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nonical ordination analysis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18초

생태학의 통계적 서열화 방법 비교에 관한 연구 (A Comparison Study for Ordination Methods in Ecology)

  • 고현석;전명식;정형철
    • 응용통계연구
    • /
    • 제28권1호
    • /
    • pp.49-60
    • /
    • 2015
  • 군생태학에서 종, 장소 그리고 환경변수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보기 위해 대응분석, 정준대응분석 등 다양한 서열화방법들을 사용한다. Ter Braak (1986), Jackson 등 (1991), Parmer (1993) 등은 고유값 및 거리그래프를 이용하여 서열화방법들을 비교하고 있는데, 이 방법들은 조사된 데이터에 근거하고 있기 때문에, 모집단과 행렬도의 관계를 보여주지는 못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행렬도에 모집단 정보의 표현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이를 활용하여 서열화방법들을 객관적으로 비교하였다. 비교결과, 정준대응분석은 대응분석과 유사한 정분류율을 유지하면서도 환경정보를 이차원 공간에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 분석임을 확인하였다.

DCCA 와 Polar Ordination 에 依한 無等山의 森林 群落 分析 (Detrended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and polar ordination analysis on the forest communities of mudungsan.)

  • Kim, Chang-Hwan;Kil, Bong-Seop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5권2호
    • /
    • pp.117-125
    • /
    • 1992
  • TWINSPAN(two-way indicator species analysis), DCCA(detrended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and polar ordination method wee used so as to analyze the the relation between forest vegetation and hibitat of mudungsan(1, 187m) located in kwangju area. Vegetationsurvey consulted 1:25, 000 topographical map, set up 41 quadrats and analyzed from April, 1990 to August, 1991. Forest vegetation of mudungsan was classifild to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fraxinus mandshurica community, quercus mongolica community, quercus serrata community, quercus dentata community,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and pinus densiflora community by TWINSPANmethod, and this almost coincide with the result of plar ordination. according to DCCA analysis, P. densiflora community was formed in xeric and low altitude region which soil nutrient was poor, compared with other communities. q. variabilis and q. acutissima community wee distributed in the region that low altitude and organic matter content was comparatively low, but q. acutissima community was formed in a damp region while q. variabilis community in a xeric region. q. mongolica and f. mandshurica formed the communities in a high altitude region, especially f. mandshurica cmmunity was distributed in a high humidity region. According to polar ordination analysis,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to 7 communities by means of environmental gradient such as humidity, organic matter, ph, temperature, c.e.c and P2O5.

  • PDF

덕유산 지의식물 분포에 대한 정준분석법의 적용연구 (An Application of Canonical Analysis on the Distribution of Lichens in Mt. Duckyuoo)

  • Park, Seung Tai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9권3호
    • /
    • pp.135-147
    • /
    • 1986
  • The simplification and the searching trends of complex data which assumed relationship between predictor variables and object variables are one of primary objective of ecological research. This study was aimed to apply cononical analysis consisting of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and canonical variate analysis related to lichen vegetation and several environmental variables which are elevation, height on grond, exposure side and cover values. Data collected from the Duckyoo National Park in August 1985. Lichen species was ranked by eqivocation information theory with cover values.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was applied to one data set both set both environmental variables and lichem family. In order to make two sets of data matrix the scale of position vector ordination was calculated from the vector scalar product for lichen species. Canonical variate analysis was applied to rearranged data which was made by interval class code for environmental variables. The sharpness values was calculated in frequency of cotingency tables and the dispersion profiles of each species in classes of environmental variables was designed to extract component values based on the decomposition of expected frequencies in contingency table. The results of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canonical first correlation value 0.815(89%), and second correlation value 0.083(11%). Significance test showed that the hypothesis of joint mutuallity of canonical correlation is accepted (P>0.05). The relation between canonical score of vegetation variables and that of environmental variable indicated linear tendency.

  • PDF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CCA)에 의한 덕유산 국립공원의 삼림식생분석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CCA) on the Forest Vegetation of Mt. Togyu National Park, Korea)

  • 김창환;길봉섭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0권2호
    • /
    • pp.125-132
    • /
    • 1997
  • A study of forest vegetation in Mt. $T\v{o}kyu$ National Park was investigated by ordination technique. By TWINSPAN(Two-Way Indicator Species Analysis) method, 10 groups were recognized as follows: pinus densiflora, Quercus variabilis, Quercus serrata, Quercus mongolica-Rhododendron schlippenbachii, Quercus mongolica-Abies koreana, Quercus mongolica-Acer pseudo-sieboldi-amum, Quercus mongolica-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Carpinus laxiflora, Fraxinus mandshurica and Taxus cuspidata groups. The floristic composition of these groups showed high correlation to soil moisture(r=0.831), altitude(r=0.784), topography(r=-0.722), organic matter(r=0.642), and pH(r=-0.509) among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CA(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Pinus densiflora group and Quercus variabilis group were situated in a xeric area at a lower altitude where soil nutrients were poor compared with the other groups. Fraxinus mandshurica group was distributed throughout the valley with high soil moisture and good nutrients, Quercus serrata group and Carpinus laxiflora group were found in the low altitude region with good nutrients, Quercus mongolica group, at the high altitude region with good nutrients, and Quercus mongolica-Acer koreana and Taxus cuspidata at higher altitudes(1, 400-1600 m).

