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lcium fortification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2초

가공식품의 영양강화 현황과 영양표시 (Current Status of Nutrient Fortification in Processed Foods and Nutrition Labeling)

  • 장순옥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4권2호
    • /
    • pp.160-167
    • /
    • 1998
  • Current status of nutrient fortification in processed food in Korea were presented by analyzing the information shown on food labels. The obtained information was assessed by the regulations on food fortification in both Korea and other countries including Codex. The most current regulations were gathered from internet.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Major nutrients fortified were calcium, Vit C, Vit B complex, iron and fiber. The forfified foods were not limitted to certain food group with more frequent fortification in snackfoods, cereal, ramyun, retort pouch foods, milk, and youguart. The descriptive terms of nutrition label for the fortification were various including high, supplemented, added, source, fortified, and abundance though the difference among these terms were not distinct. 2. Current regulation on nutrition label requires to give the content of the fortified nutrient and % RDA. However not all of food items carry above information. Also some ingredients such as chitosan, DHA, taurine, $\omega$-3 fatty acid, chondrichin, bifidus were supplemented mainly to the snack foods which FDA(USA) does not allow to be fortified. 3. The nutrient most frequently fortified was calcium and general practice of fortification appears to follow the regulation in Korea. Presently the regulation itself is not well described, this nutient fortification can cause toxic effect. Since calcium was supplemented to wide range of food group consumers who are not conscious of the safe upper limit may intake the fortified food up to the level of 2g/day. 4. For the effective fortification in Korea, the regulation on fortification should be re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international guideline Codex and the regulations in other countries especially in America and Japan.

  • PDF

어린이를 위한 일반식품에의 일부 미량영양소 임의영양 강화 안전 수준 평가 (A Strategy for Safe Addition of Selected Micronutrients to Foods for Children)

  • 오세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2권2호
    • /
    • pp.128-134
    • /
    • 2009
  • For children, voluntary addition of micronutrients to foods must be done without health risk to any of them. This study examined safe maximum levels of vitamin A and C, and calcium for children based on nutrient intake data from the 2001-2002 and 2005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HANES) in Korea, while using the safe strategy for addition of micronutrients to foods suggested by EU. For the respective 2001-2002 and 2005 NHANES data proportions of potentially fortifiable energy intake ranged 0.36-0.40 and 0.31-0.34 and the $95^{th}$ percentile intake of energy were 2,325-3,296 kcal and 2,286-3,814 kcal depending upon age groups. Ninety-fifth percentile intake levels of vitamin A were over or close to UL, even without considering supplement intake for some age groups, which suggest that vitamin A fortification to foods required further consideration. For calcium, 12-14 year old children were the most sensitive group for excessive intake and nutrient fortification to foods. In these children, maximum levels for fortification were 242-290 mg and 484-580 mg with 0.135 and 0.068 proportions of fortified food (PFF) assumed, respectively, without considering calcium intake from supplements. With consideration of calcium intake from both diet and supplement, the maximum levels for fortification were 20-36% of those without supplement intake. The maximum fortification levels of vitamin C were the lowest in 3-5 year old children, showing 77-187 mg and 68-164 mg with and without supplement intake,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odel used for risk assessment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help risk managers to set maximum levels for safe addition of micronutrients to foods.

효소처리시간과 칼슘의 종류를 달리한 칼슘강화 콩아이스크림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 Ice Creams as Affected by Enzyme Hydrolysis Times and Added Calciums)

  • 김지영;이숙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16-222
    • /
    • 2003
  • The effects of hydrolysis times and calcium source additions (calcium lactate, calcium carbonate), on the qualify characteristics of soy ice cream prepared with soy protein isolate(SPI), were studied. Increasing the hydrolysis time decreased the viscosity and overrun of soy ice creams, but increased the melt-down property. The addition of calcium lactate increased the viscosity of the soy ice cream mix, but no changes were observed from the calcium carbonate addition. The overrun of calcium lactate samples was higher than on addition of calcium carbonate. The addition of calcium lactate and calcium carbonate resulted in decreased melt-down properties, although these effects were more evident in the calcium lactate samples. However, calcium carbonate addition resulted in higher scores in the overall quality of the soy ice creams. In conclusion, better soy ice cream could be prepared by treating the SPI with Flavorzyme for 50 min, along with calcium fortification in the form of calcium carbonate.

