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nopy temperature

검색결과 165건 처리시간 0.025초

Altering Conidial Dispersal of Alternaria solani by Modifying Microclimate in Tomato Crop Canopy

  • Jambhulkar, Prashant Prakash;Jambhulkar, Nitiprasad;Meghwal, Madanlal;Ameta, Gauri Shankar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2권6호
    • /
    • pp.508-518
    • /
    • 2016
  • Early blight of tomato caused by Alternaria solani, is responsible for severe yield losses in tomato. The conidia survive on soil surface and old dry lower leaves of the plant and spread when suitable climatic conditions are available. Macroclimatic study reveals that highest inoculum concentration of Alternaria spores appeared in May 2012 to 2013 and lowest concentration during January 2012 to 2013. High night temperature positively correlated and significantly (P < 0.01) involved in conidial spore dispersal and low relative humidity (RH) displayed significant (P < 0.05) but negative correlation with conidial dispersal.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modify microclimatic conditions of tomato crop canopy which may hamper conidial dispersal and reduce disease severity. We evaluated effect of marigold intercropping and plastic mulching singly and in consortia on A. solani conidial density, tomato leaf damage and microclimatic parameters as compar to tomato alone (T). Tomato-marigold intercropping-plastic mulching treatment (T + M + P) showed 35-39% reduction in disease intensity as compared to tomato alone. When intercropped with tomato, marigold served as barrier to conidial movement and plastic mulching prevented evapotranspiration and reduced the canopy RH that resulted in less germination of A. solani spores. Marigold intercropping and plastic mulching served successfully as physical barrier against conidial dissemination to diminish significantly the tomato foliar damage produced by A. solani.

서울 도심 가로수 및 가로녹지의 기온 저감 효과와 기능 향상 연구 (A Study on Air Temperature Reduction Effect and the Functional Improvement of Street Green Areas in Seoul, Korea)

  • 정희은;한봉호;곽정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7-49
    • /
    • 2015
  • 본 연구는 도시 내 가로수 및 가로녹지의 수종, 식재유형, 가로녹지 구조, 녹량(녹지용적)에 따른 기온 변화량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수종별 비교 가능한 3종 이상의 가로수가 식재된 유형은 교목 1열+관목이었으며, 보차간 기온차이 평균값 간 분석에서 소나무 $1.35^{\circ}C$, 느티나무 $1.84^{\circ}C$, 은행나무 $2.00^{\circ}C$, 양버즘나무 $2.57^{\circ}C$이었다. 규격이 크고 수관폭이 넓은 수종은 가로변에 그늘을 제공하여 기온 저감에 상당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로수 식재유형과 기온과의 관계 분석결과는 교목 1열 유형은 평균기온 차이 $1.80^{\circ}C$, 교목 2열 유형은 평균기온 차이 $2.15^{\circ}C$로 교목 열수 증가에 따라 보차간 기온차이 평균값이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가로녹지 구조별 기온 저감 효과 분석결과는 교목 유형 $1.94^{\circ}C$, 교목+관목 유형 $2.49^{\circ}C$, 교목+아교목+관목 유형 $2.57^{\circ}C$이었으며, 기온저감은 단층구조보다 다층구조에서 효과적이었다. 녹량(녹지용적량)과 기온저감량과의 관계 분석에서는 녹량이 많을수록 기온저감 효과가 커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수관용적이 크고 교목층의 열수가 많으며, 다층구조인 식재형태는 가로 내 녹량과 관계가 있음을 의미하였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기온 저감 효과와 기능 강화를 위한 가로녹지 조성 기준을 제안하였다. 보도폭 3m 이하인 경우에는 수관용적이 작은 낙엽활엽수와 최대 1m의 띠녹지 조성을 통한 교목+관목의 구조를 제시하였다. 보도폭 3m 이상인 경우에는 수관용적이 큰 낙엽활엽수 다열 식재 및 1m 이상의 띠녹지 조성, 교목과 관목뿐만 아니라, 아교목 성상의 수목 식재를 통한 다층구조 녹지조성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서울 건물정보 자료를 활용한 UM 기반의 도시캐노피 모델 입력자료 구축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Urban Canopy Model Based on Unified Model Input Data Using Urban Building Information Data in Seoul)

  • 김도형;홍선옥;변재영;박향숙;하종철
    • 대기
    • /
    • 제29권4호
    • /
    • pp.417-427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urban canopy model (Met Office Reading Urban Surface Exchange Scheme, MORUSES) based to Unified Model (UM) by using urban building information data in Seoul, and then to compare the improving urban canopy model simulation result with that of Seoul Automatic Weather Station (AWS) observation site data. UM-MORUSES is based on building information database in London, we performed a sensitivity experiment of UM-MOURSES model using urban building information database in Seou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analysis of 1.5 km resolution Seoul building data is applied instead of London building information data. Frontal-area index and planar-area index of Seoul are used to calculate building height. The height of the highest building in Seoul is 40m, showing high in Yeoido-gu, Gangnam-gu and Jamsil-gu areas. The street aspect ratio is high in Gangnam-gu, and the repetition rate of buildings is lower in Eunpyeong-gu and Gangbuk-gu. UM-MORUSES model is improved to consider the building geometry parameter in Seoul. It is noticed that the Root Mean Square Error (RMSE) of wind speed is decreases from 0.8 to 0.6 m s-1 by 25 number AWS in Seoul. The surface air temperature forecast tends to underestimate in pre-improvement model, while it is improved at night time by UM-MORUSES model. This study shows that the post-improvement UM-MORUSES model can provide detailed Seoul building information data and accurate surface air temperature and wind speed in urban region.

