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lk density

검색결과 1,382건 처리시간 0.023초

Effect of Dry Granulation Process on Flowability of Erdosteine

  • Wang, Hun-Sik;Kwon, Min-Chang;Shim, Ji-Yeon;Park, Jun-Sang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2
    • /
    • pp.230.2-230.2
    • /
    • 2003
  • Erdosteine, an expectorant, has been known to show a very poor flowability. Furthermore, high dosing amount (300mg/cap) and bulk density make it more difficult to fill in a capsule less than No. 0 size as bulk state. We have studied the possibility of dry granulation process in purpose of getting a better flowability and manufacturing efficiency. A roller compactor was introduced for this purpose and the applicability of laboratory result into commercial scale instrument was also experimented.Roller compacting process was very favorable to obtain the granules with good flowability and improved density profiles. (omitted)

  • PDF

해조가공품의 Dietary Fiber 함량과 물리적 특성 (Determina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Dietary Fiber in Seaweed Products)

  • 김선희;박희연;박원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20-325
    • /
    • 1988
  • 전남 서남해안에서 생산되는 수출용 해조가공품인 마른미역, 마른다시마, 찐톳, 마른김, 마른파래, 한천을 시료로 하여 Dietary Fiber의 함량, 보수성 및 밀도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Dietary Fiber 중 Neutral Detergent Fiber는 찐톳이 41.52%로 가장 많고, 한천이 0.05%로 가장 적었으며, Acid Detergent Fiber도 찐톳이 26.20%로 가장 많고, 한천이 0.01%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Lignin은 찐톳이 6.94%로 가장 많고, 마른김과 한천은 거의 존재하지 않았으며, Hemicellulose는 마른김이 25.79%로 가장 많고, 한천이 0.04%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또한 Cellulose는 찐톳이 19.26%로 가장 많고 한천이 0.01%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보수성은 마른미역이 $16.6g{\cdot}waer\;/\;g{\cdot}A.D.P$로 가장 큰 값을 보였고, 기타 시료는 $6.1{\sim}8.5g{\cdot}water\;/\;g{\cdot}A.D.P)$로 비슷하였으며, 침지시간 및 입자크기별 보수성의 변화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밀도는 Direct density가 $500{\sim}806mg/ml$Bulk density가 $0.562{\sim}0.833g\;/\;cc$Hydrated density가${1.4{\sim}2.01g\;/\;ml$Hydrated volume expansion이$102{\sim}160%$였으며, Direct density와 Bulk density의 값은 대체로 상응하였다.

  • PDF

개방셀 세라믹스의 압축강도에 대한 제조공정변수 및 미세구조의 영향 (Effects of Fabrication Variables and Microstructures o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Open Cell Ceramics)

  • 정한남;현상훈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6권9호
    • /
    • pp.954-964
    • /
    • 1999
  • The effect of fabrication variables and microstructures o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open cell alumina zirconia and silicon nitride ceramics fabricated by polymeric sponge method was investigated. Bulk density and compressive strength of open cell ceramics were mainly affected by coating characteristics of ceramic slurry on polymeric sponge that controlled a shape thickness and defect of the struts. Sintering temperature was optimized for enhancement of strut strength and compressive strength of open cell ceramics. Relative density and compressive strength behaviors were relatively well matched with the predicted values. Open cell ceramics of lower relative density below 0.1 prepared by first relatively well matched with the predicted values. Open cell ceramics of lower relative density below 0.1 prepared by first coating of ceramic slurry had thin triangular prismatic struts that were often broken or longitudinally cracked. With an application of second coating of slurry shape of struts was transformed into thickner cylindrical one and defects in struts were healed but the relative density increased over 0.2 Open cell zirconia had both the highest bulk density and compressive strength and alumina had the lowest compressive strength while silicon nitrides showed relatively high compressive strength and the lowest density. Based upon the analysis open cell silicon nitride was expected to be one of potential structural ceramics with light weight.

