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DNA

검색결과 6,187건 처리시간 0.033초

DNA 벤딩(휨) 없이 돌연변이 cAMP 수용체 단백질의 결합 (Mutant cAMP Receptor Protein Binds to DNA without DNA Bending)

  • 강종백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7호
    • /
    • pp.1225-1228
    • /
    • 2006
  • cAMP와 복합체를 형성한 cAMP 수용성 단백질은 DNA와 결합하여 ${\sim}90$도 정도의 예리한 DNA bending을 유도한다. 그러나 이전의 논문[5]에 의하면 돌연변이 CRP:cGMP 복합체는 돌연변이 CRP:cAMP 복합체보다 아크릴아미드 겔에서 상대적으로 빠른 이동속도를 보였다. CRP와 cyclic nucleotide 존재하에서 DNA의 구조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6가지 준비된 DNA조각들을 사용하여 몰 고리화 인자(molar cyclization factor)[13]를 측정하였다. 이들 자료를 사용하여 nonlinear regression analysis를 통하여 cGMP 존재하에서 돌연변이 CRP는 DNA bending을 형성하지 않으나 CAMP 존재하에서 나선 꼬임과 같은 DNA 구조 변화없이 DNA bending을 형성한다.

Evaluation of Amplified-based Target Preparation Strategies for Toxicogenomics Study : cDNA versus cRNA

  • Nam, Suk-Woo;Lee, Jung-Young
    • Molecular & Cellular Toxicology
    • /
    • 제1권2호
    • /
    • pp.92-98
    • /
    • 2005
  • DNA microarray analysis of gene expression in toxicogenomics typically requires relatively large amounts of total RNA. This limits the use of DNA microarray when the sample available is small. To confront this limitation, different methods of linear RNA amplification that generate antisense RNA (aRNA) have been optimized for microarray use. The target preparation strategy using amplified RNA in DNA microarray protocol can be divided into direct-incorporation labeling which resulted in cDNA targets (Cy-dye labeled cDNA from aRNA) and indirect-labeling which resulted in cRNA targets (i.e. Cy-dye labeled aRNA), respectively. However, despite the common use of amplified targets (cDNA or cRNA) from aRNAs, no systemic assessment for the use of amplified targets and bias in terms of hybridization performance has been reported. In this investigation, we have compared the hybridization performance of cRNA targets with cDNA targets from aRNA on a 10 K cDNA microarrays. Under optimized hybridization conditions, we found that 43% of outliers from cDNA technique and 86% from the outlier genes were reproducibly detected by both targets hybridization onto cDNA microarray. This suggests that the cRNA labeling method may have a reduced capacity for detecting the differential gene expression when compared to the cDNA target preparation. However, further validation of this discordant result should be pursued to determine which techniques possesses better accuracy in identifying truly differential genes.

The Bacteriophage λ DNA Replication Protein P Inhibits the oriC DNA- and ATP-binding Functions of the DNA Replication Initiator Protein DnaA of Escherichia coli

  • Datta, Indrani;Sau, Subrata;Sil, Alok Kumar;Mandal, Mitai C.
    • BMB Reports
    • /
    • 제38권1호
    • /
    • pp.97-103
    • /
    • 2005
  • Under the condition of expression of $\lambda$ P protein at lethal level, the oriC DNA-binding activity is significantly affected in wild-type E. coli but not in the rpl mutant. In purified system, the $\lambda$ P protein inhibits the binding of both oriC DNA and ATP to the wild-type DnaA protein but not to the rpl DnaA protein. We conclude that the $\lambda$ P protein inhibits the binding of oriC DNA and ATP to the wild-type DnaA protein, which causes the inhibition of host DNA synthesis initiation that ultimately leads to bacterial death. A possible beneficial effect of this interaction of $\lambda$ P protein with E. coli DNA initiator protein DnaA for phage DNA replication has been proposed.

형질전환된 담배에서 해녀콩 Leghemoglobin cDNA의 발현 (Expression of Canavalia Iineata Leghemoglobin cDNA in Transgenic Nicotiana tabacum)

  • 이선영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8권2호
    • /
    • pp.203-209
    • /
    • 1995
  • 담배(Nicotiana tobacum L. cv. Wisconsine 38) 잎 절편을 해녀콩(Canavalia lineata)의 leghemoglobin(Lb) cDNA를 포함하는 Agrobacterium과 함께 배양한 후, 0.5mg/L BAP, 0.1mg/L ${\alpha}-NAA$와 200mg/L kanamycin, 500 mg/L carbenicillin을 포함하는 MS 배지에서 선별하여 7개의 재분화 개체를 얻었다. 이로부터 분리한 게놈 DNA에 대한 Southern 혼성화 반응과 PCR 결과로 Lb cDNA가 담배의 게놈에 삽입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형질전환된 담배로부터 분리한 RNA에 대한 northern 혼성환 실험 결과 약 1,000 nt의 RNA가 혼성화 반응을 보였으며, 총 RNA를 주형으로 합성한 1차 가닥의 cDNA를 PCR로 증폭한 결과, Lb cDNA와 혼성화 반응을 보이는 0.5 kb의 DNA가 증폭되었다. 콩의 Lb에 대한 다군항체(polyclonal antibody)를 사용하여 단백질 면역 항체 반응을 실시한 결과, Lb로 판단되는 약 15.8 kD의 위치에서 혼성화 반응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해녀콩 Lb cDNA가 형질전환된 담배의 게놈에 삽입되었을 뿐만 아니라 mRNA로 전사되어 Lb 단백질로 해독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누에 유충의 cDNA 유전자 은행 제작 및 cDNA 클론의 부분염기서울 분석 (Construction of the cDNA Library from Bombyx mori Larvae and Analysis of the Partial cDNA Sequences)