기상청 국지기상예측시스템을 이용한 서울의 도시열섬강도 예측 평가 (Evaluation of the Urban Heat Island Intensity in Seoul Predicted from KMA Local Analysis and Prediction System)

  • 변재영;홍선옥;박영산;김연희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35-148
    • /
    • 2021
  • 본 연구는 기상청 현업모델(LDAPS)로부터 예측된 서울의 도시열섬 강도와 지상 기온을 AWS 관측과 비교 평가하였다. 관측된 서울의 열섬 강도는 봄과 겨울동안 증가하며 여름동안 감소한다. 열섬 강도의 시간적 변동 경향은 새벽 시간 최대, 오후에 최소를 보인다. 기상청 국지기상예측시스템(LDAPS)으로부터 예측된 열섬 강도는 여름철 과대모의, 겨울철 과소모의 특징을 보인다. 특히 여름철은 주간에 과대 모의 경향이 증가하며, 겨울은 새벽 시간 과소 모의 오차가 크게 나타난다. LDAPS에서 예측된 지면 기온의 오차는 여름철 감소하며 겨울철 증가한다. 겨울철 열섬 강도의 과소 모의는 도시 기온의 과소 모의와 관련되었으며, 여름철 열섬 강도의 과대 모의는 교외 지역 기온의 과소 모의로부터 기인하는것으로 판단된다. 도시 열섬강도 예측성 개선을 위하여 도시효과를 고려하는 도시캐노피모델을 LDAPS와 결합하여 2017년 여름 기간동안 모의하였다. 도시캐노피모델 적용 후 도시의 지면 기온의 오차는 개선되었다. 특히 오전시간 과소모의되는 기온의 오차 개선 효과가 뚜렷하였다. 도시캐노피모델은 여름동안 과대 모의하는 도시열섬강도를 약화시키는 개선 효과를 보였다.

광도, 온도, 생육 시기에 따른 식물공장 모듈 재배 로메인 상추의 3 변수 군락 광합성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 Three-Variable Canopy Photosynthetic Rate Model of Romaine Lettuce (Lactuca sativa L.) Grown in Plant Factory Modules Using Light Intensity, Temperature, and Growth Stage)

  • 정대호;윤효인;손정익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68-275
    • /
    • 2017
  • 광도와 온도 같은 환경 요인에 의해 광합성 속도가 변화하기도 하며, 생육 시기에 따른 광합성 효율의 변화가 수반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흑로메인 상추(Lactuca sativa L., Asia Heuk romaine)를 이용하여 광도와 온도, 생육 시기에 따른 군락 광합성 속도를 표현하는 두 모델을 구축하고 비교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군락 광합성은 정식 후 4, 7, 14, 21, 28 일차 상추를 아크릴 챔버($1.0{\times}0.8{\times}0.5m$)에 넣어 측정하였으며, 이 때 챔버 내부의 온도는 $19^{\circ}C$에서 $28^{\circ}C$까지 변화시켰고 광원은 LED를 이용하여 50에서 $500{\mu}mol{\cdot}m^{-2}{\cdot}s^{-1}$까지 변화시키며 실험하였다. 챔버 내부의 초기 이산화탄소 농도는 $2,000{\mu}mol{\cdot}mol^{-1}$로 설정하였으며, 시간에 따른 이산화탄소 농도의 변화율을 이용하여 군락 광합성 속도를 계산하였다. 각 환경요인을 표현하는 3개 식을 곱하여 만든 단순곱 모델을 구성하였다. 이와 동시에 온도와 생육 시기에 따라 변화하는 광화학 이용효율과 카르복실화 컨덕턴스, 호흡에 의한 이산화탄소 발생 속도를 포함하는 수정된 직각쌍곡선 모델을 구성하여 단순곱 모델과 비교하였다. 검증 결과 단순곱 모델은 0.849의 $R^2$ 값을 나타내었으며, 수정된 직각쌍곡선 모델은 0.861의 $R^2$ 값을 나타내었다. 수정된 직각쌍곡선 모델이 단순곱 모델에 비해 환경 요인(광도, 온도), 생육 요인(생육 시기)에 따른 군락 광합성 속도를 표현하는 데 더욱 적합한 모델인 것으로 판단하였다.

