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psicum extract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33초

Screening of Cyanobacteria (Blue-Green algae) from Rice Paddy Soil for Anti-fungal Activity against Plant Pathogenic Fungi

  • Kim, Jeong-Dong
    • Mycobiology
    • /
    • 제34권3호
    • /
    • pp.138-142
    • /
    • 2006
  • Soil cyanobacteria isolated from the rice paddy fields of 10 different locations across Korea were evaluated by agar plate diffusion test for antifungal activity. Aqueous, petroleum ether, and methanol extracts from one hundred and forty two cyanobacterial strains belonging to the 14 genera were examined for antifungal properties against seven phytopathogenic fungi causing diseases in hot pepper (Capsicum annuum L). Of total cyanobacteria, nine cyanobacteria (6.34%) exhibited antifungal effects. The nine cyanobacteria selected with positive antifungal activities were two species of Oscillatoria, two of Anabaena, three of Nostoc, one of Nodularia, and one of Calothrix. Alternaria alternata and Botrytis cinerea were inhibited by nine and eight species of cyanobacteria, respectively. Rhizopus stolonifer was suppressed by only methanol extract of Nostoc commune FK-103. In particular, Nostoc commune FK-103 and Oscillatoria tenuis FK-109 showed strong antifungal activities against Phytophthora capsici. Their antifungal activity at the late exponential growth phase is related to the growth temperature and not associated with the growth parameters such as cell biomass and $chlorophyll-{\alpha}$ concentration. The high inhibition levels of antibiotics were 22.5 and 31.8 mm for N. commune FK-103 and O. tenuis FK-109, respectively. The optimal temperature for antibiotic productivity was $35^{\circ}C$.

Characterization of Sclerotinia sclerotiorum Isolated from Paprika

  • Jeon, Young-Jae;Kwon, Hyuk-Woo;Nam, Ji-Sun;Kim, Seong-Hwan
    • Mycobiology
    • /
    • 제34권3호
    • /
    • pp.154-157
    • /
    • 2006
  • A fungal isolate collected from infected paprika (Capsicum annuum var. grossum) was characterized as Sclerotinia sclerotiorum based on its ability of sclerotium formation, physiological and molecular properties. When the isolate was grown on potato dextrose agar, oatmeal agar, and malt extract agar, it grew most well on PDA. Optimal temperature and pH for its growth were $25^{\circ}C$ and pH 7, respectively. The fungal isolate produced sclerotia on PDA within 10 days, and the color and shape of the sclerotia were similar to those of S. sclerotiorum. The ITS rDNA regions including ITS1 and ITS2 and 5.8S sequences were amplified using ITS1F and ITS4 primers from the genomic DNAs of the paprika isolate and other known pathogenic S. sclerotiorum isolated from different crops in Korea, and their nucleotide sequences were determined. Sequence comparison analysis showed the ITS rDNA of the paprika isolate shares 100% sequence identity with those of S. sclerotiorum isolated from red pepper, lettuce and a S. sclerotiorum isolate registered in GenBank DNA database. Neighbor joining analysis based on the ITS rDNA sequence revealed the paprika isolate has very close phylogenetic relationships with known Sclerotinia sclerotiorum isolates. This is the first report that S. sclerotiorum has been found associated with paprika rot in paprika growing countries.

Determination of Formaldehyde in Cigarette Smoke and Inhibitory Effect of Plant Volatile Extracts on the Formation of Formaldehyde

  • Her, Jae-Young;Jang, Hae-Won;Lee, Kwang-Geu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2호
    • /
    • pp.471-474
    • /
    • 2009
  • Formaldehyde (FA) is a carcinogenic compound present in cigarette smoke. In this study, the amount of formaldehyde was analyzed in 5 kinds of cigarettes and the inhibitory effect of plant volatile extracts on the formation of FA was investigated. After extraction of the cigarette sample, FA was converted into its thiazolidine derivatives by reaction with cysteamine, and then measured using a gas chromatography-nitrogen phosphorus detector (GC-NPD). The concentrations of FA in cigarette smoke were found between 138.24 and $217.82{\mu}mol/g$ cigarette smoke. Extracts isolated from Welsh onion (Allium cepa L.), garlic (Allium sativum L.), crown daisy (Chrylsanthemum coronarium L.), green pepper (Capsicum annuum L.), and sesame dropwort (Oenanthe javanica DC) were used for analyzing their inhibitory effects on the formation of FA. The inhibitory effects of extracts of Welsh onion, garlic, crown daisy, green pepper, and sesame dropwort on the formation of FA were 64, 47, 38, 47, and 19%, respectively.

