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lcium sulfate fertilizer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5초

산업폐기물(産業廢棄物)의 비료화(肥料化) (Utilization of Industrial Wastes as Fertilizer)

  • 신제성;한기학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7권
    • /
    • pp.68-79
    • /
    • 1984
  • An increased population and rapidly expanding industrial development have led to enormous amounts of various domestic and industrial wastes. The proper disposal of ever-increasing wastes is a growing global problem. Land treatment is one of the rational approaches that are environmentally safe and economically practical. It has long been practised in many sites. Recycling of industrial wastes on agricultural land can provide better possible means for maintaining environmental quality and utilizing waste-resources. Even though industrial wastes are beneficial as soil amendment and fertilizer, they have some limitation on land application because of wide variability as well as physicochemical problem in their composition. A direct application of solid and liquid wastes on land is being practised in Korea and some experimental results are presented. The direct application of fermentation waste on rice resulted in a 6 percent yield increase. Another organic residue from glutamic acid fermentation is widely used not only as a direct application as a liquid fertilizer but also for a raw material of organic compound fertilizer. These wastes are much promising as sources of plant nutrients, since they have large amounts of nutrients, especially nitrogen with few toxic metals. On the other hand, fertilizers developed from inorganic industrial wastes include calcium silicate, calcium sulfate and ammonium sulfate. The calcium silicate fertilizer simply produced from slag, by-product of iron and steel manufacturing plant is one of the most successful example of the conversion of wastes to fertilizer and slag production capacity totals to over three million MT/year. About 200,000 MT of calcium silicate fertilizer is currently applied in the paddy rice every year. Calcium sulfate, a waste from the wet phosphoric acid process is to some extent used as a filler of compound fertilizers but quite large quantites are directly applied for the reclamation of tidal flat.

  • PDF

안정화제로 사용된 황산칼슘비료의 물리적 형태에 따른 토양 비소 및 수은의 안정화와 식물체 전이특성 (Transfer of Arsenic and Mercury from Stabilized Farmland Soil to Lettuce using Calcium Sulfate Fertilizer with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as a Stabilizing Agent)

  • 고일하;권요셉;이민현;김정은;박소영;고주인;지원현
    • 자원환경지질
    • /
    • 제56권5호
    • /
    • pp.619-628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토양 내 비소 및 수은의 안정화제로 황산칼슘비료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아울러 황산칼슘비료의 물리적 특성(입자상, 미분상, 용액상)에 따른 비소 및 수은의 안정화 특성을 상추 재배 포트실험으로 비교?검토하였다. 34일 간의 상추재배를 통해 확인한 비소 및 수은의 전이감소 효과는 대체적으로 7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나 안정화제로서의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다만, 용액상 안정화제 처리조건에서 성장한 상추의 생체량은 대조구의 46% 수준으로 가장 낮았는데, 이는 안정화제로부터 유래된 영양물질의 유효도가 극단적으로 높아 오히려 식물체 성장을 저해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토양 내 비소 및 수은의 분획특성 확인결과 수은에서만 존재형태의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수은은 안정화 처리된 토양에서 원소수은의 감소와 잔류형/황화물 형태의 증가가 확인되었는데, 이러한 경향은 용액상 > 미분상 > 입자상의 순서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대형 교반장비의 진입이 어려운 농경지에서는 용액상 처리제의 살포만으로 안정화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만, 높은 영양물질 유효도로 인해 염해토양의 특성을 보일 수 있으므로, 투여량 조절을 통해 농작물 위해를 사전 제어할 필요가 있다.

농작물(農作物)에 대(對)한 납(pb)의 흡수(吸收) 및 피해경감(被害輕減)에 관(關)한 연구(硏究) -II. 석회(石灰)와 인산물질시용(燐酸物質施用)이 토양중(土壤中) 납(pb) 용출량(溶出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Studies on Uptake by Crops of Lead and Reduction of it's Damage -II. Effect of application of calcium and phosphate materials on Pb Solubility in Soil)

