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bofuran

검색결과 173건 처리시간 0.023초

쥐에서 Phenobarbital Sodium 및 3-Methylcholanthrene이 14C-carbofuran의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henobarbital Sodium and 3-Methylcholanthrene on Metabolism of 14C-carbofuran in Rat)

  • 임요섭;한성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7-68
    • /
    • 2002
  • 쥐에서 carbofuran 대사에 미치는 phenobarbital sodium (PB) 또는 3-methylcholanthrene (3-MC)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쥐에 이들을 단독 또는 조합으로 경구투여한 후 일정 간격으로 쥐의 주요 장기, 대변, 소변 및 혈액 중 대사산물의 종류와 생성율을 조사하였다. Carbofuran 단독투여와 carbofuran과 PB 또는 3-MC 조합투여 모두 경구투여 후 48시간 이내에 빠르게 배설되어 $^{14}C$-carbofuran 총 투여량의 79.9$\sim$81.1%가 소변으로, 5.7$\sim$6.5%가 대변으로 배설되었는데, 배설속도는 carbofuran 단독투여 보다 carbofuran과 PB 또는 3-MC 조합투여에서 빨랐다. 쥐의 주요 장기, 대소변 및 혈액 중의 carbofuran의 대사산물은 공통적으로 3-hydroxycarbofuran, 3-ketorarbofuran, 3-hydroxycarbofuran phenol, 3-ketocarbofuran phenol과 carbofuran phenol이었고, 주요 대사산물은 3-hydroxycarbofuran과 3-ketocarbofuran이었는데, 주요 대사산물의 경우 carbofuran만의 투여에서는 3-hydroxycarbofuran이었으나 carbofuran과 PB 또는 3-MC 조합투여는 3-ketocarbofuran이었다. 소변 중 carbofuran의 2가지 주 대사산물의 생성율은 carbofuran 단독투여시 3-hydroxycarbofuran 17.4%와 3-ketocarbofuran 12.8%이었고, carbofuran과 PB 또는 3-MC 조합투여시 3-hydroxycarbofuran 8.6%와 3-ketocarbofuran 23.5%로서, carbofuran 단독투여와 carbofuran과 PB 또는 3-MC 투여사이에 대사산물의 종류는 같았으나 생성율에는 큰 차이가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쥐에 carbofuran 투여 후 PB나 3-MC를 투여함으로써 carbofuran의 대사가 빠르게 이루어지고, 주 대사산물 중3-hydroxycarbofuran보다 독성 이 낮은 3-ketocarbofuran으로의 대사가 빠르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carbofuran의 독성이 경감되어 쥐가 생존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Carbofuran 입제(粒劑)의 수중용출(수중용출)과 토양중(土壤中) 분해특성(分解特性) (Release of Carbofuran from Granular Formulations in Water and Its Degradation Patterns in Soils)

  • 홍무기;홍종욱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9-15
    • /
    • 1984
  • 제제형태(製劑形態)에 따른 carbofuran의 수중용출속도와 토양중 잔류소장(殘留消長)을 조사하기 위하여 재결정 하여 정제한 carbofuran 원제와 시판(市販) sand-coated granule 및 실험실에서 립상(粒狀)규조토를 담체(擔體)로 제조한 impregnated granule을 공시(供試)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Carbofuran의 수중용출속도는 원제impregnated granule> sand-coated granule 순(順)이었으며 3-hydroxy carbofuran과 3-keto carbofuran의 잔류기간도 입제 처리가 원제 처리시 보다 더 길었다. 또한 토양별로 보면 담수 사양토가 비담수 양토에서 보다 carbofuran과 그의 두 대사산물인 3-hydroxy carbofuran과 3-keto carbofuran의 잔류기간이 짧았는데 이는 담수 여부가 토양 중 carbofuran의 분해에 주요한 인자임이 증명되었다. 3) 두 종류의 carbofuran 입제 처리시 3-hydroxycarbofuran과 3-keto carbofuran이 최고 농도에 이르는 기간은 각각 $40{\sim}80$일, $20{\sim}40$일 소요되었으며 입제의 종류별로 보면 impregnated granule 처리가 sandcoated granule 처리보다 3-hydroxy carbofuran과 3-keto carbofuran의 잔류기간이 짧았다.

