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psicum annuum L.

검색결과 437건 처리시간 0.021초

식용식물들이 MCF-7 cell의 chromosome형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me edible plants on changing chromosomal morphology, and apoptosis of MCF-7 cell)

  • 정용자;곽수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40-348
    • /
    • 2002
  • Capsicum annuum, Lactuca dentata Makino., Equisetum arvense, 들의 MCF-7 mammary gland adenocarcinoma cell line에서의 항증식효과는 현미경관찰과 세포수 관찰에서 얻은 결과와 거의 동일하게 Chromosome의 condensation, PI염색에서의 핵 변화, 전기영동과 흡광도법을 이용하여 관찰된 세포의 DNA fragmentation 결과에서도 시료에 따른 항종양증식억제효과가 유사하게 관찰되었다. 즉 그 결과는 Capsicum annuum L. var. angulosum Mill, leaves 추출시료틀 첨가한 경우에는 세포증식을 위한 탁상조차도 제대로 되지 않음이 확인되었고, 세포변형과 apoptosis의 일부가 2∼3일후 부터 관찰되었다. chromosome 농축 현상도 시료첨가 37시간에 관찰되었고, PI염색법에서도 시료첨가 3시간에 핵 농축현상이 관찰되기 시작하였다. 그 핵 농축현상을 배양시간에 따라 농축현상이 더해가다가 48시간에 파쇄현상을 보였다. 이 실험결과에서 Capsicum annuum L. var. angulosum Mill 추출물을 첨가한 배지의 MCF-7cell은 apoptosis의 형태학적 특징인 chromosome의 degradation과 PI염색법에서 핵의 농축이 발견되었으며 48시간 위 핵파편들을 관찰할 수 있었다. 전기영동을 이용한 세포의 DNA fragmentation관찰에서도 염색체 DNA의 관찰이 거의 확인되지 않았다. 260 nm 흡광도측정으로 부유층의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에서도 Capsicum annuum L. var. angulosum Mill은 배양초기부터 부유층의 흡광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들의 결과에서 Capsicum annuum L. var. angulosum Mill은 MCF-7 cell의 세포사를 유도하여 강한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Equisetum arvense L와 Lactuca dentata Makino. var. flaviflora Makino에서도 배양 2∼3일에 세포성장이 억제되고 2일에 chromosome의 condensation과 degradation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Capsicum annuum, Lactuca dentata Makino, Equisetum arvense 추출물에서 모두 항암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당조고추 70%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암활성측정 (Anti-Oxidative and Anti-Proliferative Effect of 70% Ethanol Extracts from Green Pepper (Capsicum annuum L. cv. DangZo))

  • 이연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127-1131
    • /
    • 2017
  • 당조고추의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당조고추 70%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 및 항암활성을 측정하였다. 당조고추 70%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은 30.29 mg GAE/g extract로 나타났다. 당조고추 70%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DPPH radical 및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을 $IC_{50%}$ 측정한 각각 2.87, 10.55 mg/mL의 소거활성을 보여 주었으며, ${\alpha}$-glucosidase 및 ${\alpha}$-amylase 저해활성은 10 mg/mL의 농도에서 각각 35.67, 58.41%로 나타났다. 당조고추 70%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항암활성은 대장암 세포주의 0.5 mg/mL 농도에서 50% 암세포 성장억제를 보였지만, 다른 암세포에서는 억제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고추의 Tobamovirus 저항성 L 유전자좌와 연관된 대립유전자 특이적인 마커 세트 (A Set of Allele-specific Markers Linked to L Locus Resistant to Tobamovirus in Capsicum spp.)

  • 이준대;한정헌;윤재복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3호
    • /
    • pp.286-293
    • /
    • 2012
  • 고추에 있어서 Tobamovirus 저항성은 고추 염색체 11번 긴 팔 끝부분에 위치한 L 유전자좌의 다섯 개 대립유전자($L^0$, $L^1$, $L^2$, $L^3$, and $L^4$)에 의해 조절된다고 알려져 있다. 표현형 분석 없이 L 대립유전자를 구분할 수 있는 분자표지를 개발하기 위해서 다섯 개의 고추 판별 계통{Capsicum annuum Early California Wonder(ECW, $L^0L^0$), C. annuum Tisana($L^1L^1$), C. annuum Criollo de Morelos 334(CM334,$L^2L^2$), Capsicum chinense PI 159236($L^3L^3$), and Capsicum chacoense PI 260429($L^4L^4$)}을 식물재료로 사용하였다. 대립유전자 특이적 분자표지는 고추 판별 계통에 대해 $L^3$ 연관 분자표지(189D23M, A339, and 253A1R)와 BAC 염기서열(FJ597539 and FJ597541)의 PCR 증폭산물 염기서열을 비교 분석하여 개발되었다. 총 53개의 상용 고추 품종 중 48개에서 분자표지에 의한 추정 유전자형과 Tobamovirus{Tobacco mosaic virus(pathotype 0, $P_0$), Tomato mosaicvirus($P_1$), and Pepper mild mottle virus($P_{1,2}$)} 접종 표현형과 일치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분자표지는 고추 육종에 있어서 TMV 저항성 도입에 필요한 선발마커로 충분히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수종식물의 MCF-7 세포에 대한 세포사 및 항ㆍ증식효과 (Apoptotic Effects of Some Plants on MCF-7 Mammary Gland Adenocarcinoma Cells)