가공식품의 영양강화 현황과 제 외국의 영양강화 정책 (Current Status of Nutrient Fortification in Processed Foods and Food Fortification Policies in Other Countries)

  • 장순옥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5권2호
    • /
    • pp.205-214
    • /
    • 1999
  • Nutrition fortification of processed foods with microelements is a popular practice in many countries to improve nutritional status of target population. In this study the current food fortification in Korea was evaluated and the regulations and guidelines for food fortification in other countries were presented. Most commonly added nutrients were calcium, vit.C, fiber, vit.Bs and iron. The level of fortified nutrients and the vehicle foods were variable. vit.C and fiber appeared to be overfortified in some foods and the necessity of fortification of these nutrients needs to be examined since the intakes of these elements appears to meet the RDA. Most of other nutrients such as vit.A, vit. $B_1$, vit. $B_2$, and iron were added at the level of 10~25% RDA per serving size. The vehicle foods for fortification were snacks, milk, ramyun, breakfast cereal, juices, candies and ready-to-eat retort pouch foods but not rice which is a staple food in Korea. The guideline and regulation for food fortification is required to ensure safe and proper supplementation of needed nutrients in processed foods.

  • PDF

우리나라 가공식품의 칼슘강화 현황에 관한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Calcium fortification in the Processed Foods in Korea)

  • 김욱희;김을상;유인실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70-176
    • /
    • 2002
  • 서울시내 백화점과 대형 마트에서 판매되는 칼슘강화식품을 조사하여 이들을 곡류가공품, 우유 및 유제품, 식.어육가공품, 라면류, 레토르트식품, 쥬스 및 음료류, 기타로 분류하고 각 제품에 표기된 영양표시를 중심으로 현재 우리나라 칼슘강화 현황과 영양표시 실태를 살펴보았다. 그러나 본 조사에서는 특정인을 위한 건강보조식품이나 특수영양식품 및 유아용 조제유와 이유식은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조사된 캄슘강화식품은 총 81건이었으며 곡류가공품, 라면류를 중심으로 광범위한 식품군에 강화되었다. 특히 칼슘이 기호식품에 첨가됨으로서 소비자의 식사 패턴과 기호도에 따라 개인별로 칼슘 섭취량의 차이가 클 가능성이 있었다. 그리고 칼슘강화식품은 대부분 칼슘이 단독으로 강화되었고 그 다음으로 칼슘 이외에 1종의 영양소가 추가로 강화된 제품들이 많았고 식품군에 따라서는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특히 우유 및 유제품 식품군은 다중 강화식품군으로 한 제품과 칼슘과 1~8종의 영양소가 동시에 강화되었다. 또한 같이 첨가되는 영양소의 종류는 DHA가 가장 많았으며 그 외에 비타민류, 무기질류 등이 있었다. 제품의 칼슘함량을 표시하는 기준단위는 주로 '100g/100mL', '포장중량'이었으며 각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실제 섭취량을 비교하기 위해 칼슘함량을 '1인 분량'당 % RDA로 환산해보면 2.5~27.6% RDA 범위였다. 특히 칼슘이 강화된 제품의 칼슘함량이 '1인 분량'당 10% RDA에도 미달되는 제품들이 많아 강화함량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가 필요했다. 영양표시는 표시기준에 규정되지 않은 용어가 사용되고 규정된 용어를 사용하더라도 함량기준에 미달되는 경우가 있는 등 몇 가지 문제점을 드러냈다. 그러므로 영양강화가 제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시대적인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관련 정부기관의 노력과 식품업계의 강화에 따르는 기술력 향상 및 사후 품질관리가 필요했다. 또한 학술기관에서는 이에 대한 기초연구가 소비자들 대상으로 영양교육을 실시하고 소비자 스스로도 자신에 맞는 식품을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꾸준한 노력과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성장기 쥐에서 난각분 강화라면의 칼슘 이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ioavailability of Calcium in Eggshell Powder Fortified Ramen in the Growing Rats)

