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wn sugar

검색결과 213건 처리시간 0.036초

쌀가루 Beurre mani$\acute{e}$를 사용한 브라운 소스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Sauce Prepared with Rice Powder Beurre mani$\acute{e}$)

  • 김기영;김성국;유승석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47-255
    • /
    • 2009
  • This study examin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sauce prepared with rice powder in place of wheat flour, which is the commonly used thickener. With regard to the general components, as the level of rice powder increased and its ratio in the stock increased, moisture decreased and crude protein, lipid, and ash increased. Reducing sugar content was 4.72% in the control group, and as the mixing ratio of stock to rice powder increased from 100:5 (S1) to 100:13 (S5) in the rice powder-added groups, reducing sugar content increased from 3.94% to 4.82%, respectively. In terms of Hunter's color values, as more rice power was added to the beurre mani$\acute{e}$, L, a, and b values increased. Thus, a sauce of a light brown color was appropriately made. For consistency, as more rice powder beurre mani? was inserted into the analyzer, flow was reduced and viscosity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H of the control (CS) was 4.94,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ontrol and the rice powder-added groups. In sensory evaluations, color presented its highest score as 6.47 when the mixing ratio of stock to beurre mani$\acute{e}$ was 100:7 (S2). S2 also received the highest score for flavor at 6.32. Viscosity was highest in the control (CS) at 6.26, and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100:7 (S2) or 100:9 (S3) groups. Finally, the S2 group had the highest scores for taste (6.21) and overall-acceptability (6.30). In correlation analyses betwee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verall-acceptability as well as the color, flavor, viscosity, and taste of the brown sauce all presented comparatively high positive correlations, in which overall-acceptability and color had the highest correlation.

  • PDF

비늘버섯속균(Pholiota sp.)의 특징과 자실체 형성 (The Fruit-body Formation and Properties of Pholiota sp.)

  • 성재모;이재근;박동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2호통권85호
    • /
    • pp.194-199
    • /
    • 1998
  • 본 실험에서 공시균주로 사용된 비늘버섯속균은 1997년도 8월초부터 10월말까지 강원도내의 삼림(삼악산, 오대산, 장원대학 연습림)에서 채집된 것으로서 갓의 지름이 $3{\sim}8\;cm$로 편평형이며 갓표면은 습하면 점성이 있고 황갈색이며 주름살은 완전 붙은형이며 약간 빽빽하고 처음에는 황백색이나 차차 갈색으로 변하기도 한다. 식용 가능한 비늘버섯속균(Pholiota sp.)을 이용하여 자실체 생산에 관한 연구를 한 결과 공시균주인 검은비늘버섯(Pholiota adiposa)의 균사생육에 적합한 온도는 $25{\sim}30^{\circ}C$로, 자실체 형성에 적합한 온도는 $15{\pm}1^{\circ}C$로 조사되었다. 농업적으로 이용이 가능한 산업용 액체배지의 탄소원으로는 황백당(brown sugar)을 사용하였으며, 질소원으로는 대두분(soybean flour)을 사용하였다. 본 균의 인공자실체는 포플러 톱밥과 쌀겨를 4:1로 혼합한 병재배를 통해 형성되었으며 액체배양장치로는 배양액량이 8 L인 원통형의 내열성 유리병을 선발하여 이용하였다.

  • PDF

The Preparation of Crystalline Mannobiose from Brown Copra Meal Using the Enzyme System and Yeast Fermentation

  • Park, Gwi-Gun;Chang, Hak-Gi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권3호
    • /
    • pp.194-198
    • /
    • 1993
  • ${\beta}-1$, 4-Mannobiose was prepared by the enzymatic hydrolysis of brown copra meal and the subsequent elimination of mono-saccharides from the resultant hydrolysate with a yeast. The enzyme system hydrolyzed brown copra meal and produced monosaccharides and $\beta$-1, 4-mannobiose without other oligomers at the final stage of the reaction. Brown copra meal (30 g) was hydrolyzed at $50^{\circ}^C$ and pH 5 for 48 hr with the crude enzyme solution (300 ml) from Penicillium purpurogenum. By the elimination of monosaccharides from the hydrolysis products with a yeast (Candida parapsilosis var. komabaensis k-75), 5.2 g of crystalline mannobiose was obtained without the use of chromatographic techniques. After 50 hours of yeast cultivation, the total sugar content fell from 3.5% to 2.4%, and 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rose from 1.8 to 2.2.