  • 김상현;윤은영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3-18
    • /
    • 1996
  • 곤충의 다양한 기능해석을 유전자 수준에서 수행하기 위하여 주요 익충인 누에를 대상으로 유전 자원 확보를 시도하였다. 우선 5령의 누에유충에서 cDNA 유전자 은행을 제작하여 1.3 X 106개의 cDNA 유전자원을 확보하였다. 누에유충의 cDNA 유전자 은행에서 무작위로 plaques을 선정하였고, 이를 플라스미드로 전환하여 SK primer를 이용한 부분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결정된 cDNA 클론의 부분 염기서열을 GenBank 데이타베이스에서 검색하여 37개의 발현 유전자 꼬리표를 생산하였다. 이들 중 15개는 데이터베이스와의 비교부위가 150bp 이상이고 DNA 상동성이 약 60% 이상으로 비교적 높은 DNA 상동 유의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혈림프에서 발견되는 수종의 저장 단백질, 곤충의 기동성, 체벽 형성, 효소 및 초파리의 돌연변이 유전자형과 유사한 종류들이었다. 또한 15개의 발현 유전자 꼬리표 중 누에에서 밝혀진 것은 3종이고 그 나머지는 누에에서 처음 밝혀진 것으로 이 클론에 대한 정확한 동정이 요구된다.

  • PDF

효율높은 cloning system을 통한 Rat Liver 전장 낙산탈수소효소 A-cDNA의 제조 및 분리동정 (Rapid and Efficient Molecular Cloning of Rat Liver Full-length LDH A-cDNA)

  • 노옥경;배석철;이승기
    • 약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6-125
    • /
    • 1987
  • It is still difficult and time consuming to obtain cDNA sequences that contain the entire nucleotide sequence of the corresponding mRNA. A rapid and high efficient cloning method to obtain full-length cDNA segments is thus developed. The cloning procedure described here consists of the construction of oligo(dT)-tailed vector primer using pWR34 plasmid, polyadenylation of mRNA-cDNA heteroduplex using terminal deoxytransferase, and replacement of MRNA strand with DNA by RNase H and DNA polymerase I. The restriction endonuclease analysis shows that the size of inserted-cDNA is in the range of 1.5~4.0 kb long suggesting that most of cloned cDNA are full-length or nearly full-length cDNA. The plasmid-DNA recombinants obtained were 4$\times$$10^5$~$10^{6}$ per $\mu\textrm{g}$ of rat liver poly (A$^+$)mRNA, which is 4 to 10 fold higher cloning efficiency in comparison to the presently used methods for full-length cDNA cloning.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described cloning system is much simpler, less time consuming, and very efficient cloning method to construct a cDNA library.

  • PDF

Chlamydomonas에서 분리한 DNA Methylase와 엽록체 DNA Methylation (DNA Methylase and Chloroplast DNA Methylation in Chlamydomonas)

  • 김남곤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5권4호
    • /
    • pp.415-423
    • /
    • 1992
  • Chlamydomonas reinhardtii 21 gr(mt+) strain의 배우체로부터 두 종류의 DNA methylase를 부분 분리하여 몇가지 기질 DNA에 대한 효소 활성을 측정하였다. DNA methylase I과 II는 동일한 pH와 ionic strength에서 서로 상이한 물리적인 성질과 서로 다른 분자량을 가지며 DNA methylase I과 II는 모두가 DNA 염기 중 adenine보다는 cytosine에 methylation을 수행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합성 DNA를 사용한 실험에서 DNA methylase I과는 달리 DNA methylase II는 poly(dA-dC)·poly(dG-dT)에서 보다 poly(dG-dC)·poly(dG-dC)의 oligonucleotide에서 더 높은 효소활성을 나타내었다. Chlamydomonas reinhardtii에서 추출한 엽록체 DNA를 기질로 사용하였을 때 DNA methylase I과 II 모두가 배우체기 보다는 영양생장기의 엽록체 DNA에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

Chlamydomonas의 Polyamine 함량변화와 엽록체 DNA Methylation (Changes in Polyamine Level and Chloroplast DNA Methylation in Chlamydomonas reinhardtii)