  • PDF

Carbofuran이 쥐의 조직에 미치는 형태적 변화와 Phenobarbital Sodium 및 3- Methylcholanthrene에 의한 억제효과 (Textural Changes in Rat Tissues by Carbofuran and Its Suppression by Phenobarbital Sodium and 3-Methylcholanthrene)

  • 임요섭;한성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1-66
    • /
    • 1997
  • 본 연구는 carbofuran이 흰쥐의 신장, 간 및 뇌조직내 각종 세포의 미세구조에 미치는 독성을 비교${\cdot}$관찰하고, 더불어 phenobarbital sodium(PB) 및 3-methylcholanthrene(3-MC)이 carbofuran의 독성에 어떠한 보상효과를 갖고 있는지를 밝히고자 각 실험동물에 carbofuran과 PB 및 3-MC 단독 또는 carbofuran과 PB 및 carbofura과 3-MC를 조합 투여한 후 경시적으로 각 조직을 적출하여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을 하였다. 신장에서의 carbofuran단독투여균의 경우 투여후 48시간까지 신장소체의 많은 세뇨관들이 폐쇄되는 독성이 나타났으나 Carbofuran과 PB 또는 3-MC의 조합처리군의 경우 각각 투여후 6시간부터 다소 재생되기 시작하여 48시간 후에는 현저히 회복되는 경향이었다. 간에서의 carbofuran 단독투여군의 경우 투여후 48시간까지 간세포에 퇴행성변화인 괴사 및 심한 변성이 관찰되었으나 Carbofuran과 PB 또는 6시간후부터 간세포들의 재생이 뚜렷하였다. 뇌에서의 carbofuran 단독투여군의 경우 투여후 48시간까지 퇴행성변화 및 대뇌피질의 모세혈관 확장이 나타났으나 Carbofuran과 PB 또는 3-MC의 조합처리군의 경우 투여후 6시간후 이후에는 대조군과 유사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PB와 3-MC 모두 carbofuran에 의한 쥐의 조직독성을 감소시킬수 있는 물질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몇가지 작물중 침투성 살충제 carbofuran의 잔류 및 안전성 평가 (Residue analysis of the systemic insecticide carbofuran in some crops and its safety evaluation)

  • 이재구;최신종;경기성;안기창;권정욱
    • 농약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37-46
    • /
    • 1999
  • 침투성 살충제 carbofuran의 작물체중 잔류성과 그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carbofuran을 살포했을 것으로 간주되는 감자와 땅콩 및 마늘 시료를 주산지 부근의 대규모 시장에서 수집한 후 carbofuran과 carbofuran의 식물체중의 주 대사산물로 보고된 3-hydroxycarbofuran의 잔류량을 조사하고 carbofuran의 각 작물체내 대사 양상을 구명하기 위하여 각 작물의 phesphate buffer 추출액중 carbofuran의 분해실험을 수행하였다. 여러 지역의 시장으로부터 수집한 총 20 점의 완숙마늘 시료중 2점 (M-12와 M-16)의 시료에서 0.13과 0.07mg/kg의 carbofuran이 검출되어 10%의 검출빈도를 보였으나, 그 잔류량은 잔류허용기준인 0.5 mg/kg 보다 훨씬 작았다. 3-Hydroxycarbofuran은 총 20점의 시료중 1점 (M-12)의 시료에서 0.13 mg/kg이 검출되어 5%의 검출빈도를 보였으며, 풋마늘과 감자 및 땅콩 시료중 carbofuran과 3-hyoxycarbofuran의 잔류량은 분석결과 모든 시료에서 검출한계 미만이었다. 완숙마늘의 1일 섭취량에 근거한 carbofuran의 최대 섭취추정량은 0.0013mg으로 1일 최대섭취허용량인 0.55 mg의 0.24%이었으며, 마늘과 감자 및 땅콩시료에서 carbofuran이 검출되지 않아 마늘과 감자 및 땅콩 경작시 carbofuran을 사용하여도 생산물은 안전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Carbofuran은 각 작물의 phosphate buffer 추출액중에서 주로 가수분해에 의하여 주 대사산물인 carbofuran phenol (m/z 164)을 생성하였으며, 그 양은 배양기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 PDF

