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lk modulus

검색결과 204건 처리시간 0.022초

P-V 곡선법에 의한 참취와 수리취의 수분포텐셜 비교 (Comparison of Water Potential Parameters in Aster scaber and Synurus deltoides Leaves Obtained from P-V Curves)

  • 이경철;전성렬;한상섭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13-418
    • /
    • 2011
  • P-V 곡선을 적용하여 참취와 수리취의 수분특성인자를 측정한 결과 최대포수시의 삼투포텐셜 ${\Psi}^{sat}_o$과 초기원형질 분리점의 삼투포텐셜 ${\Psi}^{tlp}_o$은 참취가 수리취보다 낮은 값을 나타냈으나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최대팽압 ${\Psi}_{P,max}$는 참취가 수리취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최대탄성계수 $E_{max}$는 참취가 수리취에 비해 약 2.4배 정도 높은 값을 나타냈다. 초기원형질분리점에서의 상대함수율 $RWC^{tlp}$은 참취와 수리취 모두 90% 이상의 함수율을 보여 비교적 삼투 조절기능이 좋은 것을 알 수 있었고, apoplastic water의 비율은 참취가 더 크며, Vo/DW, Vt/DW, Ns/DW은 수리취가 참취에 비해 약 1.5~2.0배 정도 큰 경향을 보였다. 위 결과를 통해 참취와 수리취 모두 초기원형질분리점과 최대포수시의 삼투포텐셜이 높은 편으로 내건성은 비교적 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습윤한 지역이 생육에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참취와 수리취를 비교할 때 참취가 수리취에 비해 건성잎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최대탄성계수와 삼투포텐셜이 높아 내건성이 약간 더 강한 것을 알 수 있었다.

$CO_2$로 포화된 사암의 속도-유효응력 반응 (Velocity-effective stress response of $CO_2$-saturated sandstones)

  • Siggins, Anthony F.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9권1호
    • /
    • pp.60-66
    • /
    • 2006
  • 세 개의 서로 다른 사암 샘플들 -두 개의 합성 샘플과 한 개의 현장 샘플- 에 대해 현장 저류층의 대표적인 구속압력과 공극압력하에서 초음파 시험이 수행되었다. 세가지 사암 샘플들은 (a) 캘사이트 시멘트(calcite intergranula. cement (CIPS))로 만든 합성사암, (b) 실리카 시멘트(silica intergranular cement)로 만든 합성 사암 (c) Otway Basin 의 Boggy Creek 1 시추공에서 시도되는 $CO_2$ 파일럿 프로젝트의 대상 암석층 중 Waarre 층으로부터 추출한 코아 샘플로 구성되어 있다. 공극률은 각각 32%, 33%, 26%이다. 초기시험은 실내건조(room-dried) 상태에 있는 코아들에 대해 구속응력을 5 MPa 씩 단계별로 65 MPa 까지 증가시키며 이루어졌다. 그리고 나서 모든 코아들에 처음에는 온도 $22^{\circ}C$에서 6 MPa 공극압력으로 기체상의 $CO_2$를, 그 다음에는 온도 $22^{\circ}C$ 에서 7 MPa 부터 17 MPa 까지 5 MPa 씩 증가시키면서 액체상의 $CO_2$를 주입하였다. 구속응력은 10MPa부터 65 MPa까지 달리 하였다. P와 S 초음파 파형들이 유효응력이 증가할 때마다 기록되었다. 속도-유효응력 반응들이 P 파와 S 파에 대해 실험 자료들로부터 계산되었으며, 감쇠(1/Qp)들은 스펙트럼 비 방법을 이용하여 파형들로부터 계산되었다. 각각의 사암들에 대한 이론적인 속도-유효응력 계산은 $CO_2$ 압력-밀도 와 $CO_2$ 체적계수-압력 상 다이어그램(phasediagram), Gassmann 유효 매질 이론(effective medium theory)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기체상의 $CO_2$ 주입은 속도-유효응력에서 건조상태(공기로 포화된 상태)에 비해 거의 무시할만한 변화를 가져왔다. 다양한 공극압력에서 액체상의 $CO_2$ 주입은 공기로 포화된 상태에 비해 속도-유효응력 반응을 평균 약 8% 정도 낮게 한다. 실험자료들은 높은 유효응력에서 Gassmann 계산들과 일치한다. 이러한 이론과 일치하는 "임계" 유효응력은 사암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이 차이는 각각의 사암 종류의 미세구조에서 미세 균열 수의 차이에 기인한 것이라 생각된다. 높은 유효응력에서의 이론과 의미있게 일치하였으며, $CO_2$ 주입 시 현장에서의 탄성파 거동을 예상하는데 있어서 어느 정도 확신을 준다.

