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th culture

검색결과 1,215건 처리시간 0.025초

용혈독소를 생산하는 기수성 비브리오균의 생리.생태적 특성과 수산식품의 위생대책 2. 해수에서 분리된 vibrio mimicus SM-9의 생리적 특성 및 저온내성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s of Hemolytic Vibrios and Development of Sanitary Countermeasure of Raw Fisheries Foods. 2. Physiological and Psychrotrophic Characteristics of Vibrio mimicus SM-9 Isolated from sea Water)

  • 장동석;김신명;박욱연;박미연;김영만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9-14
    • /
    • 1997
  • Vibrio mimicus is a closely related species with V. cholerae, and has been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gastrointestinal infections. Although extraintestinal infections of these vibrios have also been reported in Japan and Southeast Asia. But little research papers on V. mimicus was reported in Korea. Therefore, we tried to isolate V. mimicus from the environmental sea water from April to July in Pusan, Korea. Among the isolated strains, we selected the strongest hemolytic strain and then named V. mimicus SM-9. In this paper, we checked the antibiotic susceptibility and psychrotrophic characteristics of the isolated strain. Hemolytic activity of the hemolysin produced by the isolated strain was also measured. V. mimicus was not detected from the sea water samples in April and May, but its detection rate was relatively high in June and July in Pusan, Korea. The bacteriological characteristics of V. mimicus SM-9 were Gram-negative rods, motile, oxidase positive, Voges-Proskauer negative and sucrose negative. In 23 kinds of antibiotics susceptibility test, V. mimicus SM-9 showed susceptibility to the most of antibiotics submitted while it was resistive against lincomycin, oxacillin, rifampin and vancomycin. Hemolytic activity of the hemolysin produced by V. mimicus SM-9 was highest in stationary phase of the growth curve in BHI broth at 37$^{\circ}C$ and its activity was reached 18 HU per $m\ell$ of culture supernatant. For checking the psychrotrophic property of V. mimicus SM-9, the decreasing rate of the strain in phosphate buffer solution and yellowtail flesh homogenate was examined during the storage at 4, 0, -4 and -2$0^{\circ}C$. The decreasing rates of the selected strain stored in phosphate buffer solution were greater than those in fish homogenate. Decreasing rates of V. mimicus SM-9 stored in phosphate buffer solu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 storage temperatures. The viable cell counts of the strain were decreased as 5 log cycles after 120 hours at all the tested temperatures. While decreasing numbers of the strain in fish homogenates were 2*4 log cycles after 120 hours. The decreasing pattern of the strain numbers were very slow after 200 hours at all the stored temperatures.

  • PDF

Characterization of Streptomyces Species Causing Potato Scab in Korea: Distribution, Taxonomy, and Pathogenicity

  • Lim, Chun-Keun;Park, Duck-Hwan;Kim, Jeom-Soon;Cho, Jun-Mo;Kwon, Soon-Wo;Hur, Jang-Hyu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9권1호
    • /
    • pp.13-18
    • /
    • 2003
  • From 1996 to 1999, potato-growing areas in Korea were surveyed for identification and distribution of potato scab pathogens. Potato scab was widely distributed in the mass cultivation areas, especially in Jriu island, southern areas of Chonnam and Gyounggi provinces, and the alpine area of Gangwon province. Jeju island was the most affected area by this disease. A total of 55 Streptomyces strains were isolated from potato scab lesions, among which 40 strains were pathogenic on progeny tubers. Among the pathogenic strain, 21 strains were identified as previously described S. scabies, 7 Strains as S. turgidiscabies, and 5 Strains as S. acidiscabies, while 7 strains were observed as having distinct phenotypic properties. These strains were classified into six distinct clusters based on phenotypic characteristics and selected representative strains for each cluster. S. scabies (S33) had grey spores in a spiral chain. Mean-while, S. turgidiscabies (S27) had grey spores, S. acidiscabies (S71) had white spores, S. luridiscabiei (S63) had yellow-white spores, S. puniciscabiei (S77) had purple-red spores, and S. niveiscabiei (S78) had thin and compact white spores, all in a rectiflexuous chain. Pathogenicity was determined by the production of thaxtomin A and homologs of necl and ORFtnp genes. In TLC, representative strains S27, S71, S63, S77, and S78 produced a yellow band that co-migrated with the authentic thaxtomin A. However, thaxtomin A was not detected in chloroform extracts from oatmeal broth culture and Slice tuber tissue of S. luridiscabiei (S63) and S. puniciscabiei (S77) by HPLC analysis. In addition, no homologs of necl and ORFtnp genes in S. acidiscabies (S71), S. luridiscabiei (S63), S. puniciscabiei (S77), and S. niveiscabiei (S78) were detected by PCR and Southern hybridization analysis.

