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ddhism

검색결과 674건 처리시간 0.027초

한국가사의 상징성에 대한연구 -가사에 나타난 문양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ymbolical Significance in Korean Kasa - Focusing on the embroideries -)

  • 이순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89-195
    • /
    • 1992
  • Buddhism as one of alien thoughts has been developed conflicting and fusing with Korean Cultural bases. From these fusion process Korean Kasa (i.e, sacerdotal robe for Buddhist monk) also came into possession of different features from original Kasa which Buddhist Command- ment regulates or Kasa of South Asia which is the birthplace of Buddhism. 1. Original kasa was Pamsukula (i.e., a shabby, abandoned, muddy cloth), which did not permit special ornament or luxurious materal. However, we can find splendid colors, letters and embroideries in Korean Kasa. 2. These phenomenon originated from Three Treasures Faith, that is to say, the faith for three treasures, such as Buddha, Buddhist Commandment and Buddhist monk, which was formed by the fusion of Buddhism and conventional Shamanism. 3. Such letters as 천(Heaven), 왕(God). 영(om) stand for what shaped Guardian Deities protecting buddhist Sanctum. 4. The rmbroideries of three-legged bird, such as rabbit and toad, which symbolyze 일(sun) and 월(moon) stand for what shaped conventional divinities. 5. After Kasa possessing originally practical significance, such as Kasa Charity, was penetrated into Korea, it became the object of faith, possessing symbolical significance in addition.

  • PDF

시계열 선형분석을 통한 유아들의 좌우뇌균형에 전전두엽 뉴로피드백 훈련이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prefrontal lobe neurofeedback training on the corelation of children by timeseries linear analysis)

  • 백기자;박병운;안상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1673-1679
    • /
    • 2009
  • 본 연구는 유아시기에 정서적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좌우뇌의 균형적 발달이 가능한가를 보기위하여 2008 3월부터 2008년 11월까지 Y 유치원 원아50명(실험군 25명, 대조군 25명)의 뇌파를 검사하여 뉴로피드백 훈련 전과 훈련 후의 좌우 뇌 균형 정도 차이를 보고자 하였다. 훈련 전과 후의 좌우뇌 정도는 시계열 선형 분석을 통하여 비교하였으며, 연구검증 결과 뉴로피드백 훈련을 적용한 원아들에서 좌우뇌 균형 지수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 결과는 전전두엽 뉴로피드백 훈련이 유아들의 좌우뇌 균형을 높여 주었으며 정서적 성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본다.

한국인의 점풍속(占風俗)과 『점찰경(占察經)』에 나타난 점(占)의 역할 (The Role of Fortunetelling in the Manners and Customs of Koreans and "Scripture of Fortunetelling(『占察經』)")

  • 이학주
    • 비교문화연구
    • /
    • 제25권
    • /
    • pp.159-183
    • /
    • 2011
  • This study is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fortunetelling and the "Scripture of Fortunetelling(占察經)"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nners and customs of Koreans and the Buddhist Scripture dealing with the fortunetelling. It is meaningful to understand how it is related with Buddhism. As a result, I perceived that Koreans have lived with fortunetelling and that the role of fortunetelling in from private person to the country. I saw there were four big roles; to clean the uncertainty of the future to fulfill the expectations, to confirm the justice of what he or she did, to cure, and to choice. Looking into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三國遺事)", I see that the Scripture of Fortunetelling and the ceremony of fortunetelling was popular and those great monks such as Wongwang, Wonhyo, Jinpyo and Jihye presided these ceremonies. The structure of the "Scripture of Fortunetelling(占察經)" has the hierarchy of Fortunetelling, Penance, Practice, Awakening, and Salvation of the world. So fortunetelling motivated every stage of practice. The role of fortunetelling in "Scripture of Fortunetelling(占察經)" is to intermediate. For this purpose it divided the attitude for the fortunetelling into two categories; for the urgent real life and just for enjoying. But they seriously dealt with both results. They used the fortunetelling in order to accomplish the ultimate purpose of Buddhism. So the fortunetelling is a mean of propagation of Buddhism and a intermediary of awakening and salvation.

