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wsing

검색결과 535건 처리시간 0.029초

User-Friendly Personal Photo Browsing for Mobile Devices

  • Kim, Sang-Kyun;Lee, Jae-Won;Lee, Ryong;Hwang, Eui-Hyeon;Chung, Min-Gyo
    • ETRI Journal
    • /
    • 제30권3호
    • /
    • pp.432-440
    • /
    • 2008
  • In this paper, a user-friendly mobile photo album system and albuming functions to support it are introduced. Stand-alone implementation in a mobile device is considered. The main idea of user-friendly photo browsing for albuming functions is to enable users to organize and browse their photos along semantically meaningful axes of events, personal identities, and categories.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method would be sufficiently useful and efficient for browsing personal photos in mobile environment.

  • PDF

모바일 장치에서의 이미지 브라우징을 위한 동작 추적 기반 인터페이스의 설계 및 평가 (Design and Evaluation of Motion-based Interface for Image Browsing in Mobile Devices)

  • 임성훈;최승문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40-44
    • /
    • 2009
  • 이 논문에서, 모바일 장치에서의 이미지 브라우징을 위한 모션 기반 상호 작용 방식의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모션을 기반으로 한 인터페이스와 상호작용 방법을 디자인 하였다. 디자인된 인터페이스를 평가하기 위해 이를 현재 모바일 장치에서 사용 가능한, 가속도계와 비전을 이용한 하드웨어와 고성능의 트랙커를 이용한 하드웨어로 구현하여 버튼 인터페이스와 비교 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 모션 인터페이스들의 경우 버튼 인터페이스에 비해,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었고, 충분한 훈련을 거치면 사용성 및 사용자 성능의 증대 효과도 컸지만 버튼 인터페이스의 성능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 PDF

음성인식 시스템에서의 Voice Web Browsing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oice Web Browsing in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Application System)

  • 윤재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949-954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의 GUI 중심의 웹 어플리케이션을 VUI 중심의 웹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하기 위한 음성 인식 항공 정보 시스템을 설계 구현하였다. 이러한 ASP(Active Solver Page)로써 구현한 윈도우 서버 기반에서 운용되는 시스템에 관한 Web 관련 ASR(Automatic Speech Recognition)연구가 최근 상당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ASP의 웹과의 제한성으로 인해 시스템의 속도면, 이식성 등에서 제약을 가져왔다. 이와 같은 제약성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음성 정보 및 동적 VoiceXML을 구현하는 자바 빈즈(JAVA Beans) 컴포넌트 구조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Remote An(Abstract Windows Toolkit)기술을 이용하여 GUI 및 VUI 에서의 음성 및 그래픽 정보를 동시에 전달 가능하게 하는 Voice 웹 브라우징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모바일 웹 브라우징 서비스의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영향 (Determinants of User Intentions to Use Mobile Web Browsing Service: Self Efficacy and Social Influences)

  • 김경규;류성렬;김문오;김효진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16권1호
    • /
    • pp.149-168
    • /
    • 2009
  • This paper aims to empirically examine how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influence affect user acceptance of mobile web browsing service. To examine the intention to use mobile web browsing service, we applied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which has been widely used to explain and predict the IT acceptance to this study. This research also includes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computer self-efficacy, mobile self-efficacy, and personal innovativeness in IT and social influences such as subjective norms, image, and visibility as the external variables of the TAM. The results indicate that computer self-efficacy do not directly influence ease of use, but indirectly through mobile self-efficacy. And the results indicate that mobile self-efficacy and personal innovativeness in IT have direct effects on ease of use. Empirical results also show that subjective norms and image affect usefulness. Additiona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also discussed in the paper.

  • PDF

모바일 웹 브라우징 서비스 수용에 관한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Mobile Web Browsing Service Adoption)

  • 류성렬;김문오;김효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270-278
    • /
    • 2009
  • 모바일 웹 브라우징 서비스는 컴퓨터 환경에서의 인터넷 경험을 고객의 휴대기기에서 가능하게 해 주는 새로운 서비스이다. 본 연구는 모바일 웹 브라우징 서비스의 사용 의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정보기술 수용을 설명하는데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기술수용모형(TAM)을 기반으로 하여, 최근 기술수용 문헌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는 자기효능감을 컴퓨터 자기효능감과 모바일 자기효능감으로 구분하여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문헌에서 제시되지 않았던 모바일 자기효능감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이 개념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도구를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는 컴퓨터 자기효능감과 모바일 자기효능감이 사용 용이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제시해 주었으며, 기존의 TAM에서 제시한 연구가설이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바일 효능감에 대한 연구 결과는 향후 지속적으로 출현할 다양한 모바일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사용 의도를 분석함에 있어 중요한 변수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패션소비자의 판매촉진 흥미도에 따른 e-충성도예측요인 (Predicting Variables of E-loyalty for Fashion Products according to E-promotion Interests)

  • 박은주;최주영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02-309
    • /
    • 2010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whether the e-promotion interest was an influencing variable on promotion-acceptance attitudes, browsing, consumer satisfaction and e-loyalty, and to investigate the predictors for e-loyalty of shopping mall according to e-promotion interests.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es. Data were obtained from 555 adults who had purchased fashion products in online shopping. Data were analyzed using by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t-test and regression. The results showed that consumers with high e-promotion interests were more likely to accept e-promotions affectively and behaviorally, to have hedonic and utilitarian browsing, to satisfy the online shopping, and to make e-loyalty compared to them with low e-promotion interests. For high interested group in e-promotion, the more cognitive and affective attitudes toward promotion acceptance they were the greater e-loyalty in the context of online shopping for fashion products. Additionally, the more hedonic browsing and satisfy the online shopping they were the greater e-loyalty of shopping mall at Internet. However, for low interested group in e-promotion interests, the more utilitarian browsing and satisfy the online shopping they were the greater e-loyalty of online shopping for fashion products. It implies that consumer' e-promotion interest was an influencing variable on promotion-acceptance attitudes, browsing, consumer satisfaction and e-loyalty in online shopping for fashion products. Consumer satisfaction played an important role for making e-loyalty of fashion shopping malls.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in terms of insights for developing the strategies of encouraging to make the loyalty of shopping mall in the context of purchasing fashion products at Internet.

