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dherin 4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8초

Cadherin, Catenin, and Cancer

  • 전병훈
    • 한국동물학회:뉴스레터
    • /
    • 제18권1호
    • /
    • pp.26-33
    • /
    • 2001
  • 여러 분야에 걸쳐 수많은 논문을 인용하면서, 현재 나의 연구 분야와 관련된 특이한 점을 발견 할 수 있었다. 즉, 수 천 편의 관련 논문이 출판되었으면서도 1990년 이전의 참고문헌을 찾아볼 수 없었고, 아울러 최근 3-4년 동안 대부분의 관련 논문이 출판되었다는 점이다. 이는 전세계적으로 수많은 과학자들이 본 연구분야와 관련하여 학문적 중요성을 인식하고, 최근에 이 분야의 연구 자료를 한꺼번에 쏟아 부은 결과일 것이다. 이 연구분야의 관심이 세계적으로 증가하면서 4년 전에는 관련 과학자들의 모임이 미국에서부터 시작되어 현재는 소규모의 학회 성격을 띠고 있다. 그런데 최근에 학문적 성격이 부각되어 많은 과학자들이 앞다투어 이 분야의 연구에 뛰어들고 있는 시점에서 국내에서는 아직 많은 결과물이 나오지 않고 있으며, 그 관련 학자들의 인적 구성조차도 미미한 실정이다. 그래서 보다 많은 국내 연구진들이 이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토의함으로서 국내에서도 연구 분위기가 활성화될 수 있기를 기대하면서 본 논단을 review 형식으로 접하고자 한다. 전체적인 이해를 돕고자 catenin과 관련된 연구의 시대적 흐름을 먼저 설명하고, 그 다음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고자 한다.

  • PDF

Feline progressive histiocytosis in four cats: case reports

  • Ji-Su Kim;So-Jeong Yim;Jae-Hoon Kim;Ji-Youl Jung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62권4호
    • /
    • pp.34.1-34.4
    • /
    • 2022
  • We describe four cases of feline progressive histiocytosis (FPH) including three females (one intact, two spayed) and one castrated male cat, with a mean age of 5.95 years at diagnosis. Masses were found under the skin of head, lip, neck, and vulva. Histologically, proliferative round cells had ovoid nuclei, foamy eosinophilic cytoplasm, distinct cytoplasmic processes, and numerous mitotic figures. Immunohistochemically, all cases were positive for Iba1 and MHC II (Dako). One case showed cytoplasmic positive staining for E-cadherin.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documented report of FPH in Korea.

Quantitative Assessment of the Diagnostic Role of CDH13 Promoter Methylation in Lung Cancer

  • Zhong, Yun-Hua;Peng, Hao;Cheng, Hong-Zhong;Wang, Pi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3호
    • /
    • pp.1139-1143
    • /
    • 2015
  • In order to explore the association between cadherin 13 (CDH13) gene promoter methylation and lung carcinoma (LC) risk, we carried out a meta-analysis with searching of PubMed, Web of Science. Ultimately, 17 articles were identified and analysised by STATA 12.0 software. Overall, we found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DH13 promoter methylation and LC risk (odds ratio=6.98, 95% confidence interval: 4.21-11.56, p<0.001). Subgroup analyses further revealed that LC risk was increased for individuals carrying the methylated CDH13 compared with those with unmethylated CDH13. Hence, our study identified a strong association between CDH13 gene promoter methylation and LC and highlighted a promising potential for CDH13 methylation in LC risk prediction.

Lobular Breast Carcinoma Metastasis to the Thyroid Gland: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 Bourcier, Kevin;Fermeaux, Veronique;Leobon, Sophie;Deluche, Elise
    • Journal of Breast Cancer
    • /
    • 제21권4호
    • /
    • pp.463-467
    • /
    • 2018
  • Metastasis from primary cancer to the thyroid is uncommon in breast cancer. Here we present a case of lobular breast carcinoma that metastasized to the thyroid. A 54-year-old woman without symptoms was admitted to our institution for staging of the lymph node above the left clavicle. An $^{18}F$-fluoro-deoxy-D-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scan was performed for staging, and low uptakes were observed in the left supraclavicular and cervical lymph nodes. High uptake was seen in the posterior and lower left lobe of the thyroid. Histologic findings indicated lobular breast carcinoma (positive GATA3, loss of E-cadherin expression) metastatic to the thyroid with a luminal profile.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was negative for primary thyroid or parathyroid carcinoma.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a patient presenting a metastatic invasive lobular carcinoma in the thyroid and lymph nodes without a prior diagnosis of breast cancer.