  • PDF

정준대응분석에서 붓스트랩 방법 활용 (Applications of Bootstrap Methods for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 고현석;전명식;정형철
    • 응용통계연구
    • /
    • 제28권3호
    • /
    • pp.485-494
    • /
    • 2015
  • 정준대응분석은 생태학에서 장소, 종 그리고 환경변수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보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서열화 방법 중의 하나이다. 그런데 이 방법은 표본이 바뀔 때마다 분석결과가 달라지기 때문에 종 간의 생태학적 유사성에 대한 일관된 해석을 어렵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정준대응분석에 붓스트랩 방법을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전체 관찰 자료수에 반비례하여 좌표점의 변이가 나타나고, 붓스트랩 신뢰구간을 사용한 포함확률이 명목확률에 근사함을 확인하였다.

TWINSPAN과 DCCA Ordination에 의한 백두산(白頭山) 삼림군집(森林群集)의 분석(分析) (The Analysis on the Forest Community in Mt. Paekdu by Two-Way Indicator Species Analysis and Detrended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Ordination)

  • 송호경;김성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1권4호
    • /
    • pp.310-319
    • /
    • 1992
  • 백두산(白頭山) 삼림군집(森林群集)의 구조(構造) 및 종(種) 조성(組成)과 입지(立地)와의 관계(關係)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TWINSPAN과 DCCA를 사용(使用)여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중요치(重要値)가 높은 종(種)은 해발(海拔) 1,700m-1,950m 대(帶)에 서 Betula ermanii, Larix olgensis, Abies nephrolepis, Picea jezoensis 등(等)의 순(順)이고, 해발(海拔) 1,300-1,500m 대(帶)에서 Abies nephrolepis, Pinus koraiensis, Larix olgensis, Betula mandshurica, Picea jezoensis 등(等)의 순(順)이다. 삼림토양(森林土壤)은 유효인산량(有效燐酸量)에서 7ppm-1,153ppm으로 과대치를 보이고 있다. 백두산(白頭山)의 삼림군집(森林群集)과 해발고(海拔高)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해발고(海拔高)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덤불오리나무, 사스래나무, 만주잎갈나무, 분비나무, 가문비나무, 잣나무, 신갈나무군집(群集) 등(等)의 순(順)으로 분포(分布)하고 있다. 사스래나무군락(群落)이 우점(優占)한 곳을 중심(中心)으로 사스래나무, 만주잎갈나무, 분비나무 사이의 관계(關係)을 살펴보면, 사스래나무군집(群集)은 해발고(海拔高)가 가장 높은 곳에, 사스래나무-만주잎갈나무군집(群集)은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과 $K^+$의 함량이 많은 곳에, 분비나무군집(群集)은 $Mg^{{+}{+}}$$Ca^{{+}{+}}$의 함량(含量)이 많은 곳에 주로 분포(分布)하고 있다. 군집(群集) 분포(分布)에 영향(影響)을 미치는 주요(主要) 환경요인(環境要因)은 해발고(海拔高)이다.

  • PDF

안산 간척 습지의 식생 생태적 특성 및 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egetati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of Ansan Reclaimed Wetlands)

  • 김기대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18-335
    • /
    • 2007
  • 대표적인 간척 습지인 경기도 안산 농어촌연구원 배후 습지에서 식물상과 현존식생 현황을 조사하였다. 방형구내에서 출현종의 피도와 빈도를 측정하여 중요도를 계산하고 총질소, 전기전도도, 유효인, 질산태 질소, 도로에서의 거리를 환경 인자로 하여 서열분석(Detrended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을 수행하였다. 육상 천이로의 진행 상황을 알아보기 위해서 습지내로 침입한 목본의 기저면적을 산출하였다. 조사 결과, 46과 158종의 식물이 기록되었고, 현존 식생으로 갈대가 우점하였다. 서열분석 결과, 종의 분포는 토양내 총질소와 질산태 질소함량에 의해서 유의하게 설명되었다. 기저면적이 $22.3m^2$$1.6m^2$인 아까시나무와 리기다소나무가 습지내부로 침입하여 일부 지역이 육상화되는 교란이 있음을 보여 주었다. 수위 조절과 이동 도로에 의한 구획화가 습지를 훼손하는 원인이 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조절이 필요함이 제안되었다.