Carbosulfan, Furathiocarb 및 Benfuracarb 처리토양중 Carbofuran 방출특성 (Evolution of Carbofuran in Soils Treated with Its Aminothio Derivatives, Carbosulfan, Furathiocarb and Benfuracarb)

  • 이영득;최주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79-185
    • /
    • 1995
  • Carbofuran의 aminothio 유도체로서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살충제들인 carbosulfan, furathiocarb 및 benfuracarb를 논 및 밭상태 수분조건별로 토양에 처리하고 토양중 분해양상 및 carbofuran 방출 특성을 조사하였다. 토양에 처리한 유도체들은 토양중에서 carbamoyl N-S간 결합의 붕괴에 따라 carbofuran을 빠른 속도로 방출하였다. 토앙중 분해반감기는 $23{\sim}68$시간 범위로서 유도체 측쇄구조 및 토양수분조건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 처리 5일후 유도체농약들의 carbofuran으로의 유효전환율은 $64{\sim}84%$ 범위였으며 유도체형태로의 처리는 carbofuran 직접처리에 비하여 토양중 carbofuran 전류수준의 급격한 상승을 완화, 직접살포에 따른 부작용을 경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Carbofuran이 NIH 3T3섬유모세포와 흰쥐의 신장에 미치는 영향과 Phenobarbital sodium의 보상효과에 관한 연구 (Effects of Carbofuran and Compensation of Phenobarbital sodium in the NIH 3T3 Fibroblast and Rat Kidney)

  • 한두석;임요섭;한성수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3권1_2호
    • /
    • pp.87-94
    • /
    • 199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oxicity of insecticide carbofuran and compensatory effects of phenobarbital sodium (PB) in vivo and in vitro. Sprague Dawley male rats were used as experimental animals and divided into carbofuran only administered group and simultaneous application group of carbofuran and PB. At 30 rain and 1, 3, 6, 12, 24, 48 and 96 hrs after each treatment, the animals were sacrificed by decapitation. Kidney were immediately removed, immersed in fixatives, and processed with routine method for light microscopic study. Paraffin sections were stained with H-E, PAM and PAS. $5.0\times 10^4$ cell/ml of NIH 3T3 fibroblast in each well of 24 multidish were cultured: After 24 hours, the cells were treated with solution of six groups; control group cultured in media only, carbofuran $MTT_50$ or $NR_50$ group cultured in the media containing carbofuran $MTT_50$ or $NR_50$ and four experimental groups cultured in the media containing carbofuran $NR_50$ plus various concentratins of PB. After the NIH 3T3 fibroblast of all groups were cultured in same condition for 48 hours, Tetrazolium MTT (MTT) and NR (neutral red) assay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cytotoxicity of cell organelles. Under the light microscope, atrophic change of renal corpuscles were frequently observed in 1 and 2 days after carbofuran treatment. The increase of the mesangium was apparent in 1 and 2 days after carbofuran treatment. Necrotic changes of the epithelium and loss of brush border of proximal tubules were most severe at 2 and 3 days after carbofuran treatment, respectively. In contrast, there were no evidences of the toxic effects on renal tissues at 48hrs in carbofuran-PB treated groups. Carbofuran $MTT_50$ and $NR_50$ were 78$\mu M$, 82.5$\mu M$ respectively. MTT and NR quantiti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carbofuran-PB 100$\mu M$ treatment group and carbofuran-PB 100$\mu M$ treatment group.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t is obvious that PB has compensatory effects against carbofuran toxicity.