丁愚潭先生四詩之儒賢意蘊 (Confucianism and Confucian Connotation in Ding Shihan's(丁時翰) Four Poetry)

  • 張京華
    • 한국철학논집
    • /
    • 제27호
    • /
    • pp.469-496
    • /
    • 2009
  • 愚潭先生于理学, 以≪四七辨证≫贡献最大, 由此知名。 其诗咏作品, 传世甚少。 学者迄今鲜有论述。 那么愚潭之于诗学, 其才情如何, 即成疑问。 自宋周濂溪至朱晦庵以来, 理学诸儒多能吟咏, 故有"濂洛风雅"一派。 愚潭之诗與其理学著作, 究竟具有何种关联, 亦成疑问。 愚潭终身不仕, 儒书之外, 又谙熟佛典與仙道, 又性好游观, 凡此种种, 就外表而言, 则似介于儒学與佛,道之间, 那么愚潭先生之立身, 究竟为儒家, 为佛道, 亦颇有探讨价值。 其一生学养所归, 是否醇儒, 仍须辨明。

유·불·도 철학의 관점에서 바라본 대순사상의 의의 (The Meaning of Daesoon Thoughts on the Basis of Asian Traditional Philosophy)

  • 황준연
    • 대순사상논총
    • /
    • 제20권
    • /
    • pp.67-94
    • /
    • 2009
  • Kang Jeung-san whose real name is Kang Il-soon was a Korean born thinker who thought himself as Shangti(上帝). It is told that he made a Great Tour(大巡) upon this world. His thought was affected by Asian traditional philosophy such as Confucianism, Buddhism and Daoism. He founded a religious body, called Jeung-san-Gyo which could be formed a syncretism of East Asian traditional thoughts. We have to survey Asian traditional thoughts in order to understand Kang Jeung-san's religious thinking. According to the Great Tour Scripture(大巡典經), he have read Confucian moral books, holy Sutra of Buddha and the books of Daoism. In the field of Confucianism, he stressed upon the Book of Changes (Zou-yi; 周易). And for Buddhism, he showed great concern on a monk, Jin-mook(震黙) who lived 15th century in Chosun Dynasty. Jeung-san Shangti followed Daoistic way when he performed religious ritual. In case of performance, he was compared as a great Shaman who wanted to save the world. And the most typical ritual was called public business of Heaven and Earth(天地公事). He showed a great scale while he was touring the world in space. The most important thing, however, is to overcome the localization which seems still prevailing doctrine of the Jeung-san thought. For this, the followers of Jeung-san-Gyo should study world philosophy and accept the modernity so as to broaden Jeung-san thought to the rest of the world.

  • PDF

Ferrying to the Other Shore: Silla Seafarers and Avalokiteśvara Faith in the East Asian Maritime World

  • Erika Erzsebet VOROS
    • Acta Via Serica
    • /
    • 제8권2호
    • /
    • pp.125-154
    • /
    • 2023
  • Historically, commerce was a significant factor in the proliferation and development of Buddhism, which is especially manifest in the cult of the bodhisattva Avalokiteśvara. Iconographic and textual evidence testifies that maritime trade on the Indian Ocean played a fundamental role in the formation of Avalokiteśvara worship. The sea was also a major conduit through which elements of the Avalokiteśvara faith were transmitted from India through China to Korea and Japan, the easternmost ends of the Silk Road. These elements include Avalokiteśvara's role as a maritime savior, oceanic symbolism, and the concept of the bodhisattva's worldly abode, Potalaka. Cultic sites dedicated to maritime safety were established at important transport hubs in East Asia. Due to China's strategic location on the Silk Road, as well as its cultural influence, the most important cultic sites were founded in China, first on the Shandong Peninsula, then in the southern Jiangnan region, in present-day Zhejiang Province. Especially notable is the role that Korean seafarers played in this process by assisting monks in search of the Dharma, establishing temples, and transmitting religious beliefs across the ocean.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the role that maritime figures played in the cultural exchanges between Korea, China, and Japan examined through Avalokiteśvara faith. By this, it aims to demonstrate how Korean seafarers inherited and continued the traditional relationship between commerce and Buddhism, while extending the Maritime Silk Road to the "East Asian Mediterranean."