생선 내장으로부터 분리된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에 의한 히스타민 생산균의 제어 (Control of histamine-forming bacteria by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fish intestine)

  • 임은서;이남걸
    • 미생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352-36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생선 내장으로부터 분리된 유산균의 프로바이오틱 특성과 아민 산화효소(diamine oxidase, DAO) 및 박테리오신 생산을 통한 히스타민 분해능을 조사하였다. 조기, 가자미, 명태 및 우럭 내장으로부터 분리된 총 97종의 유산균 중에서 CIL08, CIL16, FIL20, FIL31, PIL45, PIL49, PIL52 및 RIL60 균주는 인공 소화액에 대한 저항성이 강하고, HT-29 상피세포에 대해서도 높은 부착력을 보였으며, 항생제(amoxicillin, ampicillin, erythromycin, penicillin G, streptomycin, tetracycline 및 vancomycin)에 대한 내성도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이들 균주들은 히스티딘이 함유된 탈카르복시화 액체배지 내에서 히스타민을 생산하지 않았다. 특히 DAO를 생산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CIL08, FIL20, PIL52 및 RIL60 등의 4균주는 히스타민 분해능이 유의하게 높았다. FIL20, FIL31 및 PIL52 유산균이 생산한 박테리오신에 의해선 Enterococcus aerogenes CIH05, Serratia marcescens CIH09, Enterococcus faecalis FIH11, Pediococcus halophilus FIH15, Lactobacillus sakei PIH16, Enterococcus faecium PIH19, Leuconostoc mesenteroides RIH25 혹은 Aeromonas hydrophilia RIH28의 증식과 히스타민 생성량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또한 생선 내장에서 분리된 히스타민 생성균과 히스타민 분해능 혹은 박테리오신 생산능을 가진 CIL08, FIL20, PIL52 및 RIL60 유산균과 혼합 배양에 의해 히스타민 축적량이 감소되었다. 히스타민 생성을 억제하는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의 배양학적 특성과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Pediococcus pentosaceus CIL08, Lactobacillus plantarum FIL20, Lactobacillus paracasei FIL31, Lactobacillus sakei PIL52 및 Leuconostoc mesenteroides RIL60으로 동정되었다.

Aspergillus sp. AN-11이 분비하는 도토리 Tannin 분해효소(分解酵素)의 정제(精製)와 물리화학적(物理化學的) 성질(性質) (Purification of Acorn Tannin Hydrolyzing Enzyme of Aspergillus sp. AN-11 and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It)

