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DNA clone

검색결과 422건 처리시간 0.029초

마늘 모자이크 바이러스 게놈에 대한 cDNA의 클로닝 (Molecular Coning of cDNA for Garlic Mosaic Virus Genome)

  • 최연희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5권3호
    • /
    • pp.253-257
    • /
    • 1992
  • Potyvirus group에 속하는 것으로 알려진 마늘 모자이크 바이러스 (GMV)가 식물에서 병을 유도하는 메카니즘을 이해하기 위하여, 마늘에 존재하는 GMV에 대한 cDNA clone인 clone 29-6을 분리하였다. Northern blot 분석에 의해 이 바이러스의 genome size는 약 9 kb이고, 또한 clone 29-6은 GLV genome과 유사성이 없었으며, 마늘잎으로부터 분리된 $poly(A)^{+}$ RNA와 강하게 hybridization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이 cDNA clone이 마늘에 감염하여 모자이크 병반을 유도하는 GMV에 대한 cDNA clone 중의 하나인 것으로 생각되었다. Clone 29-6을 probe으로 사용하여 마늘 바이러스의 cDNA 은행을 탐색하여 이와 중첩되는 clone을 선별하여 염기서열을 결정한 결과 이들의 염기서열이 중첩부위에서 서로 일치하지 않았는데 이는 마늘은 여러 형태의 GMV에 의해 감염되어 있음을 암시한다.

  • PDF

재래닭의 근육 성장과 관련되는 cDNA Clone의 염기서열 및 특성 (DNA Sequence and Characteristics of Muscle Development cDNA Clone Derived from Korean Native Chicken)

  • 선상수;명규호;국길;김남오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49-254
    • /
    • 2006
  • 본 연구는 재래닭의 성장 관련 유용 유전자를 검색하기 위하여, 재래닭에서 발현되는 유전자와 코니쉬에서 발현되는 유전자를 subtraction하여 cDNA library를 구축하고, 염기서열을 밝혀서 재래닭 특이 유용 유전자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cDNA library에서 얻은 clone들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나타난 결과를 5개의 clone을 비교 분석하였다. Clone NDS-1(618nt)은 비록 타 종과의 상동성은 낮으나(10%) 해당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triosephosphate isomerase이며, Clone NDS-6(651nt)는 자에서 해당 과정에 관여하는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로 여겨진다. 그러나 3가지 유전자(clone NDS-2, NDS-10, NDS-12)는 다른 유전자들과 비교하여 5.0%내외의 낮은 상동성을 보이고 고등 동물과 거의 유사성이 없으므로 재래닭 특이 성장 관련 유용 유전자일 가능성이 있다.

소 바이러스성 설사병 바이러스의 유전자 재조합 DNA clone의 작성에 관한 연구 (Construction of recombinant DNA clone for bovine viral diarrhea virus)

  • 여상건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89-398
    • /
    • 1992
  • Molecular cloning was carried out on the Danish strain of bovine viral diarrhea virus(BVDV) to construct strategy for the diagnostic tools and effective vaccine of BVD afterwards. A recombinant DNA clone(No. 29) was established successfully from cDNA for viral RNA tailed with adenine homopolymer at 3'-end. $^{32}P$-labeled DNA probes of 300~1,800bp fragments, originating from the clone 29, directed specific DNA-RNA hybridization results with BVDV RNA. Recombinant DNA of the clone 29 was about 5,200bp representing 41.6% of the full length of Danish strain's RNA, and restriction sites were recognized for EcoR I, Sst I, Hin d III and Pst I restriction enzymes in the DNA fragment.

  • PDF

Human Liver로부터 Cloning한 cDNA성장호르몬 수용체의 기능성 검토 (Assembly of a Functional cDNA for Human Liver Growth Hormone Receptor: Cloning of Assembled hGHR cDNA)