  • 장순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8호
    • /
    • pp.1195-1201
    • /
    • 2005
  • 한국인의 칼슘영양 향상을 위한 칼슘급원으로서 난각분의 효용성을 검토한 연구에 바탕하여 난각분을 첨가한 시판 라면의 칼슘영양 향상효과를 저칼슘식이를 투여받은 성장기 흰쥐를 이용하여 검토하였다. 실험은 3주령의 SD 쥐를 저칼슘식이로 2주간 사육 후 무작위로 5군으로 나누어 대조군으로 0.05$\%$ 저칼슘$CaCO_{3}$식이, 일반 라면식이 (칼슘수준0.08$\%$), 나머지 3군은 0.15$\%$ 칼슘 수준이 되도록 탄산칼슘, 탈지분유, 난각분 강화라면으로 조성한 식이와 탈 이온수를 임의 섭취로 4주간 투여하고 식이 섭취와 체중을 측정하였다. 마지막 3일 간의 변을 수거하였고, 희생하여 대퇴골과 경골을 추출하여 칼슘 이용효율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는 칼슘급원에 구별 없이 0.15$\%$ 칼슘군들이 0.05$\%$ 칼슘 공급군보다 체중, 경골, 대퇴골의 무게, 길이, 회분 및 칼슘함량에서 유의적으로 향상되었다. 겉보기 흡수율도 칼슘 공급원에 따른 차이는 없어 난각분이 탄산칼슘이나 탈지분유와 동일한 수준의 생체 이용성을 나타냄을 뒷받침하였다. 난각분 강화 라면군은 동일 칼슘수준의 탄산칼슘군보다는 뼈의 무게에서 나았으나 경골 무게는 탈지분유군보다는 뒤떨어졌다. 길이자람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뼈의 강도는 경골에서만 유의적으로 칼슘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되었고,대퇴골에서는 수치상으로 칼슘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되었다. 칼슘 급원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결과는 난각분은 칼슘급원으로, 또 라면은 칼슘강화의 매개체로 칼슘이 아주 부족한 집단에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단 라면의 생성공정에 이용되는 유지나 스프의 높은 나트륨 함량 등 건강식품으로는 제한점이 있는 만큼 이 를 개선하고 편의식품으로 일반인들의 섭취 빈도나 한국인의 칼슘섭취 수준을 감안하여 현 강화수준의 2배 정도로 높이고, 또 칼슘필요량이 높은 집단을 위하여 스프 등을 차별화 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겠다. 이와 아울러 소비자들이 영양표시를 활용하도록 영양교육을 확대하여 칼슘 충분섭취량(Al)이 높은 성장기, 폐경기여성, 노년층 인구집단의 칼슘영양 향상에 난각분 강화라면이 기여토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비타민 무기질 임의영양강화 최대허용수준 추정 (Estimation of Safe Maximum Levels of Vitamins and Minerals to Foods)

  • 정해랑;오세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9권7호
    • /
    • pp.692-698
    • /
    • 2006
  • The voluntary addition of vitamins and minerals to the appropriate foods may help reduce the risks associated with low intakes of these micronutrients, yet the potential of excessive intake, particularly for persons consuming very large amount of foods needs to be addressed. Using the Flynn's model to estimate the level of each vitamins and minerals that can be added safely to foods, maximum levels of fortification to conventional foods per 100 kcal portion were estimated. Critical factors in the Flynn's model included tolerable upper intake level (UL), each micronutrient intake at the $95^{th}$ percentile, the proportion of fortified foods in the diets of individuals, the proportion of foods to which micronutrients could be practically added, and a range of estimates for fractions of foods which might be actually fortified in each nutrient. Food vehicles included all foods except for fresh foods and alcoholic beverages, in general. With fortification of 50% of all potentially fortifiable foods, micrornutrients could be added safely to foods at levels per 100 kcal 1) > 100% Recommended Intake (RI) for vitamin $B_12$, 2) 1,200% RI for vitamin $B_1$ and niacin, 3) 1,000% $B_1$ for vitamins $B_2$ and $B_6$, 4) 400% RI for vitamin E, 5) 30% RI for calcium, 6) 20% RI for folic acid, iron and zinc, 7) 10% RI for manganese, 8) no fortification for magnesium, phosphorous and vitamin A, and 8) further consideration of vitamin D, copper and selenium due to insufficient evidenc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a wide range of vitamins and minerals that can be added safely to foods in current diets of Koreans.