  • 채수규;유태종;김병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33-341
    • /
    • 1983
  • 도토리 부패물로부터 분리한 Aspergillus sp, AN-11 균주가 분비하는 tannase를 일련의 ammonium S-ulfate에 의한 침전, DEAE-Cellulose Column Chromatography 및 Sephadex G-200 gel filtration 방법에 의하여 정제하여 물리화학적 성질을 규명하였다. 정제된 tannase 는 비활성(比活性)이 조(粗)tannase에 비하여 37 배정도 증가되었으며, 효소활성이 회수(回收)는 약 49%이었다. 정제된 tannase 는 polyacrylamide gel 전기영동에 의한 균일성을 나타내었고, SDS-polyacrylamide gel 전기영동에서는 단일 밴드를 형성하는 두개의 동일한 subunits로 분리되었으며, 본 도토리 tannin 분해효소의 분자량은 200,000 정도로 계산되었다. 정제된 tannase는 전형적인 단백질 UV흡수 스펙트럼을 나타내었으며, 한편 최적 pH 몇 온도는 5.5 와 $30{\sim}40^{\circ}C$이었고 pH $5.0{\sim}6.5$와 온도 $30^{\circ}C$ 이하의 범위 내에서 비교적 안정성을 보였으며, $CuCl_2$$ZnCl_2금속염에 의해서는 효소활성이 크게 저해되었다. 또한 정제된 tannase의 Km 값은 $7.58{\times}10^{-4}M$이었다.

  • PDF

Streptomyces sp. S56이 생산하는 Endoinulase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ndoinulase from Streptomyces sp. S56)

  • 김수일;하영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551-558
    • /
    • 1992
  • Streptomyces sp. S56으로부터 endoinulase를 생산하고 정제하여 물화학적으로 성질을 조사하였다. 조효소는 DEAE-cellulose column chromatography 및 Sephadex G-200 gel filtration에 의하여 정제하였으며, 정제된 효소는 polyacrylamide gel 전기영동결과 단일 band로 나타나서 전기영동상 순수하게 분리되었다. 정제효소의 최적 pH는 5.5-6.0, 최적온도는 $50^{\circ}C$였으며, 최적 온도에서의 열안정성은 1시간 처리후 42%의 잔류활성을 보였다. 정제효소는 금속이온 중 $Mn^{2+}$에 의해서는 활성이 증가되었으나, $Ag^{+}$, $Hg^{+}$, $Cu^{2+}$, $Zn^{2+}$, $Fe^{3+}$, $Mo^{6+}$ 에 의해서는 활성이 50% 이상 감소하였다. EH한 EDTA, 8-hydroxyquinoline에 의하여 활성이 저해되는 것으로 보아 metalloenzyme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효소는 inulin 내부의 $\beta$-2,1 결합을 가수분해하여 fructose oligomer를 생산하는 inulase 활성만을 가지고 있었으며 invertase 및 $\alpha$-glucosidase 활성은 나타내지 않았다. Inulin에 대한 Km값은 0.287mM, $V_{max}$ $0.109{\mu}mol/min$이었다. 효소의 촉매작용에 관하여는 amino acid residue는 tryptophan로 추정되었으며 그 외에 arginine, tyrosine, lysine, methionine, histidine, cysteine 및 cystine의 chemical modification 실험결과 효소활성저해가 나타나지 않아 이들 amino acid residue는 효소작용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되며 carboxyl기도 효소활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식물(植物) 병원류(病源惟) 사상균(絲狀菌)에 길항력(拮抗力)을 갖는 Serratia marcescens CK-3의 분리(分離) 및 효소적(酵素的) 성질(性質) (Isolation of Serratia marcescens CK-3 against phytopathogenic fungi and its enzymatic properties)

  • 김영일;이영환;김광식;박화성;전우복;이재화;김종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4권1호
    • /
    • pp.54-60
    • /
    • 1991
  • 식물 병원성 사상균 세포벽의 주성분인 chitin을 분해하는 미생물을 토양에서 분리, 선발하여 동정하고 이들의 효소적 성질을 조사하였다. 선발균 Serratia (S) marcescens는 식물 병원성 사상균인 Fusarium (F) axysporum과 Rhizoctomia (R) solani에 대해 길항력은 갖고 있었으며 효소적으로 chitinase 외에 laminarinase 및 protease 등의 활성을 가지고 있었다. 선발 균주의 chitinase 생산 최적조건은 chitin broth 기본배지의 조성과 온도 및 배양시간을 변형하여 조사한 결과 colloidal chitin 1.5%, tryptone 0.5%, glucose 1%, peptone 0.2%, $MgSO_4{\cdot}7H_2O\;0.1%,\;K_2HPO_4\;0.1%,\;NaCl\;0.1%$ (w/v), pH 6.8 배지에서 $30^{\circ}C$, 72시간 배양하였을 때이었으며 효소의 in vitro 최적 활성조건은 pH 7.5, $50^{\circ}C$이었다. 한편 여러 무기이온 중에서 $Ag^+$$Mn^{++}$은 효소의 활성을 촉진시켰다.

