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psizing accident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3초

어선의 전복사고 원인별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ause Analysis for the Capsizing Accident in Fishing Vessels)

  • 정창현;박영수;김종성;김세원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4권1호
    • /
    • pp.1-8
    • /
    • 2012
  • In recent 5 years, the 70 percent of the ship's accident was occurred in the fishing vessels, and most of them were the engine troubles and collisions. The capsizing accident was comparatively low portion of occupation, which took only 2 percent, but the scale of accident and the loss of lives and property are known very tremendous. In this paper, it was examined for the stability provisions of fishing vessel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to reduce the capsizing of them. Also, it was made an analysis for the case of capsizing accidents to suggest the measures against the capsizing.

Causal Analysis of a Tugboat Capsizing Accident in Rough Weather Condition Based on a Dynamical Simulation

  • Yoon, Hyeon-Kyu;Kim, Sun-Young;Lee, Gyeong-Jo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Ocean System Engineering
    • /
    • 제1권4호
    • /
    • pp.211-221
    • /
    • 2011
  • Tugboats are widely used near harbors to assist with various operations such as the berthing and deberthing of very large vessels and the towing of barges. Capsizing accidents involving tugboats occasionally take place when the tugboat makes rapid turns in harsh weather conditions. When there is little evidence suggesting how the accident occurred and when the crew members are missing, it is necessary to predict the time history of the towing vessel’s attitude and trajectory from its departure point to when and where it capsized, depending on various input parameters using a numerical simulation. In this paper, the dynamics of a tugboat and a towed barge in conjunction with the external force and moment were established, and the possible input parameters and operational scenarios which might influence the large roll motion of the tugboat were identifi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imulated time history of the excessive roll motion of the tugboat, it was found that roll motion can take place when the tugboat is situated on the crest of a wave and when it is pulled by a towed barge through a towing line. The main cause of the accident would be the parameters that primarily influence such situations. These are the wave parameters, course changing scenario, and the amount of tension.

An Investigation into Capsizing Accident and Potential Technology for Vessel Stability Assessment

  • Long, Zhan-Jun;Jeong, Jae-Hun;Jung, Jin-Woo;Lee, Seung-Keon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55-61
    • /
    • 2013
  • In this paper, ship accidents are analyzed briefly and the main objective is to investigate a potential technological approach for risk assessment of vessel stability. Ship nonlinear motion equation and main parameters that induce ship capsizing in beam seas have analyzed, the survival probability of a ferry in random status have estimated and finally find out a risk assessment concept for ship's intact stability estimation by safe basin simulation method. Since a few main parameters are considered in the paper, it is expected to be more accurately for estimating ship survival probability when considering ship rolling initial condition and all other impact parameters in the future research.

저속으로 전복되는 선박사고의 선체 특성에 대한 해석적 연구 (An analytic study on the hull characteristics of ship accidents at low capsizing speeds)

  • 최순만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0권3호
    • /
    • pp.235-239
    • /
    • 2016
  • 복원력을 잃고 선박이 전복될 때의 횡경사 속도는 선체가 사고 상황에 대해 외부로 표현하는 고유 응답의 하나가 된다. 자유 횡요 시 횡운동은 횡관성모멘트와 GM 및 횡감쇠계수와 같은 선체계수에 의해 나타낼 수 있으나 선체가 저속으로 진행되는 전복의 경우에는 각가속 성분이 특히 작아지므로 특성 해석은 보다 용이해진다. 따라서 빠르게 진행되는 전복사고에 비해 저속 전복 사고는 선체 거동의 예측이 적절히 가능할 뿐 아니라 선박구조에 필요한 시간의 확보가 수월해지므로 선박의 구조전략 측면에서 저속 전복사고는 별도로 분류하여 대응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체의 자유 횡운동에 대한 선형미분방정식을 토대로 저속 전복 시 선체계수들이 전복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관련된 함수들로 나타내었으며 횡운동 진폭감쇠비를 기준으로 횡감쇠계수 크기와 선체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여기에서의 수식적 관계를 실제 선박의 제원에 적용함으로써 얻어지는 결과들을 통해 제시된 저속 전복 선박의 일반적 특성이 도시적으로 설명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침몰된 항타선 분석을 통한 한국선급 규칙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doption of Korean Register of Shipping Rules through the Analysis of Pile Driving Boat Capsizing)