국내산 고추를 이용한 고추 케찹 개발 및 관능적 특성 평가 (Development of Value-added Ketchup Products with Korean Chile Peppers(Capsicum annuum L.) and Their Sensory Evaluation)

  • 이슬;유경미;송순란;박재복;황인경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16
    • /
    • 2012
  • 국내산 고추를 이용하여 미국인의 입맛에 맞는 고부가가치 액상 소스를 개발하기 위해 고추 케찹을 제조하였다. 국내산 고추 케찹은 토마토 페이스트(37.5%), 설탕(14.8%), 식초(14.1%), 고추 퓨레와 고춧가루(14.1%)를 주성분으로 하였고, 그 외 허브류, 올리고당, 매실엑기스, 청주, 레몬즙 등을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고추 케찹의 이화학적 성분 분석 결과, 수분함량 $59.61{\pm}0.28%$, 조단백 함량 $2.18{\pm}0.11%$, 조지방 함량 $1.99{\pm}0.04%$, 조회분 함량 $9.26{\pm}0.13%$, 조탄수화물 함량 $26.97{\pm}0.48%$, 환원당 함량 $35.19{\pm}0.97%$, 염도 $3.04{\pm}0.04%$, 산도 $2.22{\pm}0.01%$, pH $3.7{\pm}0.01$, 당도 $36.3{\pm}0.14\;^{\circ}brix$로 미국산 경쟁 제품보다 조탄수화물, 환원당 함량은 높았고, 회분함량, 산도, 염도는 낮았다.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관능검사 결과, 국내산 고추 케찹은 미국의 유명 케찹 회사의 제품보다 단맛과 짠맛이 약하고, 매운맛은 비슷하다고 평가되었다. 기호도 조사에서는 국내산 고추 케찹이 미국 고추 케찹보다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고추 케찹은 외국인의 입맛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해외 시장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고, 국내산 고추의 새로운 가공식품으로 서의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산 고추를 이용한 핫소스 개발 (Development of Value-added Hot Sauce Products with Korean Chili Peppers (Capsicum annuum L.))

  • 이슬;유경미;박재복;황인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57-263
    • /
    • 2012
  • 국내산 고추를 이용하여 고부가가치 액상 소스를 개발하기 위해 관능검사를 통하여 핫소스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미국 시판 핫소스 43종에 사용된 구성 재료 및 특징을 조사한 결과 시판 핫소스의 주원료는 고추, 소금, 식초이었고 이외에 마늘, 양파, 설탕, 검류 등이 많이 사용되었다. 국내산 핫소스는 시판 핫소스의 특성 분석 결과와 관능검사 결과를 참고하여 토마토(29.2%), 양파(18.2%), 설탕(11.5%), 식초(10.9%), 생고추와 고춧가루(11.0%)를 주성분으로 하였고 변성전분(4%)으로 점도를 조절하였다. 개발한 핫소스의 이화학적 성분 분석결과 염도 $3.04{\pm}0.04%$, 산도 $2.22{\pm}0.01%$, pH $3.7{\pm}0.01$, 당도 $36.3{\pm}0.14^{\circ}brix$으로 미국산 경쟁 제품보다 산도, 염도, 당도가 더 높았고 관능검사 결과 5.4점으로 매우 우수한 기호도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핫소스는 국내산 고추의 새로운 가공식품으로서의 가치가 있으며 국내용 뿐만 아니라 수출용 제품으로도 제조하여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장기저장을 위해 제조한 동결건조 산채 블록의 항산화 활성 변화 (Change of Antioxidant Activities in Preparing Freeze Dried Wild Vegetable Block for the Long-term Storage)

  • 유진균;정미자;김대중;최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2호
    • /
    • pp.1649-1655
    • /
    • 2009
  • 곰취(Ligularia fischeri, GC), 고추잎(Capsicum annuum L., GCY), 취나물(Aster scaber, CNM), 머위대(Petasites japonicus S. et Z. Max, MYD) 및 고구마순(Ipomoea batatas L. (Lam), GGM)과 같은 산채들의 물 추출물의 항산화능력을 평가하고 이들 동결건조 블록 물 추출물들의 항산화력과 비교하였다. 산채 물 추출물들과 그들의 동결건조 블록물 추출물들의 항산화력 측정은 2,2-diphenyl-1-picrylhydrazyl(DPPH) radical 소거작용, hydroxyl radical 소거작용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과 같은 방법에 의해 알아보았다. 산채 물 추출물은 그들의 동결건조 물 추출물보다 총 페놀함량이 더 높았다. GC, GCY, CNM, MYD 그리고 GGM 물추출물들의 총 페놀 함량은 각각 $471.66{\pm}3.52\;{\mu}g/mg,\;141.33{\pm}2.51\;{\mu}g/mg,\;177.33{\pm}2.88\;{\mu}g/mg,\;238.66{\pm}9.50\;\mu}g/mg\;그리고\;122.67{\pm}3.51\;{\mu}g/mg$이었다. 1000 ppm GC, GCY, CNM 그리고 GGM 물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작용은 그들의 동결건조 블록 물 추출물보다 더 높았고, 1000 ppm CNM, GC, GCY, MYD 그리고 GGM의 물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작용은 각각 90.9%, 89.9%, 76.6%, 71.1% 그리고 57.4%였다. 10000 ppm GC, GCY, CNM, MYD 그리고 GGM 물 추출물들은 hydroxyl radical 소거작용을 각각 38.8%, 33.4%, 35.9%, 34.3% 그리고 33.8%까지 증가시켰고, GCY, CNM 그리고 GGM의 물 추출물은 동결건조 블록 물 추출물과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GC와 MYD의 물 추출물이이들 동결건조 블록들의 물 추출물의 hydroxyl radical 소거작용보다 약간 더 영향력이 있었다. 산채 물 추출물들과 이들 동결건조 블록 물 추출물들은 실험된 모든 농도에서 DPPH radical 소거작용 및 hydroxyl radical 소거작용을 나타내었다. GC 물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현저하게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GC 물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작용이 그것의 동결건조 블록 물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작용보다 높았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동결건조블록이 산채와 비교하여 산채가 가지고 있는 항산화력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에 대한 식물추출물의 살충력 평가 (Evaluation of Insecticidal Activity of Plant Extracts against the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Lepidoptera: Plutellidae) on Vegetable Plant)