  • PDF

깊이별 용적밀도가 다른 시설재배지 토양의 염류분포 (Vertical Distribution of Bulk Density and Salts in a Plastic Film House Soil)

  • 김필주;이도경;정덕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26-233
    • /
    • 1997
  • 시설재배지내 염류집적의 원인중 토양의 물리적 구조변화가 염류집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10년이상 비닐하우스 농사를 실시해온 충남 예산군 오가면의 시설재배지 토양의 깊이 변화(0~60cm)에 따른 토양 용적밀도 변화와 염류집적 분포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시설재배지 토양의 용적밀도 분포특성은 경운층 이상에서는 용적밀도 약 $1.2Mg/m^3$, 경운층 이하(20cm)에서는 농기계의 반복사용에 의한 다져짐(Compaction) 발생으로 높은 용적밀도(약 $1.5Mg/m^3$)의 경반층(硬盤層)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로 인한 토양수의 수직이동의 지연과 표층토내 염류집적이 가속화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층토 10cm 이내의 전기전도도(EC)는 5.08 dS/m, pH 6.7, ESP 6.4로 US Salinity laboratory 분류에 의해 염류 집적지(Saline soil)로 분류되었다. 경반층(硬盤層)의 영향에 의해 EC값은 20cm 이후부터 크게 감소하여, 30cm 이후에서는 약 0.7 dS/m의 낮은 EC값을 보였다. 치환성 양이온과 수용성 음이온의 대부분은 표층토 20cm이내에 집적되었으며, 경반층(硬盤層) 층 이하에서는 미미한 농도의 이온만이 검출되었다. 시설재배지 토양내 EC 및 이온분포가 경운층 전후 사이에 큰차이를 보이게 하는 여러 요인들중 경반층(硬盤層) 형성에 의해 부분적으로 관여한 것으로 조사 되었다.

  • PDF

대구 팔공산 지역의 소나무 수관층 연료 특성 (Crown Fuel Characteristics of Japanese Red Pine (Pinus densiflora) in Mt. Palgong, Daegu)

  • 구교상;이병두;원명수;이명보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1호
    • /
    • pp.52-5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수관화에 취약하다고 밝혀진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수관층의 연료특성을 잎과 가지 굵기 별로 구분하여 수분함량, 연료밀도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 팔공산에서 소나무 10그루를 벌채하여 각 부위별로 건중량을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수관층 살아 있는 부위의 평균 수분함량은 53%, 죽은 부위는 15.3%였으며, 생엽의 수분함수율은 평균 56%이었다. 수관화 확산시 실제적으로 연소되는 잎과 직경 1 cm 이하의 가지를 합한 연료량은 전체 바이오매스에서는 16.2%, 수관층 바이오매스에서는 55%를 차지하였다. 수관 연료밀도는 평균 0.24 kg/$m^3$이었으며, 잎과 1 cm 굵기 이하의 가지를 합한 유효 수관연료밀도는 0.1325 kg/$m^3$이었다.

Wheel형 분무건조기에 반응표면법에 의한 치즈 분말의 특성 해석 (Analysis of Powder Characteristics of Cheese by Using RSM in Spray Dryer with Rotating Wheel Atomizer)

  • 강안수;여경목;김용렬;김복남;안형환;이한섭
    • 공업화학
    • /
    • 제7권6호
    • /
    • pp.1147-1155
    • /
    • 1996
  • Wheel형 분무건조기에서 식품첨가제로 사용되는 치즈분말의 건조공정을 반응표면법에 의하여 원료의 고형분함량, wheel 회전속도 및 출구온도를 독립변수로 하고 분말제품의 수분함량, 겉보기밀도, 분말 입자크기 및 현탁액의 점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중심합성계획법에 따라 분산분석한 후 유의성과 상관관계를 검증하였다. 독립변수와 종속변수들의 상관관계를 검증한 결과 입자크기와 수분함량은 wheel의 회전속도가 커질수록 감소하였고, 겉보기밀도는 출구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였다. 현탁액의 점도는 wheel의 회전속도와 고형분함량이 커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분말제품의 종속변수들의 상관관계에서 수분함량과 겉보기밀도는 비례 관계, 입자크기는 수분함량과 겉보기밀도와 반비례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 PDF