  • 김규식;김복영;한기학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17-221
    • /
    • 1986
  • 토양중(土壤中)에서 납(Pb)의 용출경감효과(溶出輕減效果)를 구명(究明)하기 위(爲)하여 토양(土壤)에 납을 $PbCl_2$로 310.8ppm 처리(處理)하고 경감제(輕減劑)로서 소석회(消石灰), 석고(石膏), 과석(過石), 인산(燐酸)을 처리(處理)하여 담수후(湛水後) 실온(室溫)에 보관(保管)하면서 납 용출량(溶出量) 및 Ca, $PO_4$, $SO_4$와 pH, Eh를 측정(測定)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납 용출량(溶出量)은 경감제시용량(輕減劑施用量)이 증가(增加)할수록 감소(減少)되었으며 $H_3PO_4$ 및 과석(過石)이 용출억제효과(溶出抑制效果)가 좋았다. 2. 토양(土壤)의 pH는 소석회(消石灰)가 높고 인산구(燐酸區)가 낮으며 토양(土壤)의 Eh는 반대(反對)의 경향(傾向)이었다. 3. 토양중(土壤中)의 수용성(水溶性) Ca, $PO_4$$SO_4$ 함량(含量)은 경감제(輕減劑) 시용량(施用量)이 증가(增加)할수록 증가(增加)되었다. 4. 시험후(試驗後) 토양(土壤)의 가용성(可溶性) 납함량(含量)은 과석(過石), 인산(燐酸), 소석회(消石灰), 석고(石膏), 대조(對照)의 순(順)으로 낮은 경향(傾向)이었다.

  • PDF

폐기 무기 부산물의 제지용 충전제로의 활용성 평가 연구 (Study on the Application of Inorganic Byproduct from Fertilizer Manufacture Process as an Alternative Filler)

  • 이지영;이은규;이도엽;윤경태;성용주;최재성;김다미;김병호;임기백
    • 펄프종이기술
    • /
    • 제44권1호
    • /
    • pp.52-57
    • /
    • 2012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ossible use of a new inorganic material as alternative filler in the paper industry. The inorganic material is a mineral composed of calcium sulfate, that is generated when manufacturing phosphate fertilizer. The inorganic material was dehydrated by the thermal treatment to $200^{\circ}C$, $500^{\circ}C$, $700^{\circ}C$, and $900^{\circ}C$ to prepare white filler powders. Their basic properties, including color, particle shape, elements, and average particle size were identifi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new inorganic filler on paper's physical properties and strength, handsheets were prepared from HwBKP, SwBKP, and thermal treated inorganic fillers. Handsheets' ISO brightness, opacity, bulk, breaking length, and stiffness were measured. Results confirmed that thermal treated inorganic filler could be beneficial to the bulk and opacity of paper while maintaining higher level of breaking length and stiffness that is achieved using talc.

논 토양성분(土壤成分)의 용탈(溶脫)에 관(関)한 연구(硏究) -I. 논 토양성분(土壤成分)의 용탈(容脫)에 미치는 가리염(加里塩)의 영향(影響) (Studies on the Leaching Constituent of Submerged Soil -I. Effects of Potassium Salts on Leaching of Minerals in Submerged Soil)

  • 김광식;김용웅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6-41
    • /
    • 1983
  • 가리염(加里塩)을 달리하여 투수조건하(透水条件下)에서 수도(水稻)를 재배(栽培)할때 논토양(土壤)에서 투수중(透水中)에 용탈(溶脫)되는 성분변화(成分変化)를 분석검토(分析検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침투수(浸透水)의 pH는 염화(塩化)칼리구(区)가 황산(黃酸)칼리구(区)보다 약간 높았다. 석회(石灰), 마그네시움, 칼리, 암모니움과 같은 양(陽)이온의 용탈(溶脫)은 염화(塩化)칼리구(区)가 황산(黃酸)칼리구(区)보다 용탈(溶脫)이 약간 높았다. 인산(燐酸)의 용탈(溶脫)은 반대(反対)로 황산(黃酸)칼리구(区)가 염화(塩化)칼리구(区)보다 약간 용탈(溶脫)이 많았다. 철(鉄)의 용탈(溶脫)은 재배구(栽培区)가 높고 규산(硅酸)의 용탈(溶脫)은 무재배구(無栽培区)가 높았으나, 철(鉄), 규산(硅酸)의 용탈(溶脫)에 미치는 칼리염(塩)의 영향(影響)은 뚜렷하지 않았다.

  • PDF

야산개간지(野山開墾地)에서 근류균(根瘤菌) 접종(接種) 및 석회(石灰) 비종별(肥種別) 시용(施用)이 땅콩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 -1. 식물체중(植物體中) 양분함량(養分含量) 및 수량(收量) (Effect of Inoculation with Bradyrhizobium sp. and Lime Types on Peanut Plant at Newly Reclaimed Area -1. Content of Nutrients in Plant and Yield)