유기산 난각 칼슘 강화 숙면의 물성 (Rheological Properties of Cooked Noodle Fortified with Organic Acids-Eggshell Calcium Salts)

  • 신형순;김공환;윤정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197-1202
    • /
    • 1998
  • 폐기되는 난각으로부터 칼슘성분을 회수하여 재활용하는 방안으로서 유기산 난각칼슘염을 제조하고 생면에 첨가하여 첨가량에 따른 반죽특성, 조리성질에 미치는 영향과 숙면의 물성을 조사하였다. 칼슘염을 밀가루에 $0.2{\sim}1.0%$ 첨가하여 흡수율, 반죽형성기간, 안정도 등의 반죽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Farinograph로 조사한 결과 전반적으로 calcium malate (CM)의 경우가 calcium citrate (CC)의 경우보다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죽의 특성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의 첨가량은 CM의 경우 0.1% 이하이고 CC의 경우는 약 0.4%이었다. 칼슘염을 첨가하여 생면을 제조하였을 때 제조된 숙면의 조리시 부피 증가 속도는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감소하였으며 이 경향은 CM 첨가시가 CC 첨가시 보다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숙면의 관능검사 결과 칼슘염을 0.6% 첨가시 CC의 경우 5% 수준에서 무첨가 생면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으나, CM의 경우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는 CC의 경우 0.6% 이상 첨가시 springiness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그 증가폭도 CM 첨가의 경우보다 컸던 점과 잘 일치하였다. 한편 반죽 특성과 숙면의 texture, 관능검사로부터 얻어진 최적 첨가량인 CC 0.4%를 첨가한 경우의 칼슘이온농도는 48 ppm으로 무첨가시의 16 ppm의 약 3배에 해당하였다. 이를 200 g의 숙면으로부터 얻어진 칼슘으로 환산한 값은 86 mg이었으며 이온화율은 97.4%이었다.

  • PDF

일부 지역 청소년의 영양강화식품 이용 실태 조사 (Patterns of Fortified Food Use among Teenagers in Chungnam Province and Daejeon City in Korea)

  • 양자경;김선효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47-459
    • /
    • 2004
  • Fortified foods are consumed widely in modem society according to increased concern on health oriented food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atterns of vitamin-and/or mineral-fortified food use among 677 teenage students(13-18 years of age) in Chungnam province and Daejeon city in Korea using questionnaire. More than 63.7% of total subjects consumed more than one package of fortified foods belonged to more than three categories of five categories including sweets/biscuits, ramyons, beverages, milk and dairy products, and breads as a frequency of more than 1-2 times/week during previous three months prior to present survey. Consumption of fortified foods was higher in middle school students than in high school students(p<0.05), and in females than in females(p<0.001). Users of fortified foods took the snacks more often(p<0.001), and they tended to believe more positively that fortification can be helpful in health maintenance than did non-users. Users preferred vitamin C and Ca(calcium) as a fortified nutrient. Major fortified nutrients in fortified foods taken by users were various; vitamin B-complex and Ca from sweets/biscuits, Ca from ramyons, vitamin C and Ca from beverages, Ca and iron from milk and dairy products and breads. These results suggest that fortified foods are used commonly and are influenced by several factors among teenagers. Types of fortified nutrient, in fortified foods taken by subjects, are various and fortification is performed unspecifically. As a consequence both nutrition education and government regulation on fortified foods should be enforced to maximize the benefits and minimize the hazard of their use.

통밀 비율에 따른 칼슘강화 비스킷의 소비자 조사 -20대 여대생을 중심으로- (Consumer Survey of Calcium Fortified Biscuits Depending on the Differentiated Whole Grain Ratio)

  • 곽지민;이지오;임보미;오지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106-114
    • /
    • 2019
  • 본 연구는 칼슘 섭취가 부족한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구매 행동 및 소비자의 의도에 대한 통밀 비율 및 영양 정보 제공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으며 맞춤식 영양 강화 간식의 개발 및 마케팅 전략에 대한 기본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통밀 비율에 대한 맛의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ZF의 기호도가 가장 높았으나 HF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맛과 향의 친숙도 (P <0.001), 구매의도 (p <0.001), 추천의도(p <0.001)를 조사한 결과, ZF, HF, TF 순으로 높았다. 정보 제공에 대한 구매자의 구매 의도 (p <0.05)와 추천 의도 (p <0.05)는 세부 정보 그룹, 비 정보 그룹 및 단순 정보 그룹 순으로 높았다. 종합적으로 살펴본 결과, 칼슘 강화 비스킷을 개발할 때 통밀가루와 밀가루를 혼합하여 사용한다면 맛과 향, 친숙도에 대한 거부감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구매 의사 및 추천 의사가 세부 정보 그룹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보아 칼슘과 식이섬유의 강화 정도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면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