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mpbell early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28초

Comparison of the Antioxidative Effects and Content of Anthocyanin and Phenolic Compounds in Different Varieties of Vitis vinifera Ethanol Extract

  • Choi, Sang-Yoon;Lee, Yeon-Mi;Lee, Pyeong-Jae;Kim, Kyung-Tack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6권1호
    • /
    • pp.24-28
    • /
    • 2011
  • This study was a quantitative HPLC analysis of four anthocyanins and five phenolic compounds contained in the skins, vines and seeds of the Campbell Early, Muscat Bailey A and Neo Muscat grape varieties. In the phenolic analysis, the seeds of the Campbell Early were found to contain 1.9, 1.8 and 1.6 times higher quantities of gallic acid, catechin and epicatechin relative to other grape seeds. Three anthocyanins, cyanidin, peonidin and pelargonidin, were also found to be higher in the skins of the Campbell Early relative to other grape skins. Therefore, the Campbell Early is the most useful grape variety with regard to the extraction of these six compounds from these grape seeds and skins. The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grape seeds were also compared, a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ampbell Early seeds were most effective among them.

효모의 종류를 달리한 캠벨 얼리 포도 발효주의 제조 (Wine Making using Campbell Early Grape with Different Yeasts)

  • 김경환;한기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43-48
    • /
    • 2011
  • 인천광역시 강화군에서 재배된 시판 효모의 종류를 달리한 캠벨 얼리 포도 발효주 5종류를 사용하여 전통 제조방법에 따른 캠벨 얼리 포도 발효주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15일간의 발효과정 중 매일 시료를 채취하여 pH를 측정한 결과 pH는 3.0~3.3으로 큰 변화가 없었다. 산도는 0.4~0.9%로 유지되었으며, 당도는 발효주의 초기당이 24 Brix에서 발효 종료 시 6~7 Brix로 감소하였고, 알코올 함량은 발효 종료 시 13.2~14.4%로 나타났다. 특히, 발효 종료시 EC-1118의 알코올 함량이 다른 효모들에 비해서 많이 생성되었다. 그러므로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해 볼 때 효모 EC-1118이 알코올 생성 능력이 뛰어나므로 산업화에도 적합하리라고 본다. 색도분석 결과 L값은 black과 white 사이의 다양한 값이 나타났고, a값은 red 계열에 가깝게 나타났으며, b값은 blue와 yellow 사이의 다양한 값이 나타났다. 폴리페놀 함량은 1000 ppm 전후로 나타났으며, 관능평가결과 전체적인 기호도는 효모 EC-1118이 가장 높았으며, Fermivin은 색을 제외한 나머지 기호도에서 전체적으로 가장 낮은 기호도를 보였다. 관능적 특성을 비교했을 때 색상, 향, 맛, 목넘김, 후미, 종합적 기호도 등 모든 부분에서 효모 EC-1118이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로 볼 때 이화학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에서 효모 EC-1118이 캠벨얼리 포도주에 가장 적합한 효모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가 포도주 산업과 연계된다면 더 좋은 제품이 나올 것으로 생각된다.

효모의 종류를 달리한 캠벨 얼리 포도를 이용한 백포도주 제조 (White Wine Making using Campbell Early Grapes with different Kinds of Yeasts)

  • 김경환;한기동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62-17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전통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한 캠벨 얼리 백포도주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발효시 모든 캠벨 얼리 백포도주의 pH는 3.2~3.5 범위안에 있었다. 전통적인 제조된 캠벨 얼리 백포도주의 산도는 0.2~0.9%로 유지되었다. 발효 종료 시 당도는 6~8 Brix로 감소하였고, 알코올 함량은 13.2~14.4%로 나타났다. 캠벨 얼리 백포도주는 색상, 향, 맛, 목넘김, 후미, 종합적 가호도 등에서 높은 관능평가 점수를 받았다. 이는 캠벨 얼리 포도가 발효에 적합한 풍부한 당성분을 가지고 있어 잘 발효되기 때문이며, 효모 K1-V1116을 첨가하여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효모 및 전처리를 달리하여 제조한 캠벨얼리 첨가 약주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ampbell Early added Korean Traditional Wines (Yakju) with Different Yeast and Pretreatment)

  • 박혜진;권누리;박재은;신현만;김주형;엄현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57-66
    • /
    • 202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ampbell Early grape-added traditional Korean wines (yakju) prepared with different yeasts and pretreatments. The first pretreatment (A) was prepared by crushing the grapes, the second method (B) was prepared by heating the grapes at 60~70℃ for 30 minutes, and the third method (C) was prepared by freeze-concentrating grape juice. The pH of the fermented wines ranged from 3.77 to 4.10, and the total acidity of the samples ranged from 0.32 to 0.62%. The a value (redness) ranged from -0.40 to 17.89, which was higher in Campbell Early-added samples than in the controls (grapes not added).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the highest in samples prepared by crushing or heating Campbell Early grapes with ES22, and the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the highest in samples prepared by crushing Campbell Early grapes with ES22. The anthocyanin contents were also the highest in the samples fermented by heating Campbell Early grapes. AB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also the highest (84.08 and 77.56%, respectively) in samples fermented by heating Campbell Early grapes.

