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ndle discount type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1초

가격민감도와 번들할인 유형, 남성화장품의 가격수준이 품질지각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rice Sensitivity, Bundle Discount Type and Price Level of Male Cosmetics on Quality Perception)

  • 김근정;황선진
    • 복식
    • /
    • 제66권2호
    • /
    • pp.1-14
    • /
    • 2016
  •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that consumer's price sensitivity, bundle discount type, and price level of the male cosmetics have on consumer attitude. The design of this research was comprised of $2{\times}2{\times}2$ mixed design studies. The first element was high price sensitivity vs. low sensitivity, the second element was the bundle discount type (mixed leader vs. mixed-joint), and the third element was the price level of male cosmetics (high-price brand vs. low-price br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price sensitivity, bundle discount type and price level of male cosmetic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n the consumer's quality perception. The quality perception of low-cost brands for high price sensitivity/mixed-joint bundle group was low. The quality perception of low-cost brands for mixed-leader bundled groups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even when the price sensitivity became higher. However, it can be seen as the same result that the overall value is higher when suggested the price information in Mixed-leader bundle than Mixed-joint bundle. In particular, this study suggests that price information should be presented in mixed-leader bundles for high price sensitivity and low cast brands.

번들가격할인 프레이밍과 메시지 프레이밍이 소비자의 번들구성제품에 대한 평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Bundle Price Discount Framing and Message Framing on Consumers' Evaluation of Bundle Component)

  • 박소진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3권3호
    • /
    • pp.55-77
    • /
    • 2011
  • 가격번들링(price bundling)의 형태에는 '믹스드리더번들(mixed-leader bundle)'과 '믹스드조인트번들(mixed-joint bundle)'이 있는데 전자는 패키지 구성요소 중 하나는 정상가에 판매하고 다른 하나는 할인된 가격에 판매하는 것(예를 들면, 치아미백제를 구매하면 치약 할인)이고, 후자는 패키지의 가격을 통합하여 하나의 할인된 가격(예를 들면, 치아미백제와 치약을 함께 구매하면 총금액 할인)으로 제시하는 것이다. 메시지 프레이밍이란 동일한 광고 메시지를 어떻게 표현하느냐 하는 것인데, 제품을 사용할 경우 얻게 될 혜택 또는 긍정적인 제품 속성을 강조하는 긍정적 프레이밍과 대안을 채택하지 않을 경우 입게 되는 손실 또는 부정적인 제품속성을 강조하는 부정적 프레이밍이 있다. 본 연구는 치아미백제의 메시지 프레이밍을 '95%가 미백효과를 보았다(긍정적 프레이밍)'와 '5% 미만이 미백효과를 보지 못했다(부정적 프레이밍)'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개별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된 품질수준과 태도에 대한 번들가격할인 프레이밍과 메시지 프레이밍의 상호작용효과를 탐구하였다. 연구결과 메시지 프레이밍의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긍정적 메시지프레이밍 조건에서는 믹스드조인트번들보다 믹스드리더번들에서 치아미백제에 대한 지각된 품질 및 태도가 높았으나, 부정적 메시지 프레이밍 조건에서는 믹스드리더번들보다 믹스드조인트번들에서 더 높았다. 본 연구는 번들 내 개별제품에 대한 번들가격할인 프레이밍과 메시지 프레이밍의 상호작용효과를 발견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으며, 메시지 프레이밍의 형태에 따라 번들가격 제시방법을 달리해야함을 제안하고 있다.

  • PDF

Differences in Perceived Financial Risk according to Price Discounts and Product Types of Consumers in Korea and Thailand

  • Kim, Eun-Hee
    • 산경연구논집
    • /
    • 제7권2호
    • /
    • pp.25-32
    • /
    • 2016
  • Purpos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and interaction effects on the perceived financial risk between Korean and Thai consumers according to the types of product(utilitarian and hedonic) and price discount (bundle and 50%off).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paper sets up 6 research subjects.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in Korea and Thailand. Data was made of 154 Korean and 147 Thai consumers. As for the independent variables for this study, consumer types are composed of Korean and Thai consumers, price discount types were bundle(1+1) and 50% off price, and product types consist of utilitarian and hedonic product. The dependent variable is perceived as a financial risk. Each question is measured as a Likert-type five-point scale. Results - According to the price discount and product type, perceived financial risk of Thai consumers is confirmed to be a larger one than that of Korean consumers. Also, there are interaction effects in the perceived financial risk. Conclusion - Our findings can be used as useful information for global retail markets as marketing strategies in future Korean enterprise through a comparative study on Korean and Thai consumers.

제품구매주기와 번들유형이 프로모션 효과에 미치는 영향 (Interaction Effects of Purchase Cycle and Bundle Type on Promotion Effectiveness)

  • 이성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2호
    • /
    • pp.181-185
    • /
    • 2024
  • 번들(Bundle)을 활용한 프로모션은 소비자들에게 금전적 가치를 제공함으로써 제품의 매출을 증대시키는 효과적인 프로모션 방법으로 활용되어왔다. 번들 판매방식은 전통적으로 오프라인 점포 내 판매촉진 전략으로 빈번하게 활용되어 왔으며 최근 온라인 쇼핑몰에서도 판매자들이 구매를 유도하기 위한 프로모션 전략으로 활용되고 있는데 번들 판매방식은 소비자로 하여금 제품의 할인율을 지각하게 하여 제품을 제공하는 브랜드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는 제품구매주기에 따른 번들 프로모션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 보다 세부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번들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잠재적 요인들을 검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번들을 활용한 프로모션 전략 수립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제품구매주기와 번들유형 (1+1 vs. 2개 구매 시 50% 할인)이 할인매력도와 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제품구매 주기와 번들유형은 할인매력도와 제품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가 시사하는 실무적 시사점과 학문적 시사점을 함께 제공하였다.

소비자들의 구매행위 가치관 유형과 제품의 가격할인 유형이 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 of Consumers' Types of Buying Behavior Values and Types of Price Discount on Product Attitude)

  • 김은희;김화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0호
    • /
    • pp.135-144
    • /
    • 2014
  •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 중 구매행위의 가치관 유형과 제품의 가격할인 유형에 따라 제품태도에는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먼저, 소비자들의 구매행위를 구성하고 있는 가치관 요인은 알뜰구매, 충동구매, 품질구매, 원리원칙구매로 도출되었다. 구매행위의 가치관 유형을 확인하기 위하여 군집분석 결과 고품질 충동구매, 합리적 구매, 실용적 구매로 분류되었다. 둘째, 소비자들의 구매행위 가치관 유형은 제품태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제품의 가격할인 유형과 소비자들의 구매행위 가치관 유형에 따른 제품태도에는 상호작용효과가 확인되었다. 넷째, 소비자들의 구매행위를 구성하고 있는 가치관 요인 중 알뜰구매 요인은 50% 가격할인 제품태도에 품질구매 요인과 충동구매 요인은 번들링 가격할인(1+1) 제품태도에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기업의 가격할인 전략수립 시 소비자들의 구매행위의 가치관과 제품의 가격할인 유형을 고려한 판매촉진 전략이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