신생혈관형성억제작용을 기반으로 한 항비만제제의 선별 및 작용기전 (Selection and Mechanism of Anti-Obesity Agents from Natural Products Based on Anti-Angiogenesis)

  • 신진혁;이진희;강경완;황재호;한경호;신태선;김민용;김종덕
    • KSBB Journal
    • /
    • 제24권2호
    • /
    • pp.122-130
    • /
    • 2009
  • 선별한 신생혈관형성억제제는 EGCG보다도 제어 효과가 나은 천연산물들 중에서 전호, 파고지, 희첨 및 중심으로 그 기전을 밝히고자 하였다. 세포독성은 전호는 0.3 ppm에서 약간의 독성을 나타내었고, 파고지는 10 ppm까지는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희첨 및 산수유는 25 ppm까지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세포부착억제작용은 신생혈관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cell adhesion 분자인 VCAM-1, ICAM-1 및 E-selectin들에 대하여 ELISA 법으로 살펴보았다. VCAM-1에 대한 천연산물의 작용은 전호 (0.2 ppm, 125%)>파고지 (0.5 ppm, 100%)>희첨 (5.0 ppm, 114%)> 산수유 (5.0 ppm, 111.8%)의 순으로 저해의 강도가 높으며, ICAM-1은 전호 (0.25 ppm, 130%)>파고지 (0.5 ppm, 100%)>희첨 (5.0 ppm, 138%)>산수유 (5.0 ppm, 66.7%)의 순으로 저해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리고 E-Selectin은 전호 (0.25 ppm, 100%)> 파고지 (1.0 ppm, 128%)>희첨 (5.0 ppm, 120%)>산수유 (5.0 ppm, 100.7%)의 순으로 저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Western blot으로부터, 전호 추출물은 VE-cadherin과 ${\beta}$-catenin의 신호전달을 억제하였으며, 그 하위 신호 전달분자인 Akt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파고지는 ${\beta}$-catenin의 신호는 억제하지 않는 것으로 보이나, 그 하위그룹의 Akt의 신호전달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희첨은 VE-Cadherin과 하위 그룹의 Akt를 농도의 증가에 따라 확실한 제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산수유는 하위그룹의 Akt의 신호전달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종류의 선택된 천연산물은 세포표면의 신호전달분자 그리고 그 하위 그룹의 Akt를 억제함으로써 NF-kB의 활성을 차단함으로써 신생혈관의 형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4종류의 천연산물 전호, 파고지, 희첨 및 산수유는 전반적으로 낮은 농도에서 세포부착인자의 발현을 억제하였고, 신호전달 분자들을 억제함으로써 신생혈관 형성 억제에 따른 항비만제제로서 충분한 가능성을 보였다.

Enterotoxigenic Bacteroides fragilis에 의한 질환과 검출 (Enterotoxigenic Bacteroides fragilis-Associated Diseases and Detection)