DCCA에 의(依)한 계룡산(鷄龍山)과 덕유산(德裕山)의 삼림군집(森林群集)과 환경(環境)의 상관관계(相關關係) 분석(分析) (An Analysis of Vegetation-Environment Relationships of Mt. Gyeryong and Mt. Deokyu by Detrended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 송호경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9권2호
    • /
    • pp.216-221
    • /
    • 1990
  • 계룡산(鷄龍山)과 덕유산(德裕山) 삼림군집(森林群集)의 종(種) 조성(組成)과 입지(立地)와의 관계(關係)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TWINSPAN(two-way indicator species analysis)과 DCCA(detrended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를 시행하였다. 식생(植生) 및 환경자료(環境資料)로 계룡산(鷄龍山) 128개소(個所), 덕유산(德裕山) 57개소(個所)의 data를 사용(使用)하여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계룡산(鷄龍山)과 덕유산(德裕山)의 삼림군집(森林群集)과 토양환경(土壤環境)과의 관계(關係)를 살펴보면 Quercus mongolica군집(群集)은 해발고(海拔高)가 높고, 토양(土壤) 양료(養料)가 많은 곳에 주(主)로 분포(分布)하고 있으며, Carpinus laxiflora군집(群集)과 Fraxinus rhynchophylla군집(群集)은 해발고(海拔高)는 중간(中間)이고 양료(養料)가 많은 곳에 주(主)로 분포(分布)하고 있으며, Pinus densiflora-Quercus mongolica 군집(群集)과 Quercus variabilis 군집(群集)은 해발고(海拔高), 양료(養料) 모두 중간(中間) 부분(部分)인 곳에 주(主)로 분포(分布)하고 있으며, Styrax japonica 군집(群集)은 해발고(海拔高)는 낮고 양료(養料)가 중간부분(中間部分)인 곳에 주(主)로 분포(分布)하고 있으며, Pinus densiflora 군집(群集)은 해발고(海拔高)는 낮고 양료(養料)가 적은 부분(部分)에 주(主)로 분포(分布)하고 있다. 군집(群集) 분포(分布)에 영향을 미치는 제일(第一)의 환경(環境) 요인(要因)은 해발고(海拔高)(온도(溫度))이다.

  • PDF

TWINSPAN과 DCCA에 의한 만덕산(萬德山)의 삼림군낙(森林群落)과 환경(環境)의 상관(相關) 분석(分析)에 관(關)한 연구(硏究) (An Analysis of Vegetation-Environment Relationship in Mt. ManDeok by TWINSPAN (Two-Way Indicator Species Analysis) and DCCA (Detrended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Ordination)

  • 정진철;전경수;장규관;최정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2호
    • /
    • pp.262-269
    • /
    • 1994
  • 만덕산의 삼림군락(森林群落)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環境因子)를 조사하여 TWINSPAN과 DCCA Ordination을 이용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TWINSPAN에 의해서 때죽나무, 굴참-신갈나무, 서어나무, 들메-층층나무 군락(群落)의 4개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주요군락(群落)들과 환경요인(環境要因)과 상관(相關) 관계(關係)를 보면 마그네슘과 유기물이 가장 많은 곳에 때죽나무 군락(群落), 칼슘이 적은 곳에는 굴참-신갈나무 군락(群落), 유효인산이 적은 곳에는 서어나무 군락(群落)이 분포(分布)하고 있었고 군락(群落)의 영향에 크게 작용한 것은 해발고였다. 전체(全體) 조사구(調査區)에서 중요치(重要値)가 가장 높은 종(種)은 굴참나무였으며 층층나무, 졸참나무, 비목, 신갈나무, 들메나무, 산딸나무, 노린재나무, 고로쇠나무, 서어나무, 때죽나무 순(順)이었다. 주요 우점종의 종 다양도는 굴참-신갈나무 군락(群落)이 가장 높았으며 들메-층층나무 군락(群落)이 가장 낮았다.

  • PDF

위내용물 분석과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이용한 겨울철 동해 북부 연안에 출현하는 명태(Gadus chalcogrammus)와 대구(G. macrocephalus)의 먹이분할 연구 (Winter Food Resource Partitioning between Sympatric Gadus macrocephalus and G. chalcogrammus in the Northern Coast of East Sea, South Korea Inferred from Stomach Contents and Stable Isotopes Analyses)

  • 박주면;정해근;이충일;박현제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02-112
    • /
    • 2022
  • 본 연구는 위내용물 분석과 안정동위원소(δ13C and δ15N) 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 동해 북부 연안에 출현하는 명태(Gadus chalcogrammus)와 대구(G. macrocephalus)의 종내 및 종간 먹이자원 분할을 조사하였다. 두 종은 중층성 육식성 어종으로 명태는 저서성 및 중층성 갑각류를 주로 섭식하였고, 대구는 어류를 주로 섭식하였다. 위내용물 분석 결과에 대한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nMDS) ordination과 permutational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PERMANOVA)은 두 종의 종내 및 종간 먹이조성의 차이와 먹이자원 분할을 보여줬다. 안정동위원소 분석 결과 δ15N 값은 종간 유사하였지만, δ13C 값은 대구가 높은 값을 나타내어 두 종간 생태지위 차이를 보여줬다. 명태는 체장 증가에 따라 큰 체장군에서 새우류와 두족류를 더 많이 섭식하는 먹이 전환을 나타냈지만, 대구는 체장군 간 먹이조성이 유사하였다. 안정동위원소 분석에서도 체장군 간 차이를 보였는데, 두 종의 큰 체장군은 작은 체장군에 비해 더 높은 δ15N 값을 나타낸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명태와 대구의 위내용물 분석과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통하여 종내 및 종간 먹이 차이와 생태지위 분할의 증거를 보여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