영하의 저온에 노출된 'Campbell Early'와 'Muscat Bailey A' 포도나무 신초의 전사체 비교 (Transcriptomic analysis of 'Campbell Early' and 'Muscat Bailey A' grapevine shoots exposed to freezing cold stress)

  • 김선애;윤해근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3권2호
    • /
    • pp.204-212
    • /
    • 2016
  • 환경스트레스 중의 하나인 저온에 대한 생육기의 포도나무의 반응을 분석하고자 -$2^{\circ}C$에서 4일 동안 저온처리 한두 품종('Campbell Early'와 'Muscat Baily A')의 포도나무잎을 이용하여 전사체를 분석하였고 특이발현유전자(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DEGs)를 검색하였다. 영하의 저온에 반응한 'Campbell Early'의 DEG를 기능별로 분석한 결과 생물대사에서 17,424개, 세포구성에서 28,954개, 분자기능에서는 6,972개의 유전자와 관련이 있었다. 발현이 유도되는 유전자로는 dehydrin xero 1, K-box region and MADS-box transcription factor family protein과 MYB domain protein 36이 있으며, 억제되는 유전자로는 light-harvesting chlorophyll B-binding protein 3, FASCICLIN-like arabinoogalactan 9와 pectin methylesterase 61 등이 있었다. 'Muscat Baily A'의 DEG는 생물대사에서 1,157개, 세포구성에서 1,350개, 분자기능에서는 431개의 유전자와 관련이 있었다. 발현이 유도되는 유전자로는 NB-ARC domain-containing disease resistance protein, fatty acid hydrozylase syperfamily와 isopentenyltransferase 3이 있으며, 억제되는 유전자로는 binding, IAP-like protein 1과 pentatricopeptide repeat superfamily protein 등이 있었다.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영하의 저온에서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유전자들을 검정하였으며, InterPro Scan을 통해 단백질 도메인을 분석한 결과 두 품종 모두에서 ubiquitin-protein ligase가 가장 많았다. 영하의 저온에 노출된 신초의 전사체 정보를 바탕으로 포도나무에서 저온 내성을 발현하는 기작을 연하는 데에 분자수준의 정보를 제공하고, 내한성 포도를 육종하는데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국산 포도(Campbell Early)를 이용한 적포도주의 개발(I) - 첨가되는 당을 달리한 Campbell Early 포도주의 발효특성 - (Development of Red Wine Using Domestic Grapes, Campbell Early. Part (I) - Chracteristics of Red Wine Fermentation Using Campbell Early and Different Sugars -)

  • 김재식;심지영;육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19-326
    • /
    • 2001
  • 국산 포도주의 개발을 목적으로 당도 $12^{\circ}Brix$, 산도 0.7%인 1999년도 충북 영동산 Campbell Early 품종의 포도에 여러 종류의 당을 첨가하여 포도주의 발효 특성을 조사하였다. 설탕, xylitol, 포도당, 물엿, 고과당, 이소말토올리고당 등 6가지 각기 다른 당 또는 당 알코올을 최종 당 농도 $21^{\circ}Brix$가 되도록 포도에 첨가하였고 활성 건조 효모를 0.02%(w/v) 첨가하여 발효시켰다. 전발효는 $20^{\circ}C$에서 8일간, 후발효는 $13^{\circ}C$에서 70일간 행하였다. 포도주 발효속도는 포도당을 첨가한 시험구가 가장 빨라 발효 6일만에 12%(v/v)의 알코올을 생성하였고 이 때 당도는 $5.5^{\circ}Brix$를 나타내었다. 설탕과 고과당을 첨가한 포도주도 포도당과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최종 알코올 함량은 각각 10.3%(v/v)와 11.2%(v/v)로 포도당 첨가구보다는 약간 낮았다. 한편 물엿, xylitol, 이소말토올리고당을 첨가한 포도주는 포도당을 첨가한 시험구와 초기 발효 속도는 비슷하였으나 최종 포도주의 알코올 농도가 평균 7%(v/v) 정도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pH는 발효 기간 중에 큰 변화가 없었고 첨가한 당에 따라서도 큰 차이가 없었으며 총산은 전체적으로 약 0.7%에서 0.3% 이하로 감소하였다. 색도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시험구 모두 점차 붉은 색이 짙어졌는데 그 중 설탕, xylitol, 이소말토올리고당의 첨가구가 붉은 색을 진하게 나타내었다. 80일간의 숙성을 거친 포도주의 관능 검사 결과 단맛과 청량감이 있는 xylitol 첨가구가 평균 8.96으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냈으며 당 분석 결과 포도주 내에 xylitol이 발효되지 않고 그대로 남아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시장 출하 '거봉' 및 '캠벨얼리' 포도의 등급과 품질 조사 (Comparison of 'Kyoho' and 'Campbell Early' Table Grape Fruit Quality in Wholesale Market)

  • 황용수;임병선;김진국
    • 농업과학연구
    • /
    • 제37권1호
    • /
    • pp.7-12
    • /
    • 2010
  •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able grape quality was found between harvest seasons, producers and cultivars. In general, 'Kyoho' grapes showed much greater difference in fruit quality than 'Campbell Early'. The ratio of 'Campbell Early' grapes with poor quality (below quality standard within grades), was higher in fruit harvested early in the season, mainly because of immature fruit harvest. In 'Kyoho', poor quality of fruit seemed to be derived from the deviation of cultural practice between producers. Major factors responsible for poor quality in both cultivars includes harvest of unripe cluster, poor sorting and grading, berry abscission, and poor coloration. It is recommended to introduce a new quality standards considering the market condition in 'Kyoho' or a fresh-cut technology of grape berries for niche market.