Soil Physical and Hydraulic Properties over Terrace Adjacent Four Major Rivers

  • Lee, Kyo Suk;Lee, Jae Bong;Lee, Myoung Yun;Joo, Ri Na;Lee, Dong Sung;Chung, Doug Young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35-241
    • /
    • 2016
  • The soil does not only serve as a medium for plant growth but also for engineering construction purposes. It is very weak in tension, very strong in compression and fails only by shearing. The behaviour of the soil under any form of loading and the interactions of the earth materials during and after any engineering construction work has a major influence on the success, economy and the safety of the work. Soils and their management have therefore become a broad social concern. A limitless variety of soil materials are encountered in both agronomy and engineering problems, varying from hard, dense, large pieces of rock through gravel, sand, silt and clay to organic deposits of soft compressible peat. All these materials may occur over a range of physical properties, such as water contents, texture, bulk density and strength of soils. Therefore, to deal properly with soils and soil materials in any case requires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these physical properties. The desired value of bulk density varies with the degree of stability required in construction. Bulk density is also used as an indicator of problems of root penetration,soil aeration and also water infiltration. This property is also used in foundation engineering problems. While not conforming to standard test procedures, this work attempts to add to the basic information on such important soil parameters as water content, bulk density.

경량형 옥상녹화 식재기반의 물리성과 레플렉숨 생육특성 (Growth Performance of Sedum reflexum and Physical Properties of Extensive Green Roof Growing Media)

  • 이홍;강태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50-59
    • /
    • 2014
  • 이 연구는 식생모듈박스에 적용한 레플렉숨을 중심으로 식물 생육특성 간의 관계 및 식물의 생육특성과 토양 물리적 특성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이 실험에서 토양 물리적 특성과 식물 생육특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의 분석은 SPSS Ver 19.0 for Window용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토양 물리적 특성과 생육특성의 다중회귀 분석 결과, 레플렉숨에 대한 회귀식은 초장=$3.993-14.070^*$(용적밀도)+$.233^*$(고상)+$.038^*$(액상)+$.068^*$(침투율)로 나타났으며, 이 중 용적밀도와 고상이 유의성 있게 나타났다. 레플렉숨에 대한 회귀식은 초폭=$2.931-33.925^*$(용적밀도)+$.566^*$(고상)+$.206^*$(액상)+$.027^*$(침투율)이며, 이 중 용적밀도와 고상이 유의성 있게 나타났다. 즉, 초장 및초폭과 토양의 물리적 특성은 일정한 회귀식으로 작성할 수 있다. 상하부 생체량과 건중량은 토양의 물리적 특성과 직접적인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벌크 FinFET의 기술 동향 및 이슈 (Trend and issues of the bulk FinFET)

  • 이종호;최규봉
    • 진공이야기
    • /
    • 제3권1호
    • /
    • pp.16-21
    • /
    • 2016
  • FinFETs are able to be scaled down to 22 nm and beyond while suppressing effectively short channel effect, and have superior performance compared to 2-dimensional (2-D) MOSFETs. Bulk FinFETs are built on bulk Si wafers which have less defect density and lower cost than SOI(Silicon-On-Insulator) wafers. In contrast to SOI FinFETs, bulk FinFETs have no floating body effect and better heat transfer rate to the substrate while keeping nearly the same scalability. The bulk FinFET has been developed at 14 nm technology node, and applied in mass production of AP and CPU since 2015. In the development of the bulk FinFETs at 10 nm and beyond, self-heating effects (SHE) is becoming important. Accurate control of device geometry and threshold voltage between devices is also important. The random telegraph noise (RTN) would be problematic in scaled FinFET which has narrow fin width and small fin height.

BC-B Type150K DWT Class Bulk carrier 구조적 특성에 관한 고찰 (A study of Analysis for 150K DWT Class Bulk carrier(BC-B type))

  • 서향덕;김도군;안형준
    • 대한조선학회 특별논문집
    • /
    • 대한조선학회 2015년도 특별논문집
    • /
    • pp.79-84
    • /
    • 2015
  • A BC-B type bulk carrier is rarely built, s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is not reported and familiar so far.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BC-B and BC-A type vessel is applying alternate cargo loading, which density is over $1.0ton/m^3$. In this paper, 150K DWT class BC-B type bulk carrier is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BC-A type vessel, which has same condition such as main dimension and deadweight, about prescriptive rule and FEA based on CSR. And aspect ratio of target vessel is smaller than typical capsize bulk carrier, so 150K and 180K bulk carrier, which applied BC-A type, are also compared to find feature of wide beam vesse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