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ckwheat sprouts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34초

메밀 싹 추출물 에멀젼의 제조 및 에멀젼의 열 안정 특성 (Production and Heat-Stable Characteristics of Emulsion Made from Buckwheat Sprout Extracts)

  • 차보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0호
    • /
    • pp.1549-1554
    • /
    • 2014
  • 메밀 성분 중 루틴의 추출 효율을 높이기 위해 메밀을 발아한 후 루틴 및 polyphenol 추출 효율이 높은 추출방법을 선택하였다. 메밀의 발아는 흙 재배가 효율적이었으며, 8일 후에는 polyphenol 함량이 10.66 mg/g으로 메밀 종자에 함유되어 있던 polyphenol 함량의 10배 이상 높은 양을 얻을 수 있었다. 발아 메밀에서 추출된 루틴을 포함한 polyphenol 성분은 에멀젼을 제조하여 열에 대한 안정성을 높이는 데 효율이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에멀젼은 homo mixer만을 통과시키는 것보다 유압식 균질기를 통과시켰을 때 포접 효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열처리 온도에 대하여 열 안정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Effect of Endophytic Bacterium Inoculation on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Tartary Buckwheat Sprouts

  • Briatia, Xoxiong;Azad, Md Obyedul Kalam;Khanongnuch, Chartchai;Woo, Sun Hee;Park, Cheol H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3권1호
    • /
    • pp.57-63
    • /
    • 2018
  • The effects of endophytic microbial inoculation and temperature on the phenolic content of tartary buckwheat (TP) sprouts were investigated. TP seeds were inoculated with Herbaspirillum spp. at concentrations (%v/v) of 0 (control), 10, 20, and 40% at 20, 25, and $30^{\circ}C$ in a growth chamber for seven days. It was observed that the phenolic content (PC) including flavonoid, rutin, and tanin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inoculant rate at $20^{\circ}C$, whereas the PC content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temperature regardless of the inoculant rate.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increasing the inoculant rate is effective at achieving higher phenolic contents when plants are grown at lower temperatures.

메밀 새싹채소의 저장품질에 대한 수확 후 처리공정 효과 (Effect of Postharvest Treatments on Storage Quality of Buckwheat Sprouts)

  • 이현희;홍석인;김동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98-104
    • /
    • 2011
  • 효율적인 메밀 새싹채소의 수확 후 관리방법을 구축하기 위하여, 적정 염소수세와 헹굼, 예냉, 포장 처리를 새싹 재배공장에서 각기 구분하여 실시하고 관행적으로 출고하던 메밀 새싹과 비교하여 이들 처리구의 저장 중 품질특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수확 후 염소수세 및 헹굼 과정을 거친 모든 처리구의 호기성 중온균과 대장균군은 무처리 대조구에 비해 약 1 log cycle 정도 감소하였으나 저장 중 증가하여 처리구간의 차이를 구분할 수 없었다. 무처리 대조구를 포함하여 염소수세, 냉수예냉, PP 용기 밀봉포장 처리구의 생체중량 감소율은 저장기간 중 4% 이하의 낮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저장 중 새싹시료의 수분함량, 가용성 고형분함량, 표면색 등은 유의적인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고, 관능평가 측면에서도 처리구별로 유의차를 구분할 수 없었다. 결과적으로 메밀 새싹의 수확 후 관리공정에서 염소수 소독처리를 통해 오염미생물을 저감시키고, 적절한 헹굼과 예냉과정을 거쳐 기체투과성이 높은 포장재로 밀봉하는 방법을 적용한다면 새싹채소 상품의 유통 중 신선도 유지에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타타리메밀 당절임 추출음료의 성분 및 약리효능 (Components and Pharmaceutical Effect of Beverage Extracted from Sugar-treated Tartary buckwheat)