  • PDF

해조류 톳 (Hizikia fusiforme)의 효소 가수분해 (Enzymatic Hydrolysis of Marine Algae Hizikia fusiforme)

  • 송부복;김성구;정귀택
    • KSBB Journal
    • /
    • 제26권4호
    • /
    • pp.347-351
    • /
    • 2011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reaction factors on enzymatic hydrolysis of Hizikia fusiforme, which is brown algae in marine biomass resource, using commercial enzymes. The composition of H. fusiforme is 38.9% of reducing sugar, 4.8% of moisture, 17.8% of ash, and 38.5% of others. In the condition of 1-5% substrate, the increase of substrate concentration enhanced the increase of reducing sugar formation; however, the hydrolysis yield did not increase after 24 h. After reaction of 75 h, conversion yield of reducing sugar were obtained to 16.45%, 17.99%, and 14.55% at 1, 2.5, and 5% substrate, respectively. As a result of effect of enzyme amount, the formation of reducing sugar did not show considerable change at 1% substrate. However, in the condition of 2.5% substrate, the great change of reducing sugar formation was observed by the increase of enzyme amount. The conversion yields of reducing sugar were obtained to 18.77% and 22.83% at 1% and 2.5% substrate with 30% enzyme, respectively. As a result of heat treatment of biomass, the high yield was obtained in 2.5% substrate and the yields were increased to 0.06-7.2% by the heat treatment. This result will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production process of biofuels and chemicals from marine biomass H. fusiforme.

생전분 분해효소를 이용한 현미 알콜발효조건의 모니터링 (Monitoring of Alcohol Fermentation Condition of Brown Rice Using Raw Starch Digesting Enzyme)

  • 신진숙;이오석;김경은;정용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75-380
    • /
    • 2003
  • 현미를 이용하여 증자하지 않고 생전분 분해효소를 이용한 알콜발효조건을 모니터링 하였다. 알콜발효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변수인 현미분쇄 정도에 따른 입자크기(20, 40, 60 mesh), 효소제 함량(0.1, 0.3, 0.5%), 교반속도(0, 100, 200 rpm)에 대하여 반응표면회귀분석한 결과, 현미분쇄 정도는 35~42 mesh, 효소제함량 0.32~0.43%(w/w) 범위로 나타났으며, 이때 알콜발효의 품질인자인 알콜함량, 총당, 환원당, 아미노산도, 총산 및 pH의 $R^2$는 환원당을 제외한 모든 성분에서 5~l0%이내의 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또한 최적조건범위 에서 실증실험 결과 pH 4.33, 총산 1.10, 아미노산도 0.51, 환원당 200.50 mg%, 총당 1,039.0 mg%, 알콜함량 10.15%로 RSM기법에 의해 예측된 값과 유사한 값을 나타내어 도출된 회귀식의 신뢰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또한 최적조건의 알콜발효 중 성분분석 결과 pH는 6.26에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점 점 감소하여 발효 종료시 4.34이었으며, 총산은 발효초기 0.15였으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다소 증가하였으나 발효종료시 0.20으로 총산의 변화는 크지 않았다. 아미노산도는 발효초기 1.88에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발효종료시 0.92었다. 환원당과 총당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여 각각 213, 1,077 mg%로 나타났다. 알콜함량은 발효 24시간부터 증가하여 발효 48시간에 10.15%로 최대치를 나타낸 후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생전분분해효소를 이용한 현미 알콜발효조건을 설정할 수 있었으며, 초산발효에 필요한 알콜함량을 얻을 수 있어 생전분을 이용한 현미식초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발아현미 농축액 첨가 김치의 숙성 중 품질변화 (Quality Changes of the Kimchi with Addition of Germinated Brown Rice Concentrate during Fermentation)

