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tyrate/acetate (B/A) ratio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18초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Hainanmycin on Protein Degradation and Populations of Ammonia-producing Bacteria In vitro

  • Wang, Z.B.;Xin, H.S.;Wang, M.J.;Li, Z.Y.;Qu, Y.L.;Miao, S.J.;Zhang, Y.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5호
    • /
    • pp.668-674
    • /
    • 2013
  • An in vitro fermentation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hainanmycin on protein degradation and populations of ammonia-producing bacteria. The substrates (DM basis) for in vitro fermentation consisted of alfalfa hay (31.7%), Chinese wild rye grass hay (28.3%), ground corn grain (24.5%), soybean meal (15.5%) with a forage: concentrate of 60:40. Treatments were the control (no additive) and hainanmycin supplemented at 0.1 (H0.1), 1 (H1), 10 (H10), and 100 mg/kg (H100) of the substrates. After 24 h of fermentation, the highest addition level of hainanmycin decreased total VFA concentration and increased the final pH. The high addition level of hainanmycin (H1, H10, and H100) reduced (p<0.05) branched-chain VFA concentration, the molar proportion of acetate and butyrate, and ratio of acetate to propionate; and increased the molar proportion of propionate, except that for H1 the in molar proportion of acetate and isobutyrate was not changed (p>0.05). After 24 h of fermentation, H10 and H100 increased (p<0.05) concentrations of peptide nitrogen and AA nitrogen and proteinase activity, and decreased (p<0.05) $NH_3$-N concentration and deaminase activity compared with control. Peptidase activitives were not affected by hainanmycin. Hainanmycin supplementation only inhibited the growth of Butyrivibrio fibrisolvens, which is one of the species of low deaminative activity. Hainanmycin supplementation also decreased (p<0.05) relative population sizes of hyper-ammonia-producing species, except for H0.1 on Clostridium aminophilum. It was concluded that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hainanmycin could improve ruminal fermentation and modify protein degradation by changing population size of ammonia-producing bacteria in vitro; and the addition level of 10 mg/kg appeared to achieve the best results.

Effect of Lipid Sources with Different Fatty Acid Profiles on Intake, Nutrient Digestion and Ruminal Fermentation of Feedlot Nellore Steers

  • Fiorentini, Giovani;Carvalho, Isabela P.C.;Messana, Juliana D.;Canesin, Roberta C.;Castagnino, Pablo S.;Lage, Josiane F.;Arcuri, Pedro B.;Berchielli, Telma T.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11호
    • /
    • pp.1583-1591
    • /
    • 2015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lipid sources with different fatty acid profiles on nutrient digestion and ruminal fermentation. Ten rumen and duodenal fistulated Nellore steers (268 body weight${\pm}27kg$) were distributed in a duplicated $5{\times}5$ Latin square. Dietary treatments were as follows: without fat (WF), palm oil (PO), linseed oil (LO), protected fat (PF; Lactoplus), and whole soybeans (WS). The roughage feed was corn silage (600 g/kg on a dry matter [DM] basis) plus concentrate (400 g/kg on a DM basis). The higher intake of DM and organic matter (OM) (p<0.001) was found in animals on the diet with PF and WF (around 4.38 and 4.20 kg/d, respectively). Treatments with PO and LO decreased by around 10% the total digestibility of DM and OM (p<0.05). The addition of LO decreased by around 22.3% the neutral detergent fiber digestibility (p = 0.047) compared with other diets. The higher microbial protein synthesis was found in animals on the diet with LO and WS (33 g N/kg OM apparently digested in the rumen; p = 0.040). The highest C18:0 and linolenic acid intakes occurred in animals fed LO (p<0.001), and the highest intake of oleic (p = 0.002) and C16 acids (p = 0.022) occurred with the diets with LO and PF. Diet with PF decreased biohydrogenation extent (p = 0.05) of C18:1 n9,c, C18:2 n6,c, and total unsaturated fatty acids (UFA; around 20%, 7%, and 13%, respectively). The diet with PF and WF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NH_3-N$ (p<0.001); however, the diet did not change volatile fatty acids (p>0.05), such as the molar percentage of acetate, propionate, butyrate and the acetate:propionate ratio. Treatments PO, LO and with WS decreased by around 50% the concentration of protozoa (p<0.001). Diets with some type of protection (PF and WS) decreased the effects of lipid on ruminal fermentation and presented similar outflow of benefit UFA as LO.