  • 권선영;장인호;이기종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161-167
    • /
    • 2015
  • 정상인에서 장내세균은 숙주의 면역이나 영양 흡수를 돕지만, 때로는 기회감염균으로서 그들을 위협하기도 한다. 그 중 절대 혐기성 세균인 Bacteroides fragilis는 분비되는 장독소(enterotoxin)인 Bacteroides fragilis toxin (BFT)의 유무에 따라 non-enterotoxigenic B. fragilis (NTBF)와 enterotoxigenic B. fragilis (ETBF)로 나뉜다. ETBF는 가축 및 사람에서 설사 질환 및 대장 질환을 유발한다 그러나 때때로 ETBF를 가지고 있으나 증상이 없는 사람도 존재한다. ETBF는 염증성 설사 질환, 여행자 설사 환자의 대변에서 검출되어 주목 받고 있다. 또한, 몇몇 연구를 통해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나 대장염 및 대장암 환자에서 ETBF가 증가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일반 C57BL/6 마우스 및 germ-free 마우스, multiple intestinal neoplasia (Min) 마우스, 토끼, Mongolian gerbil 등 여러 동물 모델에서 ETBF가 IBD나 대장염, 대장암을 유발 또는 촉진한다는 것이 발표되었다. ETBF의 유일한 병원성 인자인 BFT는 E-cadherin의 분절을 유도하여 장상피 세포의 투과성을 높인다. 이어서 ${\beta}$-catenin 신호전달계가 활성화하여 장상피세포의 증식이 증가한다. 또한 ETBF의 감염은 일반 마우스에서 급성이나 만성의 대장염을 일으키고 Min 마우스에서 종양 형성을 촉진한다. 이는 Stat3에 의존한 $T_H17$ 면역반응의 활성화를 통해 일어난다. 현재 ETBF의 검출 방법에는 크게 BFT toxin assay와 몇 가지 PCR 방법이 있다. 최근 real-time PCR과 같은 분자진단학적 기법의 발달로 일반적인 PCR보다 더 정확한 ETBF의 검출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것을 이용하여 앞으로 실제 임상에서 ETBF와 대장염 및 대장암의 발달 관계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가 이뤄질 것으로 본다.

인체유방암세포의 tight junction 기능 조절을 통한 genistein의 암세포 침윤 억제 효과 (Anti-invasive Activity of Human Breast Carcinoma Cells by Genistein through Modulation of Tight Junction Function)

  • 김성옥;정영기;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9호
    • /
    • pp.1200-1208
    • /
    • 2009
  • Tight junctions (TJs)은 인접된 세포 사이의 전해질 및 거대분자 확산 조절에 관여하는 paracellular permeability의 장벽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MCF-7 및 MDA-MB-231 인체유방암세포에서 대두의 대표적인 생리활성물인 genistein에 의한 암세포의 침윤 억제에서 TJs의 견고성 및 투과성과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genistein에 의한 유방암세포의 증식 억제, 암세포 이동성의 저하 및 침윤성의 억제는 TJs의 증가된 견고성과 연관이 있었으며, 이를 transepithelial electrical resistance의 증가 및 paracellular permeability의 감소로 확인하였다. Genistein은 두 유방암세포에서 TJs의 주요 조절 단백질로서 paracellular transport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claudin-3 및 claudin-4의 발현을 억제시켰다. 그리고 genistein은 암세포의 전이 조절 관련 유전자들인 like growth factor-1 receptor 및 snail의 발현을 억제하였으며, thrombospondin-1 및 E-cadherin의 발현은 증가시켰다. 또한 small interfering RNA를 이용하여 genistein의 유방암세포의 침윤 억제에서 claudin-3단백질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genistein이 TJs의 견고성 증가를 통하여 암세포의 침윤성을 억제할 수 있었으며, 이 과정에서 아마도 claudin 단백질의 발현 증가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genistein이 종양 전이억제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한국인 자폐증과 Chromosome 5p14에 존재하는 CDH9, CDH10 유전자 다형성의 연관성 연구 (Polymorphisms of CDH9 and CDH10 in Chromosome 5p14 Associated with Autism in the Korean Population)

  • 이애리;박정원;남민;방희정;양재원;최경식;김수강;정주호;곽규범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2권4호
    • /
    • pp.287-293
    • /
    • 2011
  • Objectives : The region of chromosome 5p14 i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The cadherin9 (CDH9) and cadherin10 (CDH10) genes are located in the region of chromosome 5p14 and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ASD in the Caucasian population. We performed an association study to identify if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located on the CDH9 and CDH10 genes are associated in the Korean population. Methods : Genomic DNA was extracted from the blood of 214 patients with ASD and 258 controls. SNPs selected from two genes were genotyped using an Illumina Golden-Gate Genotyping assay with VeraCode technology.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AS and Plink software. Results : All controls and ASD patients were in Hardy-Weinberg equilibrium. In the results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for the genotype model and the chi-square test for the allele model, we found that SNPs on the CDH9 and CDH10 genes were not associated with ASD. Conclusion : Our data suggests that the CDH9 and CDH10 genes are not associated with ASD in the Korean pop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