  • 우승미;장세영;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87-394
    • /
    • 2005
  • 발아현미 농축액(GBRC) 첨가량을 0, 1, 3 및 $5\%$(w/w)로 각각 달리하여 담근 배추김치의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pH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고 총산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당은 담금 직후 GBRC 첨가량이 많을수록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모든 구간들의 총당 함량이 꾸준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환원당은 발효 3일째 약간 증가한 후 꾸준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균수와 Leuconostoc sp.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꾸준히 증가하여 숙성 12일째 최대치에 도달한 후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고 Lactobacillus sp.은 숙성 9일째 최대치를 나타낸 후 일정한 균수를 유지하였다. 관능적 기호도에서는 발효전반에 걸쳐 GBRC $1\%$ 첨가구에서 전반적인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발효 현미식초의 발효방법 및 원료함량에 따른 품질변화 (Effects of Fermentation Method and Brown Rice Content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Vinegar)

  • 주경호;조명휘;박기재;정승원;임정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3-39
    • /
    • 2009
  • 누룩을 이용한 전통발효 현미식초와 효모를 이용한 상업적인 현미식초의 원료 함량에 따른 품질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120{\sim}360\;g/kg$의 원료함량 조건에서 현미식초를 제조하였고, 총질소, 유리당, 유기산, 무기질 및 아미노산 함량을 비교하였다. 누룩을 이용하여 제조한 현미식초는 원료함량 200 g/kg이하에서 초산발효가 이루어 지지 않은 반면, 효모를 이용하여 제조한 현미식초의 경우 원료함량 120 g/kg 이하에서 초산발효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총질소함량의 경우, 누룩을 이용하여 제조한 현미식초가 $350{\sim}460\;mg/100g$의 범위를 나타내어, 효모를 이용하여 제조한 현미식초의 $100{\sim}140\;mg/100g$의 범위보다 $2.0{\sim}4.6$배 이상의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유리당, 유기산, 무기질 및 아미노산 함량의 경우에서도 총질소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어, 누룩을 이용하여 제조한 전통발효 현미식초가 효모를 이용하여 제조한 현미식초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원료함량이 증가할수록 그 함량은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리당의 경우, 원료 함량 36%인 전통 발효 현미식초의 glucose 함량이 3.45 g/100 g으로 효모를 이용한 발효 식초에 비하여 2배 이상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유기산에서도 2.5배 이상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아미노산 함량의 경우, 원료함량 36%인 전통 발효 현미식초의 총 아미노산 함량이 $6088.22\;{\mu}g/mL$로서 효모를 이용한 현미 식초의 $1194.05{\mu}g/mL$보다 5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및 인천지역 영양(교)사의 당류 저감화 인식과 첨가당 사용실태 (Perception of Sugar Reduction and Added Sugar Use among Dietitians or Nutrition Teachers in Gyeonggi and Incheon)