  • 박정자;장광진;서건식;이희선;이건순;박철호;이만휘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0권1호
    • /
    • pp.67-75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평창의 주요 농산물인 메밀의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 부가가치를 높이고자 음료 개발을 시도하였으며, 영양성분 조사 및 동물실험을 통한 약리적 효능을 검정하였다. 영양성분분석에서는 일반적인 성분검사로서 특별한 점이 발견되지는 않았으나 동물실험에서 밝혀진 효능검사는 타타리메밀로 만든 당절임 추출음료가 짧은 기간의 실험임에도 불구하고 혈중 LDL 콜레스테롤의 수치를 낮추고, HDL 콜레스테롤의 수치를 올려주어 혈중 total lipid를 낮추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타타리메밀을 이용한 음료는 혈중 지질의 개선을 통해 순환기 질환에 효과를 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제품화하여 메밀의 새로운 수요창출 및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동물실험 및 제품이 갖추어야 할 조건에 대한 관능검사를 다양한 연구가 다음 단계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타타리메밀 전초와 싹을 이용한 당절임 추출음료의 개발 가능성과 영양성분 및 기능적 효과를 밝혔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것은 다양한 용도의 접근 가능성을 제시하는 동시에 메밀의 다양한 수요방법을 창출할 수 있기에 농가의 부가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타타리메밀을 이용한 당절임 추출음료가 새로운 건강식품이 될 수 있음을 전망하였다.

Study on Chemical Components of the Aerial Parts and the Roots of Buckwheat

  • Ham, Young-Min;Hyun, Ho-Bong;Yoon, Seon-A;Yoon, Weon-Jong;Yang, Woo-Sam;Oh, Dae-Ju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61-61
    • /
    • 2018
  • Buckwheat is a important vegetable in asia for long time. Recently, Buckwheat has attracted attention to its potential for health benefit and especially as a gluten-free food. Conventional buckwheat studies have focused on seeds and sprouts, but we studied the components of the aerial parts and roots of buckwheat after harvesting. Therefore, we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be a basic study to expand the application range of buckwheat plants which are discarded after harvesting. The ethanol extracts of aerial part and roots of buckwheat (Daegwan, Yangjul) were analysed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Rutin was detected as the major compound in Daegwan, Yangjul aerial part and Daegwan root extracts, except yangjul root extract. So we analysed Yangjul root extract using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LC-MS) and then obtained the informations about the components in Yangjul root extract. Yangjul root extract was analysed by $LC-MS^n$ in negative ESI mode within the range m/z 150-2000 amu. Totally, four components was found in the Yangjul root extract and obtained the fragments ion patterns of ones. Further study, we have to confirm the structure of components in Yangjul root extract and try to more biological activity test the components for development as useful food or cosmetic ingredients.

  • PDF

Effect of Endophytic Bacterium Inoculation on Seed Germination and Sprout Growth of Tartary Buckwheat

  • Briatia, Xoxiong;Khanongnuch, Chartchai;Azad, Md Obyedul Kalam;Park, Cheol Ho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712-721
    • /
    • 2016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ndophytic bacterium Herbaspirillum spp effect on seed germination and sprout growth of tartary buckwheat. Inoculant concentration (%v/v) and seed soaking time were applied 10, 20 and 40% and 0, 4, 8, 12 hour, respectively.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a growth chamber maintained temperature at 20, 25 and $30^{\circ}C$ without light for 7 days. Results showed that, 10 to 20% (v/v) inoculant concentration by 4 to 8 h seed soaking time at $20^{\circ}C$ temperature increased seed vigor rate and total seed germination rate 80-95% and 90-100%, respectively. On the other and, seed inoculation with Herbaspirillum spp. increased hypocotyl length (13-15 cm), root length (8-11 cm), total fresh weight (135-296 g) and total dry weight (7-10 g), compared to control. It is indicated that sprouts growth and yield depends on inoculation concentrations, seed soaking time and temperature. Therefore, it would be suggested that seed inoculation with Herbaspirillum spp. at concentration of 10 to 20% (v/v), soaking time 4 to 8 h and temperature $20^{\circ}C$ promote seed germinations and sprout growth rate of tartary buckwheat.