  • 정용자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1-66
    • /
    • 2004
  • 식용식물 Capsicum annuum L., Lactucs dentata Makino., Sedum sarmentosum Bunge, Perilla frutescens Brit., Agastache rugosa Kuntz, Equisetum arvense L., Chrysanthemum coronarium, Arctium lappa, Cinnamomum camphora Sibe.들의 MCF-7 mammary gland adenocarcinoma cell line에 대한 증식억제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MTT 비색정량법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Cupsicum annuum L. 추출시료를 첨가한 경우에 MCF-7세포의 성장은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며, 결과에서 분명한 항암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특히 Capsicum annuum L. leaf은 1 $\mul/ml$ 첨가에서 35,3%의 증식억제효과를 보였고, 2.5 $\mul/ml$에서 42.9%, 7.5 $\mul/ml$에서 94.8%의 세포성장억제를 관찰할 수 있었다. Capsicum annuum L. fruit unripen 추출물 10 $\mul/ml$에서 75%, 25 $\mul/ml$에서 80%의 성장억제률을 보였다. Equisetum arvense L. 와 Lactuca dentata Makino. var. flaviflora Makino에서도 세포성장이 억제됨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Lactuca dentata Makino. var. flaviflora Makino추출시료 첨가군에서는 10 $\mul/ml$ 첨가에서 30%, 25 $\mul/ml$에서 52%의 성장억제률을 보였다. Equisetum arvense L.은 10 $\mul/ml$ 첨가군에서 11%, 25 $\mul/ml$에서 25%의 성장억제률을 보였다. 배양세포의 형태변화를 관찰해 본 결과에서도, 첨가시료가 Capsicum annuum L. leaf인 경우 착상이 어렵고 3일부터는 세포탈락과 세포파괴가 일어나기 시작하여 6일째엔 거의 모든 세포에서 세포사현상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Capsicum annuum L. fruit unripen와 Lactuca dentata Makino. var. flaviflora Makino 추출액을 첨가한 경우에도 배양4일에 세포의 변형과 성장지연이 관찰되었으며, 8일째에 파괴되기 시작하여 배양14일과 19일에 많은 세포사현상의 파편들이 관찰되었다. Equisetum arvense L.는 배양4일에 세포성장은 지연되었으나 여전히 잘 자랐으며 일부세포에서 변형이 관찰되었다. 12일째에도 성장은 계속되었고 일부세포만이 변형을 보였으며 18일째에도 비슷한 결과로 관찰되었다.

고추와 가바쌀을 첨가한 기능성 마카롱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Macaronè with Korean Red Peppers (Capsicum annuum L.) and GABA rice and Evaluation of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 유경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51-357
    • /
    • 2015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macaron{\grave{e}}$ with Korean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and GABA (${\gamma}$-aminobutyric acid) rice powder and analyze their physico-chem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Korean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was added to $macaron{\grave{e}}$ at a weight percentage of 0, 2.5 and 4.5%. Color values (L-value, redness, and yellowness), total sugar content, total phenolics, total carotenoids,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extur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with varying various Korean red pepper were measured. As the ratio of the powders in the $macaron{\grave{e}}s$ increased, total phenolic content, total carotenoid content,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phenolic and total carotenoid content of $macaron{\grave{e}}s$ (p<0.05). Sensory evaluation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in color, sweetness,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depending on the addition of Korean red pepper. KR30 $macaron{\grave{e}}$, showed higher overall acceptability, as compared to other $macaron{\grave{e}}$.

Optimized Protocols for Efficient Plant Regeneration and Gene Transfer in Pepper (Capsicum annuum L.)

  • Mihalka, Virag;Fari, Miklos;Szasz, Attila;Balazs, Ervin;Nagy, Istvan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2권3호
    • /
    • pp.143-149
    • /
    • 2000
  • An Efficient in vitro regeneration system and an optimized Agrobacterium mediated transformation protocol are described, based on the use of young seedling cotyledons of Capsicum annuum L. Optimal regeneration efficiency can be obtained by cultivating cotyledon explants on media containing 4 mg/L benzyladenine and 0.1 mg/L indolacetic acid. The effect of antibiotics used to eliminate Agrobacteria, as well as the toxic level of some generally used selection agents (kanamycin, geneticin, hygromycin, phosphinotricin and methotrexate) in regenerating pepper tissues were determined. To enable the comparison of different selection markers in identical vector background, a set of binary vectors containing the marker genes for NPTII, HPT, DHFR and BAR respectively, as well as the CaMV 35S promoter/enhancer-GUS chimaeric gene was constructed and introduced into four different Agrobacterium host strains.