다면적 인성검사(MMPI-2)임상척도와 자기조절지수와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MMPI-2 Clinical Scales and SRQ of Brain Quotient)

  • 위현욱;이협의;정철우;최남숙;박병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285-29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면적 인성검사(MMPI-2)의 임상척도와 뇌기능지수 중 자기조절지수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는 상담센터에 내원한 20세 이상의 성인 남녀 중 자원한 41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자기보고식 검사지인 다면적 인성검사(MMPI-2)를 이용해 검사를 진행했으며, 2채널 뇌파측정기를 이용해 Fp1,과 Fp2에서 뇌파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면적 인성검사(MMPI-2)의 임상척도인 척도2(D)와 자기조절지수 중 휴식 즉, 알파파와 음의 상관을 보였으며, 다면적 인성검사(MMPI-2) 척도3(Hy)은 집중력 즉, 저베타파와 양의 상관성을 보였고, 척도 7(Pt)은 휴식과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 상담현장에서 다면적 인성검사(MMPI-2)와 SQR을 상호 보완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세 가지 시사점을 갖는 것으로 해석 가능하다. 첫째, 우울한 정서를 가진 사람들은 타인의 시선과 평가에 민감하여 대인관계를 맺을 시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게 되어 휴식이 유지되지 못하기 때문에 피로도가 상승할 수 있다. 둘째, 지나치게 타인의 관심을 얻으려고 하고 쾌활한 모습을 지닌 사람들은 활동력이 높을 것으로 여겨진다. 셋째, 불안과 긴장 상태로 스트레스가 높아진 사람들은 쉽게 지치고 짜증과 불쾌감이 상승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아시아 불교미술에서 지표로서의 환경 (Environment as an Indicator in the Buddhist Art of Asia)

  • 이정희
    • 조형예술학연구
    • /
    • 제13권1호
    • /
    • pp.61-86
    • /
    • 2008
  • 불교와 불교미술은 인도에서 발원하였지만, 그것들은 각 나라에 전파되면서 국제적인 환경을 만들어 냈다. 불교는 각 나라에 일종의 꾸러미의 형식으로 전파되었다. 예를 들면 불경, 불상과 불화의 도상과 양식, 건축과 그 기법, 복잡한 의식, 승려나 여승이 기거하는 사찰에서 건축적 요소와 그 기법들이 함께 소개되었다 불교의 시작은 인도의 아쇼카 왕조시기(reign of King Asoka)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이후 각 나라의 정치적, 지적, 예술적, 종교적, 사회적, 자연적 환경, 지리적, 지질적 환경에 맞게 전개됐다. 불교미술은 토착화하면서 그 지역민을 닮은 상이 만들어 졌고, 또 지역마다 독특한 특색을 나타내면서 발전하기 시작했다. 스투파(stupa)와 차이챠 홀(chaitya hall)은 수도원의 독특한 분위기를 만들어 내곤 중앙아시아의 대상인들은 인도의 문화가 중국에 전해지는데 공헌했을 뿐만 아니라, 그들이 지나던 교역루트의 자연환경 덕분에 화려한 색채의 벽화들이 제작되고 보존될 수 있었다. 불교와 불교 미술이 중국과 한국, 일본에 전해졌을 때, 불교는 국가 제도와 사회적 조직의 일부가 되었다. 정치적 목적에 의해 거대한 불상들이 산속의 동굴에 만들어 지기도 했다. 중국은 스투파를 사각형의 기둥으로 변형시켰고, 기와를 얹은 지붕 형식의 탑을 만들어 냈다. 한국은 불교미술을 중국에서 일본으로 전파시켰을 뿐만 아니라, 고유한 방식으로 그것을 변형시켰다. 석굴암의 깊은 명상에 잠긴 듯한 보살상들의 이미지가 그 좋은 예이다. 중국에서는 신유교 철학이 국-가의 공식적인 이념이 되면서 선종의 부흥하기도 했으며, 일본의 선승들은 신도들의 명상을 북돋기 위해 선종 형식의 정원을 만들어 냈다. 티벳의 밀교에서도 불교미술의 중요한 발전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밀교의 미술은 예술적 환경 뿐만 아니라, 지적이고 종교적인 것에도 속한다. 한편 티벳의 신들이 그들의 배우자를 안고 있는 모습은 신과 신자들의 융합을 상징하기도 한다. 불교미술은 독창적인 환경을 만들어 냈고, 여라 나라에 전파되면서, 상당한 변화를 낳았다.