수목(樹木)의 수분특성(水分特性)에 관한 생리(生理)·생태학적(生態學的) 해석(解析)(II) - P-V 곡선(曲線)에 의한 잣나무와 젓나무 지엽(枝葉)의 수분특성(水分特性) 인자(因子)의 계절변화(季節变化) - (Ecophysiological Interpretations on the Water Relations Parameters of Trees(II) - Seasonal Changes in Tissue-Water Relations Parameters Obtained from P-V Curves on the Pinus koraiensis and Abies holophylla Shoots -)

  • 한상섭;최흥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8-14
    • /
    • 1983
  • 수목(樹木)에 있어서 내건성(耐乾性)의 크기를 진단(診斷)하기 위하여 P-V 곡선법(曲線法)에 의해 얻은 잣나무와 젓나무지엽(枝葉)(shoot)의 내적(內的) 수분특성인자(水分特性因子) ${\pi}_o$, ${\pi}_p$, $E_{max}$, $N_s/DW$, $V_o/W_s$, $RWC_{(tlp)}$ 등의 계절변화(季節變化)를 측정고찰(測定考察)하였다.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잣나무지엽(枝葉)의 최대포수시(最大飽水時)의 침투압(浸透壓) ${\pi}_o$는 -1.2~-1.6 MPa, 젓나무지엽(枝葉)의 ${\pi}_p$는 -1.4~-1.7 MPa의 계절변화(季節變化)를 나타냈다. 2) 초기원형질분리점(初期原形質分離點)에 있어서 잣나무지엽(枝葉)의 침투압(浸透壓) ${\pi}_p$는 -1.8~-2.1MPa, 젓나무지엽(枝葉)의 ${\pi}_p$는 -1.6~-2.1MPa의 계절변화(季節變化)를 나타냈다. 3) 초기원형질분리점(初期原形質分離點)에 있어서 잣나무지엽(枝葉)의 상대함수율(相對含水率) $RWC_{(tlp)}$는 70~77%, 젓나무지엽(枝葉)의 $RWC_{(tlp)}$는 69~85%의 계절변화(季節變化)를 나타냈다. 4) 최대팽창시(最大膨壓時)의 잣나무지엽세포군(枝葉細胞群)의 탄성계수(彈性係數) $E_{max}$는 2.2~6.3 MPa, 젓나무의 $E_{max}$는 3.1~7.9 MPa의 계절변화(季節變化)를 나타냈다. 5) 잣나무지엽(枝葉)의 건물중(乾物重)에 대한 osmol 수(數) $N_5/DW$는 0.5~1.3, 젓나무지엽(枝葉)의 경우는 0.3~1.0의 계절변화(季節變化)를 나타냈다. 6) 잣나무지엽(枝葉)의 총함수량(總含水量)(symplasmic과 apoplastic water의 합계(合計))에 대한 총침투수량(總浸透水量) $V_o/W_s$는 55~65%, 젓나무지엽(枝葉)의 $V_o/W_s$는 40~65%의 계절변화(季節變化)를 나타냈다. 이상(以上)의 ${\pi}_o$, ${\pi}_p$, $E_{max}$, $N_s/DW$, $V_o/W_s$, $RWC_{(tlp)}$값의 특성(特性)을 고찰(考察)할 때 젓나무지엽(枝葉)이 잣나무지엽(枝葉)보다 내건성(耐乾性)이 약간 강한 수종(樹種)임을 알았다.

  • PDF

설악산(雪嶽山)에 분포(分布)하는 마가목 천연림(天然林)의 생태환경(生態環境)과 보호(保護)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ecological habitat and protection of natural Sorbus commixta forest at Mt. Seorak)

  • 신재만;김동수;한상섭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권1호
    • /
    • pp.1-9
    • /
    • 1983
  • 본(本) 연구(硏究)는 설악산(雪嶽山)에 분포(分布)하는 마가목 천연림(天然林)의 생태환경(生態環境)과 생리기능(生理機能)을 측정분석(測定分析)한 것으로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마가목의 주분포지(主分布地)는 900m~1,00m로 온난지수(溫暖指數) WI는 42$3.2{\times}10^3{\sim}9.2{\times}10^3$, CEC는 13.7~19.5mg/100g, N은 0.21~0.39%, $P_2O_5$는 22.6~38.7ppm, pH는 5.6~5.8로 배수양호(排水良好)하고 양분(養分)이 풍부한 토양(土壤)이다. 4. 마가목 군락지(群落地)의 상층목(上層木)으로는 분비나무, 주목나무, 자작나무, 물참나무, 고로쇠단풍, 까치박달, 달피나무 등이며 하층목(下層木)으로는 만병초, 참단풍, 측백, 개암, 철쭉, 진달래, 함박꽃 등이 혼생(混生)하고 있다. 5. 임분밀도(林分密度)는 1,160m가 1,556본/ha, 1,300m가 3,600본/ha이며 DBH를 단면적(斷面積)으로 한 피도(被度)(C)는 1,600m가 0.37, 1,300m가 0.31이며 수관투영면적(樹冠投影面積)에 대한 식피도(植被度)는 1,600m가 2.04, 1,300m가 1.61이였다. 6. 마가목 군락지(群落地)의 엽층(葉層)의 광분포(光分布)는 Beer-Lambert 법칙(法則)에 따라 감소(減少)하며 F(Z)를 엽면적지수(葉面積指數)(LAI) 대신 관수층(冠樹層)의 선단(先端)으로부터의 거리로 나타냈을 때 흡광계수(吸光係數) k는 0.17이었다. 7. 마가목 지엽(枝葉)(shoot)의 수분특성(水分特性)은 최대포수시(最大飽水時)의 침투압(浸透壓)이 -16.2bar, 팽압(膨壓)이 14.5bar, 초기원형질분리점(初期原形質分離點)의 삼투압(渗透壓)이 -19.4bar, 이때의 상대함수율(相對含水率) $v_p/v_o$$v_p/w_s$가 각각 83.1%와 87.1%였다. 8. 지엽(枝葉)의 생세포군(生細胞群)의 탄성계수(彈性係數) E는 69.6이며 총수분함량(總水分含量)에 대한 총(總) Symplasmic water 는 67.7%이며 Apoplastic water 는 32.3%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