  • 정원준;김정대;박성부;정광효;이제명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33-41
    • /
    • 2019
  • 2012년 12월, 한국 울산항 앞바다에서 항타선이 침몰되었다. 본 사고 선박의 침몰원인은 인적요소, 기상악화 등의 복합적인 문제라 여겨진다. 사고 이후 선박안전기술공단에서는 리더부(크레인)는 충분한 안전율이 확보된 강도로 설계되었다고 결론을 내렸으나 국립과학수사 연구원의 현장조사 감정서에서는 선박 침몰은 리더부의 파손으로 인한 것이라고 결론 내렸다. 이에 본 저자들은 선박안전기술공단이 선박 검사에 사용하는 선박안전법과 강도 계산 및 구조해석 방법 등을 검토하였다. 나아가 한국선급의 규칙을 기반으로 두어 선박 침몰원인을 분석하기 위한 유체동역학적해석 및 구조해석에 관한 수치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현장조사 결과와 유사한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사고 선박과 같이 선급 규칙의 적용을 받지 않고도 자유롭게 국내에서 운항 될 수 있는 항타선의 경우 유사한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한국선급 규칙의 적용을 받는 검사가 수행되어야 할 것임을 제안한다.

유선 및 도선의 복원성을 고려한 승선정원 산출 제안 (A Proposal for the Calculation of the Boarding Capacity Considering the Stability of Excursion and Ferry Boats)

  • 이리나;이홍훈;최정연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791-799
    • /
    • 2022
  • 유선 및 도선 중 선박길이 12미터 미만인 소형선박은 선박안전법에 따른 복원성 기준 적용이 면제되며, 유선 및 도선 사업법에 따라 승객 및 선원이 탑승 가능한 면적을 고려하여 승선정원을 정하고 있다. 이러한 유선 및 도선 중에서는 건조 이후 차양의 설치 등 복원성에 영향을 미치는 상부 구조물을 설치하는 사례도 적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상부 구조물을 설치한 도선에서 실제 발생한 전복사고의 사례를 바탕으로 해당 도선의 복원성을 추정하여 사고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승선정원을 초과한 상태에서 승객들이 동시에 하선하고자 기립하여 복원성이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해당 도선이 승선정원을 준수하더라도 한쪽 현의 승객들이 기립하면 횡경사에 의한 전복의 가능성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보다 안전한 유선 및 도선사업을 위하여 선박길이 12미터 미만의 유선 및 도선에 대하여 건조 및 개조 시 실선 복원성 시험에 의한 승선정원 산출, 승선정원의 총중량 한곗값 제시 등을 개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

Needs for Changing Accident Investigation from Blaming to Systems Approach

  • Kee, Dohyung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43-153
    • /
    • 2016
  • Objectiv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survey needs for changing accident investigation from blaming to systems approach and to briefly summarize systems-based accident analysis techniques. Background: In modern complex socio-technical systems, accidents are caused by a variety of contributing factors including human, technical, organizational, social factors, not by just a single violation or error of a specific actor, but accidents investigation used to be focused on the incorrect action of individuals. A new approach investigating causes of accidents as a symptom of a deficient system is required. Method: This study was mainly based on survey of literatures related to accidents, accidents investigation, which included academic journals, newspapers, etc. Results: This study showed that accidents investigation of Korea focusing on blaming is problematic. This was confirmed by two concepts of migration and hindsight bias frequently found in accident causation studies, and an attribute of accidents having varying causes. This was illustrated with an example of Sewol ferry capsizing accident. Representative systems-based accident analysis models including Swiss cheese model, AcciMap, HFACS, FRAM and STAMP were briefly introduced, which can be used in systematic accidents investigations. Finally, this study proposed a procedure for establishing preventive measures of accidents, which was composed of two steps: public inquiry and devising preventive measures. Conclusion: A new approach considering how safety-critical components such as technical and social elements, and their interactions lead to accidents is needed for preventing reoccurrence of similar accidents in complex socio-technical systems. Application: The results would be used as a reference or guideline when the safety relevant governmental organizations investigate accidents.