  • PDF

반응표면분석 법을 이용한 Paracoccus sp.의 Astaxanthin 생산배지 최적화 (Optimization of Medium for Astaxanthin Production by Paracoccus sp.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최종일;이희섭;최선강;김재훈;김진규;;변명우;이주운
    • KSBB Journal
    • /
    • 제24권3호
    • /
    • pp.321-326
    • /
    • 2009
  • Paracoccus sp.의 astaxanthin 생산성 증가를 위해 반응표면 분석법을 사용하여 최적의 배지조성을 설계하였다. Paracoccus의 성장 배지인 Marine Broth와 modified Blaszczyk 배지를 사용하여 astaxanthin 생산성을 측정한 결과 각각 0.39 mg/L, 0.40 mg/L의 astaxanthin 농도를 보였다. Modified Blaszczyk 배지의 조성을 각각 변수로 두어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성분을 알아본 결과 $MgSO_4$와 yeast extract로 확인되었다. 중심합성계획법에 따라 $MgSO_4$ ($0.397{\sim}4.621$ g/L), yeast extract ($2.879{\sim}7.121$ g/L)를 달리하였을 때, astaxanthin 생상성에 대한 회귀식의 $R^2$은 0.894로 나타났고, 이에 따른 최대 생산량에 0.925 mg/L로 예상되었으며 이때의 $MgSO_4$와 yeast extract의 농도는 각각 2.83과 7.02 g/L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확인실험 결과 2.83 $MgSO_4$ g/L, 7.02 yeast extract g/L에서 1.021 mg/L의 astaxanthin이 생산되었으며, 배지의 최적화에 따라 250% 이상의 생산성 증가가 확인되어졌다.

길항미생물 Bacillus subtilis GG95를 이용한 상추 균핵병의 생물학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Lettuce Sclerotinia Rot by Bacillus subtilis GG95)

  • 이현주;김진영;이진구;홍순성
    • 한국균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25-230
    • /
    • 2014
  • 상추재배시 문제가 되고 있는 균핵병과 시들음병에 대한 미생물 방제제 개발을 위하여 병해가 발생된 상추 포장에서 미생물을 분리하고, 길항미생물을 선발하여 균의 특성을 조사하고 균핵병에 대한 예방효과를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경기도 주요 상추 재배지에서 균핵병은 10월부터 발생하여 다음해 5월까지 발생하였으며, 12월에는 최대 40%까지 발생하여 피해를 주고 있었다. 균핵병과 시들음병에 모두 억제효과가 있는 균주를 대치배양을 통해 선발하였다. 선발됨 균주는 Vitek 2의 BCL카드를 이용한 생화학적반응과 형태적 확인, 16s rRNA 분석을 통해 동정한 결과 Bacillus subtilis로 동정되었고 B. subtilis GG95로 명명하였다. B. subtilis GG95의 배양특성을 조사한 결과 온도 $25{\sim}30^{\circ}C$, 산도 7의 배양조건에서 배양이 잘 되었으며, 배양에 적정한 영양원은 탄소원 전분, 질소원 tryptone과 yeast extract를 무기염류 $MgCl_2$를 사용하였을 때 가장 잘 되었다. 영양원에 따라 균핵병과 시들음병에 대한 길항효과가 좋은 탄소원은 fructose, maltose였고 질소원은 peptone였으며, 무기염류는 균핵병은 $CaCl_2$, $K_2HPO_4$, 시들음병은 $MgSO_47H_2O$로 병원균에 대한 길항효과가 차이가 있었다. 상추 균핵병에 대한 B. subtilis GG95의 포장검정 결과 $1{\times}10^8cfu/mL$ 농도의 길항미생물 배양액을 포기당 10 mL씩 3회 관주하고 균핵병원균을 접종한 후 균핵병의 발병정도를 조사한 결과 88% 방제효과가 나타났다.