  • 이순희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7권1호
    • /
    • pp.101-109
    • /
    • 1994
  • Chlamydomonas reinhardtii 배우체 유도기 동안에 polyamine 생합성 억제제인 MGBG[methylglyoxal bis-(guanylhydrazone); SAMDC 억제제] 1mM 처리구와 정상 대조구에서의 polyamine 함량 변화와 Chlamydomonas의 ct-DNA methylation과의 상호 연관성을 조사한 결과, 전반적으로 137C(+)와 137C(-)의 정상 대조구에서 polyamine 수준은 배우체 유도기 전반에 걸쳐서 감소추세로 나타났으나, 특히 137C(+)가 137C(-)보다 polyamine 함량이 많았으며 동시에 감소량도 컸다. 1mM MGBG 처리구에서는 137C(+)의 spermidine 함량이 정상 대조구보다 증가하였다. In vitro에서 ctDNA methylation에 대한 MGBG의 영향은 정상 대조구에서보다도 1mM MGBG 처리구에서 약 20-30%의 ctDNA methylation 감소를 나타내었다. 또한, MGBG는 in vitro에서 DNA methylase에 대하여 억제효과를 나타내어TEk.

  • PDF

PCR에 의한 DNA 증폭에 미치는 온도와 Cycle 수 (The Effect of Temperature and Cycles on Amplification of DNA by PCR)

  • 김종호;신상희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33-37
    • /
    • 2004
  • In order to study the effect of temperature of denaturation, annealing and extension and cycles on amplification of DNA by PCR method, We isolated the hepatitis B virus DNA from hepatitis B patient blood and compared the density of DNA amplified by Reference PCR Program (denaturation at $94^{\circ}C$ for 30 sec., annealing at $60^{\circ}C$ for 1 min., extension at $72^{\circ}C$ for 1 min., holding at $72^{\circ}C$ for 5min., 30 cycles) that is usually used in laboratory to the density of DNA amplified by PCR program changed only the denaturation temperature or annealing temperature or extension temperature. We amplified about 341bp of hepatitis B virus DNA by Reference PCR Program from hepatitis patient blood, but the DNAs denatured at $72^{\circ}C$ or $60^{\circ}C$ were not detectable on photoradiography film. The DNA amplified at $37^{\circ}C$ of annealing temperature was not detectable, but the DNA annealed at $72^{\circ}C$ was detectable the lower density of DNA than the DNA amplified by Reference PCR Program. Each DNA amplified by PCR program changed only the extension temperature to $37^{\circ}C$ or $60^{\circ}C$ was almost same density as DNA amplified by Reference PCR Program. We compared the density of hepatitis B virus DNA amplified by Reference PCR Program for 30 cycles, 20 cycles, 10 cycles, and 5 cycles. The DNA cycled for 20 cycles was not amplified well as cycled for 30 cycles, but the DNA was detectable on the photoradiography film. The DNAs amplified for 10 cycles or 5 cycles were not detectable on photoradiorgaphy film. The concentration of hepatitis B virus DNA amplified in Reference PCR condition for 30 cycles, 20 cycles, 10 cycles, and 5 cycles were $72{\mu}g/m{\ell}$, $83{\times}10^{-3}{\mu}g/m{\ell}$, $27{\times}10^{-6}{\mu}g/m{\ell}$, and nondetectable, respectively.

  • PDF

Subtraction 기법을 이용한 한우 성장 단계 특이 발현 유전자 탐색 (Identification of the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of Hanwoo During the Growth Stage by Subtractive cDNA Hybridization)

  • 장요순;김태헌;윤두학;박응우;정일정;조진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1호
    • /
    • pp.13-22
    • /
    • 2002
  • 한우의 성장단계 특이발현 유전자를 탐색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유전자의 발현 유무 및 발현정도의 차이를 나타내는 유전자를 분리하는데 있어 가장 강력한 수단으로 알려진 subtractive cDNA hybridization 기법을 이용하여 한우 등심조직으로부터 12개월령 및 24개월령 특이적인 subtractive cDNA library를 제작하였다. 성장단계 특이적인 유전자를 탐색하기 위하여, 6, 12 및 24개월령 cDNA를 사용하여 reverse northern blot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6개월령 cDNA probe에 대하여 특이적인 signal을 나타낸 3개의 clone은 EPV 20, Ca2+ ATPase, 및 TCTP 유전자와 유사성을 나타내었다. 12개월령 cDNA probe에 대하여 특이적인 signal을 나타낸 9개의 cDNA clone은 각각 VCP, HSP 70, aldolase A, MSSK1, GM-2 activator protein, ryanodine receptor, acidic ribosomal phosphoprotein p1, ADP/ATP translocase T1 및 UCP 2 유전자와 높은 homology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2개의 clone이 각각 12개월령 및 24개월령 cDNA probe에 대하여 특이적인 signal을 나타내었는데, 12개월령 cDNA probe에 대해서만 signal을 나타낸 clone은 ferrochelatase 유전자와 유사하였으며, 24개월령 probe에 대해서만 signal을 나타낸 clone은 ADRP 유전자와 유사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연구에서 제작한 성장단계 특이적인 subtractive cDNA library를 분석하여 14종의 유전자를 한우 성장단계 특이 발현 후보 유전자로 선정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으며, 이외에도 성장단계에 있어 특이적으로 발현될 것으로 추정되는 cDNA 클론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