Comparative Drought Resistances among Eleven Warm-Season Turfgrasses and Associated Plant Parameters

  • Kim, Ki Sun;Beard, James B.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7권3호
    • /
    • pp.239-245
    • /
    • 2018
  • Comparative drought resistances of 11 perennial warm-season turfgrasses were evaluated in the field after withholding irrigation for 48 days in summer I and 57 days in summer II. There were significant variations among the grasses in their drought resistances. From two years study of field shoot recovery from drought stress, the relative rankings among the 11 warm-season turfgrasses was as follows. 'Arizona Common' and 'Texturf 10' bermudagrasses [Cynodon dactylon (L.) Pers.], 'Tifgreen' hybrid bermudagrass [C. dactylon (L.) Pers. ${\times}$ C. transvaalensis Davy], and 'Georgia Common' centipedegrass [Eremochloa ophiuroides (Munro.) Mack.] possessed good drought resistances, whereas 'Texas Common' St. Augustinegrass [Stenotaphrum secundatum (Walt.) Kuntze] and 'Tifway' hybrid bermudagrass [Cyndon dactylon (L.) Pers ${\times}$ C. transvaalensis Davy] possessed poor drought resistances. 'Texas Common' buffalograss [Buchloe dactyloides (Nutt.) Engelm.], 'Pensacola' bahiagrass (Paspalum notatum Flugge.), and 'Adalayd' seashore paspalum (Paspalum vaginatum Swartz), 'Meyer' zoysiagrass (Zoysia japonica Steud.), 'Emerald' zoysiagrass (Z. japonica Steud. ${\times}$ Z. tenuifolia Willd. ex Trin.) were found to rank intermediate. Visual leaf firing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r=-0.84) to shoot recovery from drought stress. Visual leaf rolling (r=-0.59) and canopy-air temperature differential (r=-0.64) also showed very significant correlations, whereas leaf water potential (r=0.54) showed relatively lower correlation.

온실작물의 관개계획의 수립을 위한 엽온의 활용 (Using Leaf Temperature for Irrigation Scheduling in Greenhouse)

  • 이남호;이훈선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103-112
    • /
    • 2001
  • The development of infrared thermometry has led many researchers to use plant temperatures, and specifically the temperature of the crop canopy in the field, for estimating the water stress of a crop.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ole of leaf temperature in irrigation scheduling. An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a greenhouse with chinese cabbage. Leaf temperature was measured with infrared thermometry and evapotranspiration of the crop was measured by lysimeters. Influence of the difference between leaf temperature and air temperature on crop evapotranspiration was evaluated under varying water stress condition. A further objective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other climatic variabl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vapotranspiration and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leaf and air. A statistical model for estimating evapotranspiration us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relative humidity. and radiation was developed and tested. Crop water stress index was calculated using vapour pressure deficit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Relations between the crop water stress index and crop evapotranspiration was tested. The index was closely related with evapotranspiration.

  • PDF

온실 환경요인의 공간적 및 수직적 특성 분석과 온실 종류에 따른 이산화탄소 농도 비교 (Analysis of Spatial and Vertical Variability of Environmental Parameters in a Greenhouse and Comparison of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wo Different Types of Greenhouses)

  • 정영애;장동철;권진경;김대현;최은영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21-229
    • /
    • 2022
  • 본 연구는 환경측정용 센서 위치에 따른 온실 환경의 공간·수직적 특성을 조사하고 온실 종류에 따른 온도, 광도 및 CO2 농도 간의 상관관계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벤로형 온실의 공간적인 5지점을 선정한 후 각 지점에서 대표적 작물의 수직적 높이 4지점과 지면부, 지붕 공간에 온도, 상대습도, CO2, 엽온 및 광센서를 설치하였다. 벤로형 온실과 반밀폐형 온실에서 온도, 광도 및 CO2 농도 변화의 관계성을 Curve Expert Professiona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벤로형 온실의 공간적 위치에 따른 편차는 CO2 농도가 다른 요인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CO2 농도는 평균 465-761µmol·mol-1 범위였고, 편차가 가장 큰 시간대는 오후 5시였으며, 최고 농도는 액화 탄산가스 공급장치의 메인 배관(50Ø)과 가까운 위치인 중앙 후부(Middle End, 4ME)에서 646µmol·mol-1, 최저농도는 좌측 중앙(Left Middle, 5LM)에서 436µmol·mol-1이었다. 수직적 위치에 따른 편차는 온도와 상대습도가 다른 요인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기온의 편차가 가장 큰 시간대는 오후 2시대이며, 최고 기온은 작물 위 공기층(Upper Air, UA)에서 26.51℃, 최저 기온은 작물의 하단부(Lower Canopy, LC)에서 25.62℃였다. 평균 상대습도의 편차가 가장 큰 시간대는 오후 1시대로 나타났으며, 최고 습도는 LC에서 76.90%, 최저 습도는 UA에서 71.74%이다. 각 시간대에 평균 CO2 농도가 가장 높은 수직적 위치는 지붕 공간 공기층(Roof Air, RF)과 시설 내 지면(Ground, GD)이었다. 온실 내 온도, 광도 및 CO2 농도의 관계성은 반밀폐형 온실의 경우 결정계수(r2)가 0.07, 벤로형 온실은 0.66이었다.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온실 내 CO2 농도는 공간적 분포, 온도와 습도는 작물의 수직적 분포 차이를 측정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고 환기율이 낮은 반밀폐형 온실의 경우 목표 CO2 시비 농도가 일반 온실과 다르게 설정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