텔레매틱스에서 효율적인 장면전환 검출기법을 이용한 비디오 브라우징 (Video Browsing Using An Efficient Scene Change Detection in Telematics)

  • 신성윤;표성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47-154
    • /
    • 2006
  • 다중 비디오 프레임들에서 컬러 특징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표현은 시각적 정보관리 시스템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웹 상에서 실시간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비디오 내용검색과 비디오 브라우징을 모두 수행하는 비디오 브라우징 서비스(VBS)를 제시한다. 비디오 시퀀스의 장면전환과 키 프레임 추출을 위하여 RGB 컬러 히스토그램과 X2 (카이 스퀘어) 히스토그램을 합성한 효율적인 장면전환검출 기법을 제시한다. 장면전환검출에 의해 생성된 키 프레임들은 물리적 그리고 논리적으로 색인화 된다. 본 시스템은 VCR의 비디오 편집과 검색 기능을 포함한다. 비디오 브라우징을 위해서 날자, 분야, 그리고 주제의 세 가지 요소가 이용된다. 비디오 브라우징 서비스는 Apache 웹 서버에서 MySQL, PHP. JMF로 구현되었다.

  • PDF

도서관 홈페이지에서 분류기호 탐색장치의 개선방안 연구 (A Study for the Improvement of the Classification Number as the Search Device on the Library Homepage)

  • 김자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15-235
    • /
    • 2008
  • 이 연구는 오늘날 대부분의 도서관 홈페이지 상에 설정된 분류 관련 탐색장치들이 자료분류의 목적(분류의 본질적인 역할은 자료를 주제적으로 밀접하게 연관시키는 탁월한 브라우징 효과이고 또한 목록상에서 검색요소(색인어)의 역할도 하게 되는 것이다)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것을 발견하고 그 개선책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DDC를 사용하는 상당수의 국내외 도서관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먼저 세부 항목을 마련하여 분류기호 탐색장치의 문제점들을 분석하고 평가한 다음, 그 내용을 토대로 바람직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특히 분류브라우징(주제의 계층적 접근이 가능하도록 만든 장치) 관련 장치를 유용하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 DDC(1000구분 : 요목표)를 한국 실정에 맞게 조정 변개하였다. 분류의 탐색요소로서의 기능과 브라우징 역할은 홈페이지 검색장치에서 상호 유기적으로 작용하도록 설계되어야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 PDF

독서장애인을 위한 음성 도서 어노테이션 검색 기법 (A Voice Annotation Browsing Technique in Digital Talking Book for Reading-disabled People)

  • 박주현;임순범;이종우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510-51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독서장애인을 위한 모바일 전자책에 저장된 어노테이션을 탐색하고 그 결과를 재생하는 기법을 제안하고, 이를 음성 어노테이션 브라우징 시스템이라 칭하였다. 제안된 음성 어노테이션 브라우징 시스템은 명령 입력, 중요도 분석 및 추천, 검색, 출력 단계로 구성된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대상 사용자가 청각 의존도가 높은 독서장애인들이기 때문에 완전히 청각에 의존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모든 단계에서 음성인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제안된 음성 어노테이션 브라우징 시스템의 효율성을 검증하기 위해 모바일 안드로이드 환경에서 실행되는 전자책 소프트웨어와 음성 어노테이션 브라우징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구현된 시스템은 전맹인으로 구성된 다수의 사용자들로 하여금 검증하도록 하였으며, 그 결과 이들이 원하는 어노테이션을 찾는 과정이 성공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음을 확인 하였다.

개인화된 방송 컨텐츠의 효율적 검색을 위한 메타데이터 검색 구조 설계 (Design of Metadata Retrieval Structure for Efficient Browsing of Personalized Broadcasting Contents)

  • 이혜규;박성한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6권2호
    • /
    • pp.100-105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개인화된 방송 컨텐츠의 보기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보다 빠르게 검색할 수 있도록 메타데이터 저장 구조를 계층화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원하는 컨텐츠를 찾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MPEG-7 MDS 구조의 분류 기술구조와 기술구조 사이에 세부장르 목록이 들어있는 하위 장르 테이블을 추가한다. 그리고 기술구조에서 기존의 메타데이터들이 분류 없이 트리 형태의 계층구조로 저장되던 부분을 사건과 객체로 구분하여 저장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법은 기존 연구에 비해 장르의 단계별 검색이 가능해짐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계층적 검색이 가능해진다. 또한, 메타데이터를 사건과 객체를 구분하여 저장함으로써 탐색의 복잡성을 최소화한다. 실험 결과에서 제안하는 검색 구조의 시스템이 기존 시스템의 구조보다 향상된 검색 시간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