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lculation chart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초

임계경로 탐색과 프로젝트 활동 일정 수립 (A Critical Path Search and The Project Activities Scheduling)

  • 이상운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41-150
    • /
    • 2012
  • 본 논문은 프로젝트 일정을 계획하고 관리하는 PERT/GANTT 차트를 쉽게 그릴 수 있는 임계경로 탐색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프로젝트 일정을 결정하는 임계경로를 계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CPM (Critical Path Method)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CPM은 프로젝트 수행 활동들의 수행 기간과 상호 의존 관계에 따라 초기에 작성된 네트워크 다이어그램에 대해 임계경로를 계산하는데 5 단계를 수행하며, $T_E$ (The Earliest Time)을 계산하는 노드 (활동)들의 순서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지 않아 특정 노드의 $T_E$를 정확히 계산하지 못할 수도 있다. 또한, CPM으로 얻은 네트워크 다이어그램의 활동들의 수행 순서가 시각적으로 명확히 표현할 수 없어 Lucko는 9 단계를 거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반면에, 제안된 알고리즘은 먼저, 초기에 작성된 네트워크 다이어그램에 대해 너비우선 탐색으로 노드들을 레벨로 재배치하여 수행 순서를 사전에 결정한다. 다음으로, 각 레벨에 속한 노드들을 임의로 선택하여 $T_E$를 계산하는 단계만을 거쳐 임계경로를 즉시 결정한다. 마지막으로, 각 레벨에서 임계경로에 속한 노드들의 $T_E$를 기준으로 임계경로에 속하지 않은 노드들의 $T_E$에 따라 약간의 이동으로 프로젝트 활동들의 수행 순서를 시각적으로 명확히 표현하도록 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10개의 실제 프로젝트 데이터에 대해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모든 프로젝트에서 임계경로를 구할 수 있었으며, 활동들의 수행 순서를 시각적으로 명확히 표현하였다. 또한, 제안된 알고리즘은 CPM의 5단계를 1단계로 단축시키는 장점과 더불어 활동들의 수행순서를 명확히 표현하기 위한 Lucko의 9 단계 수행 과정을 2단계로 간단히 하였으며, PERT/GANTT 차트로 즉시 전환시킬 수 있는 장점도 갖고 있다.

사질토를 지나 풍화암에 소켓된 매입 PHC말뚝에서 지반의 허용압축지지력 산정도표 및 산정공식 개발에 관한 연구(VII) - 지반의 허용압축지지력 산정공식 - (Study(VII) on Development of Charts and Equations Predicting Bearing Capacity for Prebored PHC Piles Socketed into Weathered Rock through Sandy Soil Layers - Allowable Axial Compressive Bearing Capacity Formulae -)

  • 권오균;남문석;이원제;여규권;최용규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5권12호
    • /
    • pp.69-89
    • /
    • 2019
  • 사질토를 지나 풍화암에 4D 소켓된 매입 PHC말뚝에 대한 매개변수 수치해석 자료를 분석하여 지지력 표해 및 도해(I)이 제안된 바 있다(Choi et al., 2019a). 본 논문에서는 이를 활용하여 직경의 5% 침하량에서 발현되는 동원지지력을 산정할 수 있는 새로운 산정공식을 제안하였다. 제안식은 두 가지이며, 그 중에서 EQ-G1 제안식은 각각의 상대근입길이(L/D)에서 말뚝직경과 ${\bar{N}}$값(보정 N 값)을 고려하여 각 지지력 성분을 평가하며,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RQP는 약 71~94%로 나타났으며, 이는 일반 설계에서 사용하고 있는 지지력 산정공식으로 구한 SRF(26~37%)보다 큰 값을 나타냈다. RQP는 적정 설계의 범위로 분포하였는데, 4개 사례에서는 78, 136, 142, 180%로 나타났다. DE는 β1에 따라 달라질 수는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0.85로 가정하였으므로 DE는 약 85%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EQ-G1 제안식을 사용하여 PHC말뚝 몸체의 허용압축하중(Pall)까지 활용할 수 있는 적정설계를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EQ-G2-3 제안식은 D, ${\bar{N}}$ 및 L/D를 동시에 고려하여 지지력 성분들을 평가할 수 있으며, 매입 PHC말뚝에서 지반의 압축지지력 산정 시 근사해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일관된 해안선 길이 산출을 위한 프랙탈 차원 적용 방안 연구 - 제주도를 중심으로 - (Application of Fractal Dimension on Consistent Calculation of Coastline Length - Focused on Jeju Island)