크레인 교체에 따른 표준재화 상태에서의 소형 어선의 복원성 특성 - 고성항 전복 사고 재결서 중심 - (Stability Characteristics based on Crane Weight of Small Fishing Vessels Under Standard Loading Conditions: Investigation Report of the Capsize Accident at Goseong Port)

  • 강대곤;이건경;이준호;한승훈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2-30
    • /
    • 2020
  • 2016년 3월 6.67톤 어선이 크레인 작업을 하던 중 복원성 상실로 인한 전복 사고가 발생하였다. 전복은 충돌, 접촉, 좌초, 화재 및 폭발의 결과로 발생한 사고는 제외하고 선박이 뒤집힌 것을 말한다. 지난 9년동안(2010-2018), 전복 사고는 전체 해양사고의 2.34%를 차지하고 있으며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고 있다. 10톤 미만 소형어선의 주된 전복사고 원인은 부적절한 선적에 따른 복원성 상실이다. 어선법에 따르면 소형 어선은 복원성과 1톤 미만 제한 하중 크레인에 대해서 복원성과 예비검사를 면제해 주고 있다. 본 연구는 고성에서 발생한 소형 어선의 전복 사고 재결서의 원인으로 언급된 사항 중 크레인 증량에 따른 복원 모멘트 감소에 대해 실제 제원이 비슷한 어선을 모델링하여 이를 통해 사고 전·후의 어선 상태를 가상하여 복원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기존 보다 무거운 크레인으로의 교체 시에는 복원 모멘트 감소와 현단몰입각의 감소로 전복의 위험성이 증가되었다. 표준재화 상태에서는 입·출항시 보다는 어로 활동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의 복원 모멘트가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어선 제66풍성호 전복사고 원인분석에 대한 연구 (Study on Cause Analysis of Capsizing Accident in Fishing Boat No. 66 Poongsung)

  • 이리나;이창현;온성욱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955-964
    • /
    • 2022
  • 최근 5년간 국내에서 발생한 해양사고를 선박용도별로 살펴보면 어선이 67.1%(10,211척)를 차지하고 있으며, 어선에 의한 해양사고는 2016년 1,646건에서 2020년 2,100건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 5년간 발생한 378건의 전복사고 중 어선의 전복사고가 252건으로 66.7%의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이에 따른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어선 제66풍성호의 전복사고의 원인 규명을 위해 복원성 및 해수 유입경로 등의 자료 수집과 풍성호에 설치된 방수구, 추가 갑판 및 바람막이 등이 복원성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 후 전복사고의 대응 방안을 제시하였다. 복원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풍성호에 설치된 추가 갑판, 바람막이, 방수구가 초기 횡경사를 일으키고, 복원성을 악화시키며 어선구조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할 뿐만 아니라 풍성호의 선형 특성 등으로 인해 복원성을 약화 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고 당시의 복원성을 추정하기 위해 어로작업 시점의 복원성과 해상 상태 변화에 따른 해수 유입량 및 이에 따른 동요 상황, 그리고 선체 요인에 의한 복원성 변화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 어로작업의 시점에서는 최소 GoM을 모두 만족하였으나 최대파고 4m에서 복원이 불가하였으며, 선체 경사에 따른 해수 유입, 동요의 영향에 의해 최대파고 4m 상태에서 최소 GoM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풍성호의 복원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추가 갑판과 바람막이 설치를 제외한다면 최소 GoM을 만족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Comparison of Systemic Accident Investigation Techniques Based on the Sewol Ferry Capsizing

  • Kee, Dohyung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85-498
    • /
    • 2017
  •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survey and compare three systemic accident investigation techniques of Accimap, STAMP and FRAM, based on the application studies of the Sewol ferry accident. Background: Traditional accident investigation methods such as domino models, FTA, etc. work well for losses caused by physical component failures or actions of human in relatively simple systems, but are unable to depict mechanisms generating errors and violations in the current complex socio-technical systems. For better understanding the structure and behavior of the socio-technical systems, systemic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Method: This study was mainly based on survey of literatures through surfing webpages of ScienceDirect and Google, and ergonomics relevant journals. The key words of Sewol, Sewol ferry, Sewol ferry accident, etc. were used in the survey. Results: Three systemic accident investigation methods included similar actors in the Sewol ferry accident including government, Ministry of Ocean and Fisheries, Korean Coast Guard, Korean Register of Shipping, Korea Shipping Association, Chonghaejin Marine Company, crew members. The methods graphically represented each level's failures or performance variabilities of relevant functions and relationships between them. It was shown that the systemic methods consider the entire system, ranging from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accident occurred, to the role of government in shaping the system of work. Each method has its own comparative pros and cons, but the Accimap has advantages in terms of time of analysis, data required, model complexity and degree of comprehensiveness. Conclusion: This study reviewed and compared three systemic accident investigation methods, which showed that there are systemic characteristics and pros and cons in the methods. Application: The results would be used as a guideline when selecting accident investigation meth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