단메밀과 타타리메밀의 페놀화합물 함량 비교 (Phenolic Compounds in Common and Tartary Buckwheat)

  • 박병재;권순미;박종인;장광진;박철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spc1호
    • /
    • pp.175-180
    • /
    • 2005
  • 본 연구는 단메밀과 타타리메밀의 페놀성화합물의 함량을 측정하고 분석, 평가한으로써 생리활성 연구의 기초 자료와 건강기능성 식품소재 개발에도 이용될 수 있는 유용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1. 총 페놀의 함량은 타타리메밀 종자가 단메밀 종자보다 약 2배정도 높게 나타났다. 총 페놀 중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단메밀이 약 $50\%$, 타타리메밀이 약 $95\%$를 차지하고 있다. 단메밀과 타타리메밀의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메밀쌀이 메밀껍질보다 높았으나, 단메밀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메밀껍질 더 높았다. 3. 단메밀의 rutin함량은 메밀껍질(25.2 mg/100g)>껍질을 벗기지 않은 종자(19.8 mg/100 g)>메밀쌀(12.8 mg/100 g)의 순으로 높았으나, 타타리메밀은 메밀쌀(2042.1mg/100g)>껍질을 벗기지 않은 종자(1375.8 mg/100g)>메밀껍질(138.7 mg/100 g)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식물체 부위별 rutin의 함량은 단메밀이 메밀싹>잎>줄기>종자의 순이고, 타타리메밀은 잎enli메밀싹>종자>줄기의 순으로 나타났다. 모든 부위에서 타타리메밀이 단메밀보다 높은 rutin함량을 나타냈다. 4. 단메밀과 타타리메밀 종자의 flavanols함량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잎, 줄기, 싹나물부위의 함량은 타타리메밀이 높은 경향을 보였고, 두 종의 flavonols의 함량도 단메밀보다 타타리메밀에서 월등히 높은 경향을 보였다. 5. 식물체 부위별 flavanols의 함량은 단메밀과 타타리메밀의 메밀싹>잎>줄기>종자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모든 부위에서 catechin> Epicatechin> Epicatechingallate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메밀싹은 두 종 모두 Epicatechingallate의 함량이 종자의 약 $30\~40$배, 잎, 줄기보다 약 $15\~20$배가량 높았다.

LED 광 조건에 따른 메밀 새싹의 생육 및 기능성 물질 분석 (Effects of LED Light Conditions on Growth and Analysis of Functional Components in Buckwheat Sprout)

  • 전아영;김기현;권수정;;조성우;우선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0권3호
    • /
    • pp.388-393
    • /
    • 2015
  • 메밀 새싹 채소 재배 시 광 조건에 따른 생육 차이는 일반 메밀 새싹과 쓴 메밀 새싹의 품종에 관계없이 암 조건, 적색광, 청색광, 혼합광(청색 + 적색 + 백색), 자연광 순으로 나타났다. 루틴의 함량 차이는 메밀 새싹에서 루틴 함량차이는 일반 메밀 새싹 보다 쓴 메밀 새싹에서 더 높았다. 일반 메밀 새싹과 쓴 메밀 새싹 모두에서 자연광, 혼합광(청색 + 적색 + 백색), 청색광, 적색광, 암조건 순으로 나타났다. 자엽과 배축의 경우에는 자엽에서 배축보다 6배 가량 높게 나타났다. 퀘르세틴 함량은 일반 메밀 새싹에 비해 쓴 메밀 새싹의 함량이 10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광 조건에 따른 함량 차이는 자연광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 혼합광, 적색광, 청색광 순이고 암 조건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자엽과 배축의 경우에는 자엽에서 배축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메밀 새싹 채소의 클로로겐산은 일반 메밀 새싹과 쓴 메밀 새싹의 함량 차이가 비교적 작았다. 광 조건에 따른 차이는 자연광에서가장 높았고 LED광에서는 혼합광, 청색광, 적색광 순으고 암 조건에서 가장 낮았다. 루틴과 퀘르세틴과는 다르게 클로로겐산의 경우에는 배축에서 더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