  • 최이진;권혁현;이한호;손형기;홍상길;강종운;박유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9-25
    • /
    • 2013
  • 본 연구는 살충효과가 알려진 식물체들 중 8종을 공시하여 배추좀나방에 대하여 살충효과의 여부를 검정하고 친환경 유기농산물 재배에 활용할 수 있는지 검토하였다. 식물 추출물 $1500mg{\cdot}L^{-1}$에서 48시간 후의 배추좀나방 살충율은 고추씨 추출물이 83.3%로 가장 높았다. 생물검정을 해서 배추좀나방 방제효과가 있는 고추씨, 애기똥풀, 익모초, 박하, 황련 식물추출물 5종을 선발하였다. 선발한 식물체 5종의 약해 검정 결과 열무와 엇갈이배추의 발아, 유아, 유엽의 생장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온실 안에서 pot에 식물추출물을 처리하여 조사하였는데 열무는 황련추출물을 처리할 때 73.3%의 방제가를 보였고, 고추씨 추출물도 70%의 방제가를 나타냈다. 엇갈이배추는 황련추출물을 처리할 때 70%, 고추씨 추출물을 처리할 때 방제가가 66.7%이었다. 포장에서 선발한 식물추출물의 효과를 피해 엽률로 조사한 결과, 열무는 고추씨 추출물을 처리했을 때 방제가가 62.4%로 나타났다. 엇갈이배추는 황련추출물을 처리할 때 64.6% 방제가를 보였다. 식물추출물을 12회를 처리 한 후 수확 전에 조사한 결과 열무는 황련추출물 및 고추씨추출물은 방제가가 87.4%, 83.7%였고, 엇갈이배추는 방제가가 황련추출물이 74.3%, 애기똥풀 추출물이 69.3%를 나타냈다.

Growth-Promoting Effects of Vegetable Extracts on Selected Human Lactic Acid Bacteria

  • Kim, Moo-Key;Kim, Byung-Su;Baek, Bong-Rea;Shin, Dong-Hwa;Lee, Hoi-Seo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6권3호
    • /
    • pp.192-196
    • /
    • 2001
  • Ethanol extracts from 36 vegetable samples were assayed for their growth-promoting effects on Bifidobacterium bifidum, B. longum, and Lactobacillus casei The growth-promoting effects varied according to bacterial strain and vegetable species. In modified Gy rgy broth, extracts of Lactuca sativa, Lycopersicon esculentum and L escutentum var. cerasiforme exhibited strong growth-promoting responses toward B. longum, and significant and strong growth- promoting response toward B. bifidum was observed in extracts of Actinidia arguta, Allium cepa, A. sativum, Brassica campestris subsp. napus vats. pekinensis, Capsicum frutescens, Daucus carota var. sativa, L sativa, 1. esculentum and L. esculentum var. cerasforme, Nelumbo nucifera, Cucurbita moschata, Lackca sativa var. capitata, and Rubus coreanus. For L casei, extracts of A. fshlosum, A. hberosum, Cichorium intbus, Cucurbita moschat\ulcorner Ipomoea batatas, 1. sativa var. capitata, L. esculentum, P. brachycarpa, Raphanus sativus, R. coreanus, and S. melongena strongly enhanced the growth of this bacteria. In modified Gy rgy broth, the promoting effect was most pronounced with B. bifidum and L. casei among lactic acid bacteria used. In MRS broth, A. arguta, A. cepa, A. sativum, B. campestris subsp. napus var. pekinensis, C. frutescens, and D. carota var. sativa L. satiw var. capitata, and R. coreanus strongly enhanced the growth of B. bifidum, Growth of B. longum was strongly affected by the addition of extracts from L. sativa var. capitata. For L casei, moderate growth-promoting responses were observed in 9 vegetable extracts. The promoting effect in MRS broth was most pronounced with B. bifidum among lactic acid bacteria used.