광 촉매 이산화 티타늄의 개 피부에 대한 항균효과 (The antibacterial effect of photo-catalytic titanium dioxide on canine skin)

  • 장화석;김지은;정다정;이정선;최치봉;김휘율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79-284
    • /
    • 2006
  • Photo-catalytic products have been widely used at home and hospital to prevent bacteria, virus and fungus. Activities of anti-bacteria, anti-viruses and anti-fungi are based upon direct contact of crystals and particles of titanium dioxide with pathogens, into which titanium is catalyzed by photo. Thos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photo-catalytic titanium dioxide have been proved in vitro. However, in vivo tests of those activities have not been carried out on dog skin.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catalytic titanium dioxide in vivo. Ten beagle dog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was sprayed with 10ml of titanium dioxide(1 mg/ml) whereas the other was not. The treated dogs were exposed under the sunlight for 120 min. A set of three hairs was taken 15, 30, 60 and 120 min after the exposure and the bacteria contaminated in hairs were amplified in, Muller Hilton broth at $35^{\circ}C{\pm}1$ for 3 h. The supernatant of the bacterial culture was diluted 1 : 10 in phosphafe-buffered saline. One milliliter of the diluents was transferred into triphenyltetrazolium medium(TTC) and incubated at $35^{\circ}C{\pm}1$ for 2 days. The number of bacteria was counted. The number of bacteria colonies was decreased compared to control group. To further investigate the longevity effect of titanium dioxide, the dogs were kept in indoor without sun light for 6 and 12 h, 1, 2, 3, 7, 14 days after exposure of the chemical during each 15, 30, 60 min. The number of bacteria colony in 1ml was counted. The number of bacterial colonies was decreased. Treated group is exposured by sun light during 15 min, the longevity effect of titanium dioxide is continued by 1 week. Treated group is exposured by sun light during 30, 60 min, the longevity effect of titanium dioxide is continued over 2 weeks. These data indicated that the photo-catalytic titanium dioxide may be used for prevent bacteria on dog skin.

Bacillus amyloliquefaciens IUB158-03이 생산하는 항진균물질의 생화학적 특성 및 독성 (Toxicity and Characteristics of Antifungal Substances Produced by Bacillus amyloliquefaciens IUB158-03)

  • 김혜영;이태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1호
    • /
    • pp.1672-1678
    • /
    • 2009
  • B. amyloliquefaciens IUB158-03균주에서 정제된 항진균물질은 극성인 용매에 잘 용해되고, pH 6.0~10.0와 $-70{\sim}121^{\circ}C$에서와 같이 넓은 범위의 온도 및 pH에서 안정성을 보였다. 항진균물질의 FAB-MS, UV 흡수 스펙트럼, 아미노산 조성 등을 분석한 결과 분자량은 1,042 이었고, TLC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ninhydrin solution에서 보라색으로 발색되었다. UV 스펙트럼은 220 nm, 277 nm에서 ${\lambda}max$를 보였으며, $Asn_3$, $Gln_2$, $Ser_1$ $Gly_1$, $Tyr_1$의 아미노산 조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1H$-NMR spectrum, $^1H$-COSY, HMQC 을 분석한 결과 iturin A계에 속하는 물질로 확인되었다. NIH3T3 섬유아세포에 대해 항진균물질이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은 물론 마우스에 항진균물질을 경구투여하여 장기 내의 변화와 백혈구 수, 생체내의 생리적인 기능면에서 정상 마우스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므로 생체독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B. amyloliquefaciens IUB158-03에서 분리된 항진균물질이 앞으로 고추탄저병의 생물적 방제제로 이용될 수 있는 잠재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