  • 김혜지;최미경;김명희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4권1호
    • /
    • pp.62-74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etitians or nutrition teachers' perception of sugar reduction and usage of sugars in school meal service. A survey was conducted for dietitians or nutrition teachers a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Gyeonggi and Incheon. Survey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experience period and school types of dietitians or nutrition teachers. The numbers of subjects according to work experience period were 134 (44.2%) for <5 years, 68 (22.4%) for ${\geq}5$ and <10 years, and 101 (33.3%) for ${\geq}10years$. Among the subjects, 168 (55.4%) were nutrition teachers at kindergarten/elementary schools, and 135 (44.6%) were at middle/high/special schools. Perceptions of sugar reduction programs were higher in kindergarten/elementary schools than in middle/high/special schools. The perception of added sugar use increased with more work experience, and interest in sugar reduction was higher in kindergarten/elementary schools than in middle/high/special schools. Practice for added sugar reduction increased with more work experience, and the most common method for reducing sugar was use of natural sugars. The main reason for not reducing added sugars in school meals was due to preference. Nutri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increased with more work experience and was higher in kindergarten/elementary schools than in middle/high/special schools. The major nutritional education methods were using school homepage (37.4%), sending family letters (37.4%), and using principle's discretion time (18.4%). Organic sugar and rice taffy were used more at kindergarten/elementary schools, and white sugar, brown sugar, and white syrup were used more at middle/high/special schools. The most common menu using added sugars was stir-fried dishes (stir-fried pork, chicken, and vegetables).

Zoogloea ramigera l15SLR의 다당류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Factors Affecting on the Production of Exopolysaccharides from Zoogloea ramigera l15SLR.)

  • 소한섭;김찬식;이삼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64-269
    • /
    • 2002
  • Zoogloea ramigera l15SLR로부터 zooglan다당류의 생산을 위한 최적조건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탄소원으로 2.5%의 glucose와 lactose를 이용하였을 때 각각 10.7, 10.5 g/L의 다당류를 생산하였으며 , galactose, white sugar, brown sugar의 경우는 각각 6.4, 6.7, 8.7 g/L의 다당류 생산 을 보였다. 2.5% glucose가 첨가된 제한배지에서 종균 배양액(TSB 배지)을 7ml 이상 접종함으로서 종균 1 ml를 접종 하석 생산된 다당류(2.37 gt) 보다 약 4배의 높은 다당류 생산(10.28 g/L)을 보였다. 종균 배양액을 5 ml이상 접종시에 배양 36시간 이후부터 다당류를 생산하였으며 48시간 배양시에 10g/L이상의 다당류 생산이 가능하였다. 탄소원으로서 또한, 종균 배양액의 흡광도가 1.0~l.7일 경우에 10g/L 이상의 다당류를 생산하였으며, 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다당류 생산이 저해되었다. 배양액에 rifampicin첨가는 12 g/L이상의 다당류 생산을 보였으며, 다당류 분자량은 1.367$\times$106(g/mol)로서 rifampicin을 가하지 경우 1.711$\times$106(g/mol)와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거대 갈조류 모자반으로부터 환원당과 레불린산의 생산 (Production of Total Reducing Sugar and Levulinic Acid from Brown Macro-algae Sargassum fulvellum)

  • 정귀택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77-18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거대해조류 중 갈조류에 속하는 모자반으로부터 환원당 및 platform chemicals로 알려진 levulinic acid의 생산을 위하여 묽은 산 촉매를 이용한 수열가수분해법을 수행하였다. 반응조건의 최적화를 위하여 반응표면분석법을 적용하였다. 모자반으로부터 환원당과 levulinic acid의 생성에 미치는 반응인자들의 영향 및 상호작용을 알아본 결과, 실험조건 내에서 반응온도, 촉매농도, 반응시간이 낮거나 짧을수록 많은 양의 환원당이 생성되었다. 반면에 높은 반응온도와 촉매농도에서 levulinic acid 농도가 증가하였고, 일정 반응시간 이후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환원당 생성에 있어서 최적의 반응조건은 반응온도 $160.1^{\circ}C$, 촉매농도 1.0%, 그리고 반응시간 20.2분의 조건에서 15.28 g/l가 생성되었다. 또한 $189.5^{\circ}C$, 2.93%, 48.8분의 조건에서 2.65 g/l의 levulinic acid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는 해양자원 중 거대 해조류로부터 당과 platform chemicals을 확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화석자원의 대체에 활용할 기본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