  • 장규태;지선병홍;손동수;서원진삼;고교적웅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59-172
    • /
    • 1998
  • 사람 성장호르몬 수용체(hGHR) cDNA는 PCR방법에 의하여 fagment로서 보고되어진 바 있으나, liver cDNA로 부터 전장을 cloning한 보고는 없는 실정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능을 가진 약 4.6kbp의 cDNA hGHR을 cloning 하는데 성공하였다. 먼저 cloning하기 위하여 human liver mRNA와 human breast cancer tissue로부터 회수한 mRNA를 RT-PCR방법에 의하여 human cDNA library와 cloning에 필요한 probe를 제작하였다. human library mRNA는 GT-PCR방법에 의하여 증폭하여 증폭되어진 산물은 λZAP Vector를 이용하여 cDNA library를 구축하였고,screeing을 위하여 임 보고 되어진 hGHR fragment native sequence를 기초로 N-terminal부분의 primer를 설계하여 950bp의 probe를 얻는데 성공하였다. 이 probe를 이용하여 준비된 human liver cDNA library로부터 2.5$\times$10 6개의 plaque로부터 6개의 positive clone을 획득하였고, 이들중 poly Asignal인 "AATAAA"를 포함하고 있는 가장 긴 약 3.8kbp의 clone을 sequencing한 결과 open reading frame을 포함하고 있었으나, 5'부분의 결손되어 있었다. 그리하여 이 부분은 human breast cancer tissue로 부터 회수한 mRNA를 RT-PCR에 의하여 증폭하였고, sequencing결과 이미 보고되어진 native hGHR와 비교한 결과 하나의 nucleotide가 silent mutation으로 판명되었다.한편 human liver cDNA library로부터 cloning한 3.8cp의 positive clone의 5'end의 결손된 부분에 silent mutation된 PCR 산물을 연결함으로써 native hGHR와 유사한 cDNA hGHR subcloning에 성공하였다. 이러한 cDNA hGHR의 clone이 function을 가지고 있는지를 검토하기 위하여 eukaryotic 발현 vector인 pCXN2에 의거 ligation한 후 chinese hamster ovary cell[CHO-KI]에 transfect를 실시하였다. Dexamethasone은 첨가하지 않고 hGH만의 존재하에서 이들 cell을 배양시키고 cell menbrane에서 발현 여부를 판정키 위하여 hGHR monocloual antibody를 사용하여 flow cytometery해석을 실시하는 한편 125I-hGH binding assay에 의하여 hGH binding activity를 측정하였다. 최종적으로 GH signal transduction의 target genedf으로 알려져 있는 serine protease inhibitor 2.1(Spi 2.1) gene의 promotor activity를 검토한 결과 hGHR을 transfect한 CHO Cell에 있어서 hGH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증가되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cloning한 cDNA hGHR는 native hGHR와 같은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판명되었다.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

Subtraction 기법을 이용한 한우 성장 단계 특이 발현 유전자 탐색 (Identification of the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of Hanwoo During the Growth Stage by Subtractive cDNA Hybridization)

  • 장요순;김태헌;윤두학;박응우;정일정;조진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1호
    • /
    • pp.13-22
    • /
    • 2002
  • 한우의 성장단계 특이발현 유전자를 탐색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유전자의 발현 유무 및 발현정도의 차이를 나타내는 유전자를 분리하는데 있어 가장 강력한 수단으로 알려진 subtractive cDNA hybridization 기법을 이용하여 한우 등심조직으로부터 12개월령 및 24개월령 특이적인 subtractive cDNA library를 제작하였다. 성장단계 특이적인 유전자를 탐색하기 위하여, 6, 12 및 24개월령 cDNA를 사용하여 reverse northern blot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6개월령 cDNA probe에 대하여 특이적인 signal을 나타낸 3개의 clone은 EPV 20, Ca2+ ATPase, 및 TCTP 유전자와 유사성을 나타내었다. 12개월령 cDNA probe에 대하여 특이적인 signal을 나타낸 9개의 cDNA clone은 각각 VCP, HSP 70, aldolase A, MSSK1, GM-2 activator protein, ryanodine receptor, acidic ribosomal phosphoprotein p1, ADP/ATP translocase T1 및 UCP 2 유전자와 높은 homology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2개의 clone이 각각 12개월령 및 24개월령 cDNA probe에 대하여 특이적인 signal을 나타내었는데, 12개월령 cDNA probe에 대해서만 signal을 나타낸 clone은 ferrochelatase 유전자와 유사하였으며, 24개월령 probe에 대해서만 signal을 나타낸 clone은 ADRP 유전자와 유사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연구에서 제작한 성장단계 특이적인 subtractive cDNA library를 분석하여 14종의 유전자를 한우 성장단계 특이 발현 후보 유전자로 선정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으며, 이외에도 성장단계에 있어 특이적으로 발현될 것으로 추정되는 cDNA 클론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Cloning and Expression of Human Liver UDP-Glucuronosyltransferase cDNA, UDPGTh2

  • Dong, Misook;Owens, Ida-S.;Sheen, Yhun-Yhong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0권5호
    • /
    • pp.459-464
    • /
    • 1997
  • The human liver cDNA clone UDPGTh2, encoding a liver UDP-glucuronosyltransferase (UDPGT) was isolated from a .gamma. gt 11 cDNA library by hybridization to mouse transferase cDNA clone, UDPGTm1. UDPGTh2 encoded a 529 amino acid protein with an amino terminus membrane-insertion signal peptide and a carboxyl terminus membrane-spanning region. There were three potential asparagine-linked glycosylation sites at residues 67, 68, and 315. In order to obtain UDPGTh2 protein encoded from cloned human liver UDP-glucuronosyltransferase cDNA, the clone was inserted into the pSVL vector (pUDPGTh2) and expressed in COS 1 cells. The presence of a transferase with Mr-52,000 in transfected cells cultured in the presence of $[^{35}S]$ methionine was shown by immunocomplexed products with goat antimouse transferase IgG and protein A-Sepharose and analysis by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and autoradiography. The expressed UDPGT was a glycoprotein as indicated by 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in Mr-3,000-4,000 when expressed in the presence of tunicamycin. The extent of glycosylation was difficult to assess, although one could assume that glycosyl structures incorporated at the level of endoplasmic reticulum were always the core oligosaccharides. Thus, it is likely that at least two moieties inserted can account for the shift of Mr-3,000-4,000. This study demonstrates the cDNA and deduced amino acid sequence of human liver UDP-glucuronosyltransferase cDNA, UDPGTh2.