  • PDF

원천석(元天錫)의 역사의식과 유불도(儒佛道) 삼교관 (A Study on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View of the Three Religions of Won Cheon Seok)

  • 정성식
    • 한국철학논집
    • /
    • 제35호
    • /
    • pp.165-188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려 말과 조선초기라는 역사적 전환기에 삶을 영위한 원천석의 역사의식과 유불도 삼교관을 탐구하는데 있다. 원천석은 당시 백성들의 입장을 적극적으로 대변하려 하였다. 백성들을 고통과 도탄에 빠뜨리고 있는 권세가들의 전횡을 적극적으로 비판하는 그의 태도는 고려 말 신진사류들의 입장과 그 궤를 같이 하는 것이었다. 그는 요동정벌이 시행되자 고려의 기상을 떨칠 수 있는 좋은 기회로 여겼으나 현실상황은 자신의 기대와는 다르게 전개되어 나갔다. 이성계가 위화도에서 말을 돌려 회군을 함으로써 국가적 위기상황을 맞이하게 되자 원천석은 이성계의 행위에 대한 강한 부정적 입장을 표명하였다. 원천석은 유학자로서 불교와 도교를 부정하지 않는 자세를 견지하였다. 그는 유불도가 하나의 이치로 통하는 것이라 파악하였다. 유학에 학문적 토대를 둔 그가 유교 그 자체뿐만 아니라 불교와 도교적 세계관에 대해서도 깊은 이해를 도모하여 유교적 사유체계에서 오는 현실적 갈등과 대립의식을 승화시키고 있었다. 열린사회와 글로벌화를 지향하며 다문화사회로 접어든 현대는 다양한 가치관이 공존하고 점차 민족 간 문화적 교류 빈도가 증대해가고 있다. 이러한 현실적 변화과정으로 볼 때, 타자에 대한 넓은 이해와 소통, 그리고 상호존중의 교섭적 특성을 갖는 원천석의 유불도 삼교관은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성담(性潭) 송환기(宋煥箕)의 불교인식 (Seongdam Song Hwan-gi's Understanding of Buddhism)

  • 김종수
    • 대순사상논총
    • /
    • 제38집
    • /
    • pp.209-242
    • /
    • 2021
  • 본고는 19세기 초반 무렵을 전후로 한 시기를 활동기로 삼았던 노론 내 호론 계열의 종장인 성담 송환기의 불교인식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우암 송시열의 5대손인 송환기는 우암학을 전승하기 위한 가전의 사명감에 충만한 가운데, 엄정한 유학적 도통론과 그 가지 담론인 벽이단론을 동시에 견지했던 유학자다. 자연히 대표적인 이단 그룹에 속하는 불교 방면에 관한 송환기의 인식 정도가 궁금해졌고, 이에 승려를 대상으로 한 호칭법 구사 문제와 교학체계에 대한 소양 정도 및 불교적 설화를 둘러싼 비판적 언술 등과 같은 세 국면에 걸친 검토 작업을 수행하게 되었다. 송환기는 정주학과 춘추학을 주축으로 하여 구축된 우암학의 진정한 계승자답게, 요·순에서 공·맹 및 정자·주자로 맥이 이어져 왔던 유학적 도통 상전의 계보를 매우 중시했던 인물로, 호교론적 담론의 성격을 띤 기존 벽이단론의 기조를 충실히 계승하고 있었다. 그런데 네 범주인 '범칭·존칭어·가마[輿] 관련 호칭·기타 호칭어' 등으로 이뤄진 승려에 대한 호칭어들은, 송환기가 견지한 불교 친화적인 면모의 일단을 확인시켜 주고 있음이 주목된다. 물론 '담승(擔僧)·여승(輿僧)'이라는 호칭어가 암시해 주듯이, 송환기는 명산·대첩을 유람할 때 가마꾼 승려들의 도움을 당연시했던 정황도 아울러 포착된다. 이는 전근대 시기 사회에서 저명한 사족층 출신의 일원인 송환기가 기득권을 옹호했던 정황을 확인시켜 주고 있다. 한편 송환기의 경우, 『금강경』과 『화엄경』·『능엄경』으로 대변되는 불교교학 방면의 소양은 그다지 심오한 수준를 형성하고 있지 않은 상태였다. 또한 불법승 삼보에 대한 종교적 귀의심이 결여되었던 송환기가 <청량산유람록>과 <동유일기>가 방증해 주듯이, 청량산·금강산 유람 시에 접했던 불교적 설화에 대해서 매우 비판적인 인식을 토로해 보인 것은 극히 당연한 처사였다. 반면에 송환기는 황폐해진 사찰·암자의 고적들을 접할 때면 심히 안타까운 심정을 드러내 보였다. 이는 불교적 문화재들에 대한 송환기의 애정 어린 시선을 확인시켜 준다. 결과적으로 송환기의 불교인식은 긍정과 부정, 수용과 배척이라는 상이한 두 시각이 교차하고 있는 초점 불일치 양상을 취하고 있었던 것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