  • PDF

Determination of Abamectin Residue in Paprika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Xie, Wen-Ming;Ko, Kwang-Yong;Kim, Sung-Hun;Chang, Hee-Ra;Lee, Kyu-Seung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59-364
    • /
    • 2006
  • Reversed-phas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techniques were developed to quantify abamectin (ABM) in paprika (Capsicum annum). Separation was achieved on a $C_{18}$ ODS column with a mobile phase of acetonitrile/water (96/4, v/v) mixture in an isocratic elution at the flow tate of 1.2 mL/min for avermectins (AVMs). The retention times were 8.0 and 9.7mins for AVM $B_{lb}$ and AVM $B_{1a}$, respectively. Residual AVMs (sum of AVM $B_{1a}$, AVM $B_{1b}$ and 8,9-Z-AVM $B_{1a}$) in the vegetable were extracted with acetonitrile, and the silica solid-phase extraction cartridges were used to purify the extract. AVMs were derivatized using trifluoroacetic acid and 1-methylimidazole, and the derivatives were determined with a fluorescence detector (excitation at 365 nm and emission at 470 nm). High and consistent recoveries, ranging from 93% to 115%, were obtained for AVM $B_{1a}$ and 8, 9-Z-AVM $B_{1a}$ at fortified levels of $20{\mu}g/kg\;and\;200{\mu}g/kg$ for paprika. The limit of quantitation (LOQ) was $2{\mu}g/kg$. The residual levels of AVMs in paprika in a field experiment from one day to seven days after the last application decreased from 18.40 to $7.59{\mu}g/kg$. The half-life $(T_{1/2})$ of AVMs in paprika was 1.47 days.

제주 재래식된장의 생리적 특성 (Physiological Properties of Jeju Traditional Doenjang)

  • 황준호;오유성;임자훈;박지은;김미보;윤훈석;임상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2호
    • /
    • pp.1656-1663
    • /
    • 2009
  • 곰취(Ligularia fischeri, GC), 고추잎(Capsicum annuum L., GCY), 취나물(Aster scaber, CNM), 머위대(Petasites japonicus S. et Z. Max, MYD) 및 고구마순(Ipomoea batatas L. (Lam), GGM)과 같은 산채들의 물 추출물의 항산화능력을 평가하고 이들 동결건조 블록 물 추출물들의 항산화력과 비교하였다. 산채 물 추출물들과 그들의 동결건조 블록물 추출물들의 항산화력 측정은 2,2-diphenyl-1-picrylhydrazyl(DPPH) radical 소거작용, hydroxyl radical 소거작용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과 같은 방법에 의해 알아보았다. 산채 물 추출물은 그들의 동결건조 물 추출물보다 총 페놀함량이 더 높았다. GC, GCY, CNM, MYD 그리고 GGM 물추출물들의 총 페놀 함량은 각각 $471.66{\pm}3.52\;{\mu}g/mg,\;141.33{\pm}2.51\;{\mu}g/mg,\;177.33{\pm}2.88\;{\mu}g/mg,\;238.66{\pm}9.50\;\mu}g/mg\;그리고\;122.67{\pm}3.51\;{\mu}g/mg$이었다. 1000 ppm GC, GCY, CNM 그리고 GGM 물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작용은 그들의 동결건조 블록 물 추출물보다 더 높았고, 1000 ppm CNM, GC, GCY, MYD 그리고 GGM의 물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작용은 각각 90.9%, 89.9%, 76.6%, 71.1% 그리고 57.4%였다. 10000 ppm GC, GCY, CNM, MYD 그리고 GGM 물 추출물들은 hydroxyl radical 소거작용을 각각 38.8%, 33.4%, 35.9%, 34.3% 그리고 33.8%까지 증가시켰고, GCY, CNM 그리고 GGM의 물 추출물은 동결건조 블록 물 추출물과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GC와 MYD의 물 추출물이이들 동결건조 블록들의 물 추출물의 hydroxyl radical 소거작용보다 약간 더 영향력이 있었다. 산채 물 추출물들과 이들 동결건조 블록 물 추출물들은 실험된 모든 농도에서 DPPH radical 소거작용 및 hydroxyl radical 소거작용을 나타내었다. GC 물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현저하게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GC 물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작용이 그것의 동결건조 블록 물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작용보다 높았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동결건조블록이 산채와 비교하여 산채가 가지고 있는 항산화력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