  • PDF

Complete Genome Sequencing and Infectious cDNA Clone Construction of Soybean Mosaic Virus Isolated from Shanxi

  • Wang, Defu;Cui, Liyan;Zhang, Li;Ma, Zhennan;Niu, Yanbing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7권2호
    • /
    • pp.162-172
    • /
    • 2021
  • Soybean mosaic virus (SMV) is the predominant viral pathogen that affects the yield and quality of soybean. The natural host range for SMV is very narrow, and generally limited to Leguminosae. However, we found that SMV can naturally infect Pinellia ternata and Atractylodes macrocephala. In order to clarify the molecular mechanisms underlying the cross-family infection of SMV, we used double-stranded RNA extraction, rapid amplification of cDNA ends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Gibson assembly techniques to carry out SMV full-length genome amplification from susceptible soybeans and constructed an infectious cDNA clone for SMV. The genome of the SMV Shanxi isolate (SMV-SX) consists of 9,587 nt and encodes a polyprotein consisting of 3,067 aa. SMV-SX and SMV-XFQ008 had the highest nucleotide and amino acid sequence identities of 97.03% and 98.50%, respectively. A phylogenetic tree indicated that SMV-SX and SMV-XFQ018 were clustered together, sharing the closest relationship. We then constructed a pSMV-SX infectious cDNA clone by Gibson assembly technology and used this clone to inoculate soybean and Ailanthus altissima; the symptoms of these hosts were similar to those caused by the virus isolated from natural infected plant tissue. This method of construction not only makes up for the time-consuming and laborious defect of traditional methods used to construct infectious cDNA clones, but also avoids the toxicity of the Potyvirus special sequence to Escherichia coli, thus providing a useful cloning strategy for the construction of infectious cDNA clones for other viruses and laying down a foundation for the further investigation of SMV cross-family infection mechanisms.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Pollen-specific cDNA Clone from Easter Lily

  • Kim, Seong-Ryong;An, Gyu-Heung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9권3호
    • /
    • pp.197-202
    • /
    • 1996
  • A pollen-specific cDNA clone, LMP50, was isolated from the mature pollen cDNA library of the Easter lily. The LMP50 transcript was highly abundant in mture pollen grains but not detectable in other organs. The LMP50 cDNA clone contains 1383 nucleotides and two open reading frames. The first codes for a peptide of 15 amino acid residues. The role of this peptide is nuclear. The second encodes a protein containing 329 amino acid residues. This protein exhibited a significant homology to human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and porcine uteroferrin. Both of these enzymes have been suggested to play a role in iron transport. Therefore, LMP50 may act as an iron carrier protein in mature pollen grains.

  • PDF

녹조류 Chlamydomonas reinhardtii의 (CA/GT)n Simple Sequence Repeat DNA 다형현상 ((CA/GT)n Simple Sequence Repeat DNA Polymorphism in Chlamydomonas reinhardtii)

  • 강태진;양덕춘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3-117
    • /
    • 1997
  • Simple sequence repeats (SSR)는 진핵생물체에 널리 산재되어 있으며, 큰 다형현상을 나타내고,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으로 쉽게 분석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서로 다른 Chlamydomonas reinhardtii계통간의 다형현상과 Chlamydomonas의 SSR 좌위에서의 유전양상을 결정하는데 있었다. C. reinhardtii의 genomic DNA library를 만들어 $^{32}$P로 라벨링한 (AC)$_{11}$ probe를 이용하여 (CA/GT)n 반복서열을 가지는 clone을 선택하기위해 screen하였다. 선택된 clone을 sequencing하여 (CA/GT)n sequence에 인접한 PCR primer set를 제조하였다. PCR은 여러 C. reinhardtii 계통의 SSR 좌위를 증폭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그 좌위는 및몇 C. reinhardtii 계통에서 다형현상을 보였다. 그러나 그 좌위에서 C. reinhardtii의 6계통중 4계통만 DNA가 PCR 증폭을 하였고 2계통은 증폭을 하지 않았다. C. reinhardtii와 C. smithii의 교배로 생긴 4배체에서 2:2의 분리비를 보여주었는데, 이는 단순한 멘델의 유전양상을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SSR 다형현상은 Chlamydomonas의 개체 식별, 개체군 연구, 연쇄 분석, 그리고 유전자 지도 작성을 하는데 유용할 것이다.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