Stimulating Effects of Far-infrared Ray Radiation on the Release of Antioxidative Phenolics in Grape Berries

  • Eom, Seok-Hyun;Park, Hyung-Jae;Seo, Dong-Wan;Kim, Won-Woo;Cho, Dong-Ha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2호
    • /
    • pp.362-366
    • /
    • 2009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far-infrared ray (FIR) irradiation of grape berries as a potential application for manufacturing grape products with a high amount of antioxidant chemicals. Two grape cultivars, the red grape cv. Campbell Early and the white grape cv. Thompson Seedless, produced increased amounts of crude extracts, in the FIR treatments compared to a non-FIR treatment control with same temperature. However, total phenolic concentration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a 'Campbell Early' increased in the extracts following FIR treatment, whereas those of 'Thompson Seedless' did not increase significantl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nalysis indicated that functional components affecting antioxidant activit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tract of 'Campbell Early' following FIR treatment. Our results indicate that application of FIR treatment in heat process of grapes increases levels of antioxidative phenolic chemicals and it may help to enhance the availability of antioxidative compounds in various grape food products.

압착방법별 포도 착즙액의 품질특성 (Effect of Pressing Methods on the Quality of Grape Juices)

  • 최희돈;김성수;김경탁;홍희도;김상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03-208
    • /
    • 2002
  • 캠벨과 거봉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압착방법에 따른 착즙액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율의 경우 캠벨, 거봉이 동일하게 냉압처리보다는 온압처리가, 온압처리에서도 낮은 온도보다는 높은 온도에서 수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또 온압·펙틴분해 병행처리가 각각 83.5%, 87.3%로 가장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당도와 아미노태 질소도 열처리온도의 상승 및 압착방법의 병행에 의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정산도는 캠벨과 거봉이 압착방법에 따라 각각 0.86∼l.00%, 0.60∼0.69%로 거봉에 비해 캠벨의 산도가 높았으며, 열처리온도가 산도 증감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압착방법에 따른 착즙액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 열처리온도의 상승 및 압착방법의 병행에 의해 떫은 맛과 신맛의 강도가 강하여지고 이들 처리구의 기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포도 '캠벨얼리' 품종에서 발생한 아조변이체의 배수성 및 키메라 형태 검정 (Determination of Chimera Types and Ploidy Level of Sports from 'Campbell Early' Grape (Vitis labruscana))

  • 노정호;박교선;윤해근;도경란;허윤영;김승희;이한찬;류명상;박서준;정성민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6호
    • /
    • pp.996-1002
    • /
    • 2010
  • '캠벨얼리' 아조변이체의 배수성을 flow cytometry(FCM)를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2배체 포도인 '캠벨얼리'와 4배체 포도인 '거봉'과는 달리 '캠벨얼리'에서 발생한 아조변이 3계통의 경우, 잎에서 2배체와 4배체 peak가 동시에 나타났다. 또한 '캠벨얼리' 포도의 과육과 과피의 배수성은 2배체 peak를 보인 반면, '캠벨얼리' 아조변이체는 과피의 배수성은 2배체로, 과육의 배수성은 4배체로 검정되었다. 정확한 염색체 숫자를 알아보기 위해 '캠벨얼리' 유래 아조변이체, '캠벨어리', '거봉' 포도의 근단 조직 염색체 숫자를 현미경 검경하였다. '캠벨얼리'와 '거봉'은 각각 38, 76개의 염색체로 나타난 반면 아조변이체는 2x=38, 4x=76개의 염색체가 혼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캠벨얼리' 아조변이체의 키메라 형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신초정단 분열조직을 현미경 관찰하였다. 대조구로 이용된 2배체 '캠벨얼리'와 4배체 '거봉' 포도는 2개의 tunica 층이 corpus층을 덮고 있었으며, 반면에 아조변이체의 경우 첫번째 tunica 층이 독특하게 분할되어 있었다. '거봉' 포도의 정단분열 조직의 세포 크기는 대체로 '캠벨얼리' 포도보다 더 컸다. 아조변이체의 L-2, L-3 층을 이루고 있는 세포 크기는 4배체인 '거봉' 세포와 유사하였으며 가장 바깥쪽 L-1층을 이루고 있는 세포의 크기는 '캠벨얼리' 포도와 유사한 크기였다. 따라서 본 시험의 결과 '캠벨얼리' 포도 품종에서 발생한 아조변이체들은 2-4-4형 키메라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