  • PDF

살충제 Carbofuran과 Phenobarbital Sodium 및 3-Methylcholanthrene이 이스라엘 잉어의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secticide Carbofuran and Phenobarbital Sodium and 3-Methylcholanthrene on Activity of Enzyme in Israeli Carp(Cyprinus israeli carpio L.))

  • 임요섭;정재훈;한성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1호
    • /
    • pp.77-83
    • /
    • 1996
  • 이스라엘 잉어에 있어서 carbamate계 살충제 carbofuran의 독성에 미치는 phenobarbital sodium(PB) 또는 3-methylcholanthrene (3-MC)의 영향과 작용기작을 효소적 측면에서 구명할 목적으로 carbofuran과 PB나 3-MC를 이스라엘 잉어에 각 조합으로 처리하여 독성경감 효과를 조사하였고, 공시한 농약과 PB나 MC가 acetylcholinesterase(AChE), glutathione S-transferase(GST), UDP-glucuronosyltransferase(UDPGT) 및 cytochrome P-450-dependent monooxygenase(monooxygenase)의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carbofuran과 PB나 3-MC를 각각 조합으로 처리한 후 경시적으로 이스라엘 잉어의 각 효소들의 상대활성도를 조사하였다. PB와 3-MC만 투여한 실험군에서 이스라엘 잉어의 생존수는 무처리군과 동일하였고 살충제만 처리한 실험군의 이스라엘 잉어 생존수는 처리농도가 증가하면서 감소되었으나, PB나 3-MC와 살충제를 조합처리한 실험군에서는 살충제만 처리한 실힘군에 비하여 매우 높은 생존율을 나타낸 것으로 보아 해독효과가 인정 되었다. 효소활성(in vivo)은 AChE의 경우 carbofuran 0.95 ppm만을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24시간내내 각 조사시기마다 무처리군에 비해 40% 이상의 활성저해를 보였으나 carbofuran과 PB 및 3-MC를 조합처리한 실험군에서는 효소활성이 초기에 감소하다가 서서히 증가하여 24시간후에는 무처리군과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고, GST의 경우 carbofuran만을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초기에 약 20% 이상의 활성저해를 보였으나 carbofuran과 PB나 3-MC를 조합처리한 실험군에서는 약제처리 1시간 후 부터 무처리군에 비해 효소활성이 20% 이상 증가하였다. UDPGT와 monooxygenase의 효소활성은 carbofuran과 PB나 3-MC를 조합처리한 실험에서 처리 $6{\sim}12$시간 후에는 carbofuran 처리군에 비해 효소활성이 $4{\sim}8$배 이상 급격히 높아졌다. 이상의 결과에서 PB 및 3-MC처리가 이들 효소의 활성을 유도함으로써 carbofuran의 독성으로 부터 이스라엘 잉어를 보호 하는데 관여한 것으로 보인다.

  • PDF

살충제 Carbofuran과 Phenobarbital Sodium 및 3-Methylcholanthrene이 쥐의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secticide Carbofuran and Phenobarbital Sodium and 3-Methylcholanthrene on Activity of Enzyme in Rat)