  • 우희숙;권광석;김병국;조석현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83-88
    • /
    • 2016
  • 일관적인 해안선의 사용은 지자체간의 이해관계와 해상경계를 일관적으로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가 된다. 국립해양조사원에서는 일관된 해안선 생산을 위해 2001년 이후 전 국토를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체계적인 관리의 미비, 부정확한 자료 등으로 연도별 해안선의 길이는 상이하였다. 또한 지형 표현 방법의 현실화를 위해 해도에 있는 해안선을 수치지형도에 표시하도록 개정[국토지리정보원 수치지형도 작업규정-제19조 제3항]하였으나 다양한 측량기술과 해안선 추출방법에 따른 해안선 길이의 편차(불일치)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유사성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프랙탈 기법인 수정 분할자법(modified divider method)를 사용하여 제주도 해안선 길이 특성을 분석하였다. 적절한 분할자 사용을 위해 수치지형도 작업규정 공공측량 개정안에 있는 벡터화의 정확도를 실제거리로 환산하여 결정하였다. 수행 결과 1:5,000 자료에서 제주시는 1.14, 서귀포시는 1.12이며, 1:25,000 자료에서 제주시는 1.13, 서귀포시는 1.10로 제주시가 복잡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해안선의 길이가 복잡도와 축척에 따라 전체 해안선 대비 산출길이의 비율이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일관된 해안선 길이 산출을 위해 실제 해안선을 표현할 수 있는 최소 정점 간격에 대한 연구 및 최소 해안선 길이 비율에 대한 기준 제시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의류제품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방법 및 작업측정에 관한 연구-MTM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thod and Work Measurement for Productivity Improvement of Clothing Products-With concentration in MTM Analysis-)

  • 김옥경;이순흥
    • 복식
    • /
    • 제41권
    • /
    • pp.185-206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productivity for maximum effects with the present equipments and staff.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mea-sured time by using stop watch method and MTM, which was the new measuring method. The flow and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efficiency for production management, and the way of productivity improvement through documentary research. 2. Setting up the standard flow on the experi-mental company production, making out a process chart and measuring the actual working hour. 3. The study measured the allowance time applying work sampling. 4. Each process of the movement analysis was filmed by video to use basic data. 5. MTM analysis was taken by choosing 10 processes from front bodice according to the basic movement of MTM. Through the results, this study exclude unneccesary movements and suggest a method for working ways. 6. Using the actual working hour measured by a stop watch calculated the pitch time and presumed the amount of daily productivity. 7. The result of the work sampling came out as 38% of allowance rate. It was 13% higher than the standard amount of woman's jacket allowance rate, which was 25%. The most influencing factor was work discussion. That was because there were commuication problem of the work way between the operator and leader. More adequate use of flow table and level passing table was needed. There were the problems that inappropriate places and sizes made the distance of movements longer and often needed more adjustment of works and surroundings. To prevent breakdowns equipments check ups were necessary before works. 8. The results of MTM analysis were as follow : the time was reduced 40% than the actual measured time by a stop watch. This was because the leveling of the operator was included in the real calculation. Also, leveling was included in MTM analysis and all the conditions were standarized. Therefore MTM method was a scientidic measuring way of establishing the standard time. The presented method of this study, suggested an ideal method eliminating unneccesary motions, and presented standardization of works. Improvement of working methods, work condition and simplifying motions in each 10 processes reduced the working time from total 656 seconds to 301 seconds. 9. The way and time of working was linked together in the MTM analysis methods. Thus data from MTM help suggest not only establishing standard time but also establishing stan-dard work. Plus it includes various ability for improvements of working ways. So it is an objective method which can be widely used in other work studies. 10. The function of a time study is to determine the amount of work produced with a given method. The work rate is used to establish the cost of labor. The wage of worker must be calculated per unit time which is deter-mined before the time study is made. This study tried to introduce the incentive rule for deciding wages according to the standard time by MTM metho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