산삼배양액 이용에 관한 반추위 미생물 대사 연구 (Effects of the Artificial Culture Medium of Wild Ginsengs on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In Vitro)

  • 배귀석;남경표;김혜숙;이상구;최행석;민우기;주종원;맹원재;장문백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6호
    • /
    • pp.987-996
    • /
    • 2003
  • 본 실험은 수준별 산삼 배양액에 의한 반추위 내 미생물 발효성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산삼 배양액의 수준에 따른 반추위 내 발효성상에 미치는 영향은 WGM을 3% 첨가한 처리구가 대조구 및 다른 WGM 수준 첨가 처리구에 비하여 미생물 단백질 합성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산삼 배양액 내에 존재하는 saponin의 영향으로 배양 초기 NH3-N 농도의 수준이 WGM를 첨가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낮은 경향(P〈0.05)을 보였으나, 미생물단백질 합성량은 WGM 처리구에서 6시간 이후 급격히 증가(P〈0.05)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용해도가 높거나 급여 초기 사료의 이용율이 저하되는 급여 체계에서 산삼 배양액을 첨가는 초기 반추위 미생물의 이용율을 조절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반추위 내 프로토조아의 수는 WGM 처리구에서 전반적으로 배양 9시간까지 낮아졌고, 3%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는데(P〈0.05), 프로토조아 제거효과에 의해 반추위 미생물합성량 증진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NDF와 ADF 소화율은 대조구와 모든 처리구에서 배양시간 경과에 따라 높아졌고, NDF 소화율은 대조구와 WGM 3% 처리구에서 그리고 ADF 소화율은 처리구별 차이가 없었다. Total VFA 생성량은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낮았고, 배양 12시간부터는 5% 처리구에서 차이가 없게 나타났다. 따라서 용해도가 높거나 급여 초기 사료의 이용률이 저하되는 급여 체계에서 산삼 배양액을 첨가는 초기 반추위 미생물의 사료 이용률 증진과 프로토조아 제거효과에 의해 반추위 미생물합성량 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열처리 단백질-광물질 복합제제 첨가가 In Vitro 발효성상과 착유우의 유량 및 유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Heat Treated Protein and Mineral Complex on In Vitro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Milk Production and Composition of Holstein Dairy Cows)

  • 최낙진;배귀석;남경표;장문백;엄재상;고종렬;하종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5호
    • /
    • pp.541-548
    • /
    • 2002
  • 본 연구의 in vitro 실험결과를 살펴보면, 배양액의 pH와 암모니아 생성량은 전 배양 시간동안 처리구간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다. Total VFA, acetate, propionate, butyrate 생성량은 12 h에서 HPM을 0.2%, 1% 첨가한 시험구에서 대조구와 비교하여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2% 첨가구에서는 오히려 감소되었고, 48 h에서는 HPM 첨가한 세 처리구에서 대조구와 비교하여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에, 다른 배양시간대에서는 처리구간 통계적 유의차는 발견되지 않았다. A/P ratio 경우에도 처리구간 유의차가 없었다. 총 gas 생성량은 배양시간 24 h과 48 h에 HPM 처리구에서 대조구와 비교하여 증가하였다 (P<0.05). 한편 사양실험은 열처리된 단백질 (대두박)과 광물질의 복합 제제 (HPM)가 젖소의 유생산량과 유성분에 끼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유생산량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HPM 시험구에서 하루에 약 1kg 정도 더 높았고 (27. 7 vs 28.8 kg/d, P<0.001), 4% FCM 생성량 또한 대조구와 비교하여 볼 때 HPM 시험구에서 1.3 kg/d 이 더 높았다 (P<0.001). 유단백 (P<0.05)과 SNF (P<0.05)도 대조구와 비교하여 HPM 시험구에서 그 생산량이 증가되었다. 반면에, 유지방, MUN과 체세포수는 처리구간 통계적 유의차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HPM 첨가에 의한 반추위 발효 저해현상은 없었으며, HPM 내 함유되어 있는 열처리된 단백질과 광물질의 결합체와 잔여 광물질이 반추위 내 단백질과 결합하여 단백질 분해 속도를 지연시킴으로써, 단백질의 by-pass율을 증가시켜, 유생산량 증가와 유질을 개선 (유단백질, SNF 함량 증가 등) 하는 등 젖소의 생산성을 향상시킨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