  • 황소정;천진혁;김선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06-112
    • /
    • 2017
  • BACKGROUND: Kale (Brassica oleracea) biosynthesizes various phytochemicals including glucosinolates, flavonoids, and carotenoids. Phytochemicals of plants are influenced by light, temperature, carbon dioxide, and growing conditions. Specifically, carotenoids are affected by temperature, light, and oxyge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ld stress (day/night: $25^{\circ}C/20^{\circ}C$, $20^{\circ}C/15^{\circ}C$, $15^{\circ}C/10^{\circ}C$) on carotenoids in kale leaves. METHODS AND RESULTS: Kale was grown in pots for up to 50 days after sowing (DAS) in a greenhouse. For cold acclimation experiments, kale grown in growth chambers for 3 days and was subjected to low temperature for 4 days. The conditions maintained in the growth chambers were as follows: photoperiod, 12/12 h (day/night); light, fluorescent; and relative humidity, 60%. Carotenoid (lutein, ${\alpha}-carotene$, zeaxanthin, ${\beta}-carotene$) contents were analyz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The total carotenoid content gradually increased during cold acclimation for 3 days. When kale was subjected to cold stress, the total carotenoid content was high at $25^{\circ}C/20^{\circ}C$ treatment, but low at $15^{\circ}C/10^{\circ}C$ treatment. The total carotenoid content of kale leaves continuously grown in greenhouse decreased from 50 to 57 DAS (1,418 and 1,160 mgkg-1 dry wt., respectively). The lutein, ${\alpha}-carotene$, and ${\beta}-carotene$ contents were very low and the zeaxanthin contents were very high at $15^{\circ}C/10^{\circ}C$ treatment. When kale was subjected to cold stress, the ratio of individual to the total carotenoid contents of kale leaves was 4553% for -carotene and 210% for zeaxanthin. CONCLUSION: The ${\beta}-carotene$ and zeaxanthin contents in kale leaves indicate their sensitiveness toward cold stress.

치커리의 재배일수, 재배지역 그리고 품종이 치콘의 MA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ultivars, Cultivation Periods and Regions of Chicory on the Storability of Chicon During MA Storage)

  • 강호민;서현택;원재희;김혁수;김일섭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9-116
    • /
    • 2010
  • 치콘은 저온처리된 chicory(Cichorium intybus L.) 뿌리에서 틔운 싹채소의 일종이다. 본 실험은 치콘의 저장성 향상을 위해 국내에 소개된 3가지 품종의 치커리의 적정 재배일수와 재배지역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MA 저장중 치콘의 생체중 변화는 모든 처리구에서 0.5% 미만의 감소로 극히 적었는데, 재배 지역별로는 춘천에서 재배한 처리구가 평창 재배 처리구보다 높은 생체중 감소를 보였다. 품종별로는 재배 지역에 관계없이 Focus가 가장 큰 감소를 보였으며 재배기간이 짧을수록 생체중 감소가 컸다. 저장 중 포장재내 산소 농도는 최저 8%에서 최고 17%를 나타내었다. 품종이나 재배지역에 따른 차이에 뚜렷한 경향이나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100일 재배처리구에서 대체로 높은 산소 농도를 보였다. 저장 중 포장재내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대체로 3% 내외를 보였으며, 춘천과 평창 재배지역간 차이는 없었으며, 품종간에도 뚜렷한 경향은 없었다. 통계적 유의성을 없었으나, 산소농도와는 반대로 100일간 재배기간 처리가 가장 낮은 이산화탄소 농도를 보였다. 저장 중 포장재내 에틸렌 함량 변화도 처리간 차이에 일정한 경향 없이 $2\sim14{\mu}l{\cdot}l^{-1}$까지 변화폭이 매우 컸는데, 저장 최종일인 21일에 가까워 지면서 대체로 $8{\mu}l{\cdot}l^{-1}$ 내외의 수준을 보였다. 저장 중 외관상 품질은 대체로 12일이 지나면서 상품성 수준 이하로 저하되었는데, Metafora 품종의 품질저하가 가장 빨리 진행되었으며, Focus와 Vintor는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재배 지역별로는 평창재배처리구가 대체로 품질 저하가 느리게 진행되었는데, 특히 Vintor 품종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재배 기간별로는 통계적 유의성은 뚜렷하지는 않았으나 100일과 110일 처리에서 가장 빠른 품질저하를 보였다. 치콘은 에틸렌 장해 증상인 적갈색 반점(russet spotting)은 저장 후기에 발생하였으며, 그 발생률은 춘천재배처구에서 높았다. 3가지 품종과 2재배지역 모두에서 재배일수가 증가할수록 경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치콘 생산용 치커리는 강원도에서는 120일 이상의 재배하는 것이 저장성을 높일 수 있으며, 춘천과 같은 평탄지보다 평창과 같은 고랭지에서 생산하는 것이 저장성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미세조류 Botryococcus braunii의 배양조건 최적화 및 지질축적 향상 (Optimal Culturing and Enhancement of Lipid Accumulation in a Microalga Botryococcus braunii)

  • 권성현;이은미;조대철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1권7호
    • /
    • pp.779-785
    • /
    • 2012
  • Several tests and experimental work have been done for identifying the best growth conditions and accumulated amount of lipid moiety in B. braunii, a microalga(UTEX 572) in terms of media composition. The specific growth rate was found to be the highest at 0.15 g/L-day when the phosphorus concentration was doubled with the other ingredients at the normal level. Experiments for varied media compositions revealed that the accumulation of lipid was the highest at 48% (dry cell weight based) in the nitrogen deficient medium and its corresponding specific growth rate was comparative to that in the normal BG 11 medium. In the bubble column experiments, carbon dioxide containing air produced four times more cell mass than air only. Light and glucose addition also enhanced cell mass with maximum, 1.8 g/L and accordingly 42% of lipid composition, which turned out to be a better strategy for higher lipid-producing microalgal cul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