  • 이덕배;임건재;권태오;이상복;소재돈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10-218
    • /
    • 1991
  • 질소무시용하(窒素無施用下)에서 소석회(消石灰), 고토석회(苦土石灰), 탄산석회(炭酸石灰)는 중화량(中和量), 황산석회(黃酸石灰)는 10a당(糖) 150kg시용(施用)하고 비닐피복후(被覆後) $40{\times}25cm$ 재식거리(栽植距離)로 1989년(年) 4월(月) 26일(日) 파종(播種)하여 호남(湖南) 작시(作試) 선발(選拔) 우량질소(優良窒素) 고정균(固定菌)(B. sp HCR-46)을 종자(種字) 1입당(粒當) $8.2{\times}10^7$ cell의 농도(濃度)로 접종(接種)한뒤 영호(嶺湖)땅콩의 종실성분(種實成分)의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땅콩에 착생(着生)한 근류수, 근류건중(根瘤乾重) 그리고 지하부건중(地下部乾重)은 근류균(根瘤菌) 접종(接種)으로 증가(增加)되었으며, 석회비종별(石灰肥種別)로는 탄산석회(炭酸石灰)>고토석회(苦土石灰)>소석회(消石灰)>무시용(無施用)>황산석회순(黃酸石灰順)이었다. 2. 근류균(根瘤菌) 접종(接種)으로 잎과 줄기중(中) T-N, $K_2O$, MgO, Allantoin, Ammonia, 유리(遊離)아미노산함량(酸含量), 엽록소함량(葉綠素含量)은 증가(增加)되었으나 Nitrate 와 줄기중(中) 전당(全糖), 전분(澱粉)의 함량(含量)은 감소(減少)되었다. 3. 잎과 줄기중(中) T-N, 유리(遊離)아미노산(酸), 엽록소함량(葉綠素含量)은 탄산석회시용구(炭酸石灰施用區)에서, $K_2O$, MgO, Allantoin, Ammonia 함량(含量)은 고토석회시용구(苦土石灰施用區)에서, CaO와 Nitrate함량(含量)은 소석회시용구(消石灰施用區)에서 가장 높았다. 4. 줄기중(中) 전당함량(全糖含量)은 황산석회(黃酸石灰)>무시용(無施用)>소석회(消石灰)>탄산석회(炭酸石灰)>고토석회순(苦土石灰順)이었다. 5. 야산개간지(野山開墾地)에서 석회비종별(石灰肥種別) 토양개량효과를 보면 탄산석회(炭酸石灰)는 산도교정력(酸度矯正力)과 Ca공급력(供給力)이 우수(優秀)했으며, 고토석회(苦土石灰)는 Mg공급력(供給力)이 우수(優秀)하였다. 6. 근류균(根瘤菌) 접종(接種)으로 주경장(主莖長), $m^2$당협수가 유의적(有意的)으로 증가(增加)했으며 종실수량(種實收量)은 무접종(無接種)보다 64%증가(增加)되었다. 석회비종별(石灰肥種別)로 보면 주경장(主莖長), 분지수, 종실수량(種實收量)은 탄산석회(炭酸石灰)>고토석회(苦土石灰)>소석회(消石灰)>황산석회(黃酸石灰)>무시용순(無施用順)이었다.

  • PDF

요소수지(尿素樹脂)를 이용(利用)한 전작용(田作用) 완효성(緩效性) 복비(複肥) 개발(開發) I. 제조시험(製造試驗) (Development of Slow-Release Compound Fertilizer Used Urea-Resin for Upland Crop I. Manufacture of Slow-Release Compound Fertilizer)

  • 성기석;김복진;신제성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93-198
    • /
    • 1990
  • 완효성(緩效性) 전작물(田作用) 복비(複肥)를 개발(開發)하고자 삼요소원(三要素源)으로 유안(硫安), DAP, 염화가리(鹽化加里)와 증수제(增量劑)로 석고(石膏)를 사용(使用)하고 U/F 반응(反應) mole비(比)가 0.5, 1.0, 1.5인 요소수지(尿素樹脂) 3종(種)을 점결제(粘結劑) 및 완효성(緩效性) 요소원(尿素源)으로 이용(利用)하여 복비(複肥) 제조시험(製造詩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시제품(試製品) 제조시(製造時) 점결제(粘結劑) 및 첨가제(添加劑)로 사용(使用)한 요소수지(尿素樹指)는 U/F반응(反應) mole비(比)가 높을수록 A. I. 값, 전질소(全窒素) 및 미반응요소(未反應尿素) 함량(合量)이 높은 경향(傾向)이었다. 2. 시제품(試製品)은 첨가(添加)된 요소수지(尿素樹指)의 U/F반응(反應) mole 비(比)가 낮을수록 첨가량(添加量)이 많을수록 전질소(全窒素)의 수중용출속도(水中溶出速度)가 늦어지는 경향(傾向)이었으며 특(特)히 U/F반응(反應) mole비(比)는 전질소(全窒素)의 늦출속도(出速度)를, 첨가량(添加量)은 Ammonia 태(態) 질소(窒素)의 용출속도(溶出速度)를 지연(遲延)시키는 효과(效果)가 있었다. 3. 시제품(試製品)의 24 시간후(時間後) 전질소(全窒素) 용출률(溶出率)은 69~83%로 높은 것은 재배기간(栽培期間)이 짧은 작물(作物)에 낮은 것은 재배기간(栽培期間)이 긴 작물(作物)에 전량기비용(全量基肥用)으로 가능(可能)할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Effect of nitrogen types and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a nutrient solution on gray mold caused Botrytis cinerea on strawberry plants