  • 임요섭;한성수
    • 농약과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27-36
    • /
    • 1999
  • 쥐에 있어서 carbamate계 살충제 carbofuran의 독성에 미치는 phenobarbital sodium(PB) 또는 3-methylcholanthrene(3-MC)의 영향과 작용기작을 효소적 측면에서 구명할 목적으로 이들을 단독 또는 조합으로 경구투여 하여 in vivo 효소활성을 조사하였다. Acetylcholinesterase(AChE)와 butyrylcholinesterase(BuCheE)의 효소활성은 carbofuran 3.8 mg/kg을 투여하였을 때 48시간까지 $20{\sim}70%$ 범위의 저해를 보였고, carbofuran과 PB 또는 3-MC를 조합투여하였을 때 효소활성은 초기에 감소하다가 24시간 후에는 대조구와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 Glutathione S-transferase(GST)의 경우 carbofuran만을 투여하였을 때 초기($0.5{\sim}6$ hr)에 $15{\sim}35%$의 저해를 보였으나, carbofuran과 PB 또는 3-MC의 조합투여시 초기에는 약간 저해를 보이다가 3시간 후에는 대조군과 유사한 효소활성을 보였고, 6시간 후에는 대조군에 비해 활성이 20%이상 증가하였다. UDP-glucuronosyltransferase(UDPGI) 및 cytochrome P-450 효소계의 효소활성은 carbofuran과 PB 또는 3-MC를 조합 투여하였을 때 투여 후 6시간까지는 carbofuran만의 투여에 비해 효소활성이 $2.6{\sim}2.8$배 이상 높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PB 및 3-MC의 투여가 이들 효소활성을 유도하므로써 carbofuran의 독성으로부터 쥐를 보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담수토양(湛水土壤)중 BPMC 및 Carbofuran의 분해특성(分解特性) (Degradation Patterns of BPMC and Carbofuran in Flooded Soils)

  • 박창규;제연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65-72
    • /
    • 1983
  • 담수토양(湛水土壤)에서 carbamate 계살충제(系殺蟲劑) BPMC 및 carbofuran의 분해(分解)에 미치는 몇가지 토양(土壤), 농약(農藥) 및 환경인자(環境因子)들의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BPMC와 carbofuran은 담수(湛水) 또는 비담수처리(非湛水處理)로 분해(分解)에 큰 영향(影響)이 없었다. 다만 시험토양(試驗土壤)에서 carbofuran에 비(比)해 BPMC는 현저(顯著)하게 분해(分解)가 빨랐다. 2) 시험토양(試驗土壤)에서 BPMC와 carbofuran의 분해(分解)는 pH에 의존(依存)하며 pH가 클수록 분해(分解)가 촉진(促進)되었으며, pH 효과(效果)는 BPMC보다 carbofuran 에서 명백(明白)히 나타났다. 3) BPMC와 carbofuran은 모두 토양(土壤)의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이 높을수록 분해(分解)가 지연되었다. 4) BPMC와 carbofuran은 고온(高溫), 고처리농도(高處理濃度)에서 분해(分解)가 빨랐다. 5) 토양살균(土壤殺菌)은 양(兩) carbamate 살충제의 분해(分解)를 현저하게 감소시켰다. 6) 담수토양(湛水土壤)에서 BPMC 및 carbofuran은 화학적분해(化學的分解)와 토양미생물(土壤微生物)에 의(依)한 생물학적(生物學的) 분해(分解)가 병행(倂行)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 PDF

휜쥐의 심혈관 기능에 대한 carbofuran독성작용 (carbofuran Induces Cardiovascular Dysfunction in Rat)

  • 정이숙;이수환;백은주;문창규;문창현
    • 약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739-745
    • /
    • 2001
  • Of all pesticides, carbamates are known to be most common, since alternatives such as organophosphates have long lifetime and are extremely toxic to produce a delayed neurotoxic effect. Although a number of studies about toxicity of carbofuran, a most widely used carbamate, have been reported, its cardiovascular toxicity has not yet been studied.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its cardiovascular toxic effect in anesthetized rat in vivo and in isolated Langendorff rat heart, In anesthetized rat model, carbofuran (10 mg/kg) significantly reduced heart rate, and transiently increased blood pressure. In isolated rat heart, carbofuran (10${\mu}{\textrm}{m}$) caused a significant depression in the left ventricular developed pressure (LVDP), indicating contractile dysfunction by carbofuran. Carbofuran (10${\mu}{\textrm}{m}$) also decreased coronary flow rate (CFR) in isolated heart, indicating carbofuran-induced coronary dysfun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rbofuran can cause cardiac dysfunction in rat in vivo and vitro.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