  • PDF

품종별 고추(꽃고추, 홍고추 및 홍피망)의 총폴리페놀,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Study of Three Varieties of Red Peppers in Terms of Total Polyphenol,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 변의백;박우용;안동현;유영춘;박철환;박원종;장범수;변의홍;성낙윤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765-770
    • /
    • 2016
  • 꽃고추(Capsicum annuum var. abbreviatum)는 Capsicum annuum 속의 변이종으로 열매 성숙과정에 따라 고추의 색이 초록색, 보라색, 노란색, 주황색, 빨간색 및 검은색으로 변하여 오색고추라고도 명명한다. 현재 꽃고추는 화려한 색 때문에 관상용으로 다량 재배되고 있지만, 꽃고추의 생리활성 및 생리활성 물질 분석에 관한 연구들은 전무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관상용으로만 재배되는 꽃고추의 기능성에 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꽃고추와 국내에서 식용으로 가장 많이 유통되고 소비되는 2종(Capsicum annuum, 홍고추; Capsicum annuum var. angulosum, 홍피망)의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 활성에 관하여 비교해 보았다. 천연물 항산화력의 지표물질인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꽃고추가 국내에서 식용으로 널리 알려진 고추 2종보다 더욱 높게 측정되었다. 또한 꽃고추가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 및 환원력 평가에서도 다른 2종보다 더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이는 현재 관상용으로만 재배되는 꽃고추가 천연 항산화 소재로 개발될 가능성이 충분함을 보여주고 있다.

The Ozone Stress Transcriptome of Pepper (Capsicum annuum L.)

  • Lee, Sanghyeob;Yun, Sung-Chul
    • Molecules and Cells
    • /
    • 제21권2호
    • /
    • pp.197-205
    • /
    • 2006
  • We used cDNA microarrays to monitor the transcriptome of ozone stress-regulated genes (ORGs) in two pepper cultivars [Capsicum annuum cv. Dabotop (ozone-sensitive) and Capsicum annuum cv. Buchon (ozone-tolerant)]. Ozone stress up- or down-regulated 180 genes more than three-fold. Transcripts of 84 of these ORGs increased, transcripts of 88 others diminished, and those of eight either accumulated or diminished at different time points in the two cultivars or changed in only one of the cultivars. 67% (120) of the ORGs were regulated differently in ozone-sensitive and ozone-tolerant peppers, most being specifically up-regulated in the ozone-sensitive cultivar. Many were also represented in the plant defense transcriptome against non-host pathogen infection, and some in the transcriptomes for cold, drought, and salinity stresses.

고추(Capsicum annuum L.) 배양세포의 Elicitor 유도성 Phytoalexin 생성 (Elicitor-InduciblePhytoalexin from Cell Suspension Cultures of Pepper(Capsicum annuum L.))

  • 권순태;오세명
    • 생명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08-413
    • /
    • 1999
  • Extracellular capsidiol, sesquiterpenoid phytoalexin, in the medium of pepper (Capsicum annuum L.) suspension cells was not identified from control cells, but highly accumulated in the elicitor-induced cells within 6 hours after the addition of 0.05$\mu\textrm{g}$/$m\ell$ cellulase. Capsidiol production in elicitor-induced cells was markedly suppressed by cytochrome P450 inhibitors, such as ancymidol and ketoconazole demonstrating that biosynthesis of capsidiol is catalyzed by at least on hydroxylation enzyme in the biochemical pathway. Based on protein electrophoresis, two bands, 23.0kDa and 27.5kDa, were identified as newly synthesized polypeptides in the elicitor-induced suspension cells, suggesting that pepper cells which were subjected to elicitor treatment activate specific gene(s) for capsidiol biosynthesis in cultured cells.

  • PDF

Molecular and Morphological Characterization of Endophytic Heterobasidion araucariae from Roots of Capsicum annuum L. in Korea

  • Paul, Narayan Chandra;Deng, Jian Xin;Shin, Kyu-Seop;Yu, Seung-Hun
    • Mycobiology
    • /
    • 제40권2호
    • /
    • pp.85-90
    • /
    • 2012
  • A species of Heterobasidion was encountered during a diversity study of endophytic fungi from healthy root tissues of chili pepper (Capsicum annuum L.) in Korea. The fungal species (CNU081069) was identified as Heterobasidion araucariae based on phylogenetic analyse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and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gene sequences. Morphological descriptions of the endophytic isolate matched well with the previous references and supported the molecular identification. The fungus Heterobasidion araucariae CNU081069 is new to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