  • Nam, Myeong hyeon;Lee, Hee chul;Kim, Tae il
    • 농업과학연구
    • /
    • 제46권1호
    • /
    • pp.103-111
    • /
    • 2019
  • Gray mold caused by Botrytis cinerea on strawberry plants is an economically significant disease in Korea. The rates for diseased fruits are high during the strawberry harvesting period from December to February, especially in hydroponic cultivation. This study assessed the effect of the nitrogen type in the soil culture and the electrical conductivity (EC) of the nutrient solution in a hydroponic culture on the gray mold incidence in 'Seolhyang' strawberry plants. The nitrogen sources assayed included calcium nitrate tetrahydrate (CN4), calcium nitrate decahydrate (CN10), ammonium sulfate (AS), and commercial fertilizer 213 (213). The effect of the EC was tested at 0.5, 0.8, 1.0, and $1.5dS{\cdot}m^{-1}$. The occurrence of gray mold varied according to the nitrogen type. The disease incidence and nitrogen content for the main nitrogen type were higher compared to the non-treated control. The AS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occurrence of tipburn and gray mold. The incidence of gray mold as well as the nitrogen and phosphorus content of the leaves increased as the EC level was increas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cidence of gray mold in strawberry plants is related to the nitrogen content of the leaf and the EC of the nutrient solution.

인삼(人蔘)의 생육(生育)과 양분조성(養分組成)에 대(對)한 질소형태(窒素形態)의 영향(影響) (Effect of Nitrogen Source on Growth and Nutrient Content of Panax Ginseng)

  • 박훈;조경식;최병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60-265
    • /
    • 1983
  • 인삼(人蔘)(3년근(年根))의 생육(生育)과 무기양분의 부위별(部位別) 분포(分布)를 네 농도의 질소형태 (황안, 뇨소, 질산칼슘)별로 사경(砂耕)조건에서 조사하였다. 형태에 관계없이 50ppm에서 지상부 및 근부생육이 최대였다. 질산태는 최대의 근중을 뇨소태는 최대의 지상부중을 보였다. 무질소구에서 엽폭이 켰다. 경장(莖長)과 경직경(莖直徑)의 비(比)는 질산태보다 암모니아태에서 적고 근동체부(根胴體部)의 장(長), 직경비(直徑比)는 이와 반대여서 지토부(地土部)와 근부(根部)의 장(長), 직경비(直徑比)는 부상관(負相關)을 보였다. 질소시용은 엽(葉)과 경(莖)에서 인산의 농도를 높인 반면 칼슘의 농도는 저하시켰다. 50ppm구에서는 모든 질소형태에서 무질소구에 비하여 잎으로의 P의 분배(分配)는 감소하였으며 Mg, Ca 및 N는 증가하였다.

  • PDF

한국 토양(土壤)에서 분리(分離)된 Pseudomonas putida, Penicillium sp. 및 Aspergillus niger에 의한 난용성(難溶性), 인산염(燐酸鹽)의 가용화(可溶化) (Solubilization of Insoluble Phosphates by Pseudomonas putida, Penicillium sp. and Aspergillus niger Isolated from Korean Soils)

  • 서장선;이상규;김광식;성기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78-286
    • /
    • 1995
  • 토양(土壤)에 축적(蓄積)되어 있는 난용성(難溶性) 인산염(燐酸鹽)을 이용(利用)하고자 인산염(燐酸鹽) 가용화능(可溶化能)을 가지고 있는 Pseudomonas putida, Penicillium속(屬) 및 Aspergillus niger를 우리 나라 주요(主要) 경작지(耕作地) 토양(土壤)에서 분리(分離)하여 이들 균(菌)의 용해능(溶解能)을 측정(測定)하였다. 인산염(燐酸鹽) 용해량(溶解量)은 배지내(培地內)의 pH 저하(低下)와 밀접(密接)한 관계(關係)를 가지고 있었다. Pseudomonas putida, Penicillium속(屬)에 비(比)해 Aspergillus niger의 인산염(燐酸鹽) 가용화능(可溶化能)이 높았다. Aspergillus niger에 의한 인산염(燐酸鹽) 종류별(種類別) 최대(最大) 가용화량(可溶化量)은 질소원(窒素源)이 $KNO_3$일 때는 aluminium phosphate 776ppm, hydroxyapatite 665ppm, tai-calcium phosphate 593ppm이었으며 인광석(燐鑛石)은 질소원(窒素源)이 $(NH_4)_2SO_4$일 때 411ppm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