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nchostenosis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7초

중엽증후군 (Middle Lobe Syndrome)

  • 이용훈;김병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6호
    • /
    • pp.621-625
    • /
    • 1996
  • "중엽증후군"의 용어는 Grahaml)등에,의해 처음 기술되어졌으며 대개 비후된 림프절에 의해 기관지 가 외부적으로 압박되 어 발생된다고 하였다. 환자들은 거의 증상이 없을 수 있으나 가장 흔한 발현 증상 은 기침, 호흡 곤란, 반복되는 발열, 객혈, 그리고 흥통 등이다. 진단방법은 흉부 X선, 기관지경검사, 기 관지조영술, 흉부컴퓨터단층될영 등이며 대개 공기가 없이 압축된 중엽이 중요한 소견이다. 본 저자들은 1990년 3월에서 1995년 5월까지 15례의 중엽증후군을 경 험하였으며 그 중 11례에서 수술 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중엽 증후군의 환자에서 수술적용은 악성 종양이 의심되거나,비가역적 기관지 확장증,기관지협착증,약물 치료에 호전이 없는 경우, 치료후 반복되는 감염 등의 경우에 시행하였다. 수술은 중엽절제술 8례,중엽 및 하엽절제술2례,상엽 및 중엽절제술 1례를시술하였다. 수술후 병리조 직소견상 결핵 6례, 만성감염 3례, 악성 종양 1례, 국소적 출혈 1례의 소견을 보였다 술후 합병증은 2례에서 발생하였으며,그 중 1례에서 술후 폐허탈, 1례에서 간장장애를 경험하였으며 치유되었다.였으며 치유되었다.

  • PDF

기관 및 기관지 결핵 61예의 임상적 고찰 (A Clinical Study on 61 Cases of Tuberculous Tracheobronchitis)

  • 안철민;김형중;황의석;김성규;이원영;김상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38권4호
    • /
    • pp.340-346
    • /
    • 1991
  • Tuberculous tracheobronchitis is defined as a specific inflammation of the trachea or major bronchi caused by the tubercle bacillus and recognized as one of the most common and serious complication of pulmonary tuberculosis. It had been a diagnostic challenge in prebronchoscopic era and since 1968, fiberoptic bronchoscopy has been accepted as a safe and valuable diagnostic procedure of tuberculous tracheobronchitis. Now, it remains a troublesome therapeutic problem due to its sequelae such as bronchostenosis, bronchiectasis and bronchial deformity. The authors analyzed the clinical features, radiological findings and bronchoscopic findings with pathologic and bacteriologic study on 61 cases of tuberculous tracheobronchitis and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peak incidence was in the fourth decade and male to female ratio was 1:3.4. 2) The most common symptom was cough (86.9%) and followed by sputum (49.2%), dyspnea (27.9%), fever (19.8%), weight loss (11.5%), hemoptysis (6.6%), hoarseness (6.6%) and chest discomfort (3.3%) and localized wheezing was heard in 18%. 3) In chest X-ray, consolidation with collapse was observed in 70.5%, and followed by consolidation only (18.0%), mediastinal node enlargement (8.2%), cavitary lesion (6.6%), suspicious hilar mass (3.3%) and miliary lesion (1.6%) and there was no abnormal findings in 4.9%. 4) Bronchoscopy showed hyperplastic lesion in 67.2%, mucosal lesion (18.0%), ulcerative lesion (9.8%) and stenotic lesion (4.9%). The most common site of bronchial lesion was right upper bronchus (36.1%) and followed by right main bronchus (34.4%), left main bronchus (29.5%), left upper bronchus (16.4%), right middle bronchus (8.2%), right lower bronchus (6.6%) and left lower bronchus (3.3%). 5) Chronic granulomatous inflammation with or without caseation necrosis on microscopic examination was confirmed in 69.7%, bronchial washing AFB stain was positive in 34.1%, prebronchoscopic sputum AFB stain was positive in 88.1% and postbronchoscopic sputum AFB stain was positive in 30.1%.

  • PDF

폐결핵의 절제술에 대한 임상적 고찰 (Surgical Treatment of Pulmonary Tuberculosis)

  • 김애중;구자홍;김공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4호
    • /
    • pp.397-402
    • /
    • 1996
  • 전북대 학교병 원 흉부외과에서는 1979년 1월부터 1992년 12월까지 폐결핵으로 폐절제술을 실시한 44 명중 자료가 충실하였던 3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령분포는 20, 30대가 55 %를 차지하여 가장 많 았고, 남녀비는 3.5 : 1이 었다. 증상은 흥통과 객혈 또는 혈액 이 약간 섞인 객담이 27예 (74.9 %)로 가장 많 았다. 병 력기간은 1년 미만이 12예 (33.3 %), 1~5년이 17예 (47.2 %), 5~10년이 4예 (11.1 %), 10년이상이 3예 (8.3 %)이 었다. 술전 객담도말검사상 균음성예는 77.8 %였고 화학요법에도 불구하고 균양성 예는 8 %이었다. 수술 적응은 공동을 동반한 폐구역 및 폐엽의 심한 파괴가 58.3 %로 가장 많았으며, 결핵병소는 우상 엽이 27.8 %로 가장 많았다. 술식은 폐 엽 절제가 50 %였고, 폐구역 절제가 27.8%, 전폐 절제가 16.7 %이 었다. 폐기능 검사는술식에 관계없이 술전에 비해 술후에 모두 향상되었으나 통계학적 유의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술후 주요 합병증으로는 기관지늑막루가 동반된 농흥이 2예 (5.5 %), 사강이 4예 (11.1 %), 결핵균의 확산이 2예 (5.5 %)이 었다. 1예 에서 좌상엽 절제후 합병한 약제과민성으로 인한 궤양\ulcorner 대장염으로 인공항 문성형술을 시행후 2일째 호흡부전으로 사망하여 술후 사망율은 2.7 %이었다.

  • PDF

치아흡인에 의한 기관지 폐쇄 1예 (A Case of Bronchial Obstruction due to Occult Aspiration of a Tooth)

  • 장중현;김세규;정경영;민동원;신동환;이홍렬;김성규;이원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0권4호
    • /
    • pp.442-448
    • /
    • 1993
  • 저자들은 최근 약 30년전 치과에서 발치도중 치아 흡인되었으나 환자가 모르고 지내오다 5개월 전부터 시작된 좌상부 흉통을 주소로 내원, 폐엽절제술후 치아 흡인으로 인한 기관지폐쇄로 확인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폐절제 예에서 결핵과 구별해야 할 질환의 특성에 관한 임상적 고찰 (The Clinic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ulmonary Lesions Which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Pulmonary Tuberculosis in Lung Resection Cases)

  • 정황규;정성운;박서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11호
    • /
    • pp.1232-1240
    • /
    • 1996
  • 부산대학교병원 흉부외과학교실에서는 1990년 1월부터 1995년 6월까지 폐결핵으로 추정진단하에 개 흉술을 시행한 121례를 관찰 분석하였다. 술후 병리조직학적인 최종진단은 폐결핵이 68례로 이중 결핵종이 29례이었으며, 폐암이 23례, 기관지 확장증이 16례, 폐국균종이 6례, 폐농양 2례, 양성낭종 2례등이었다. 121례의 남녀 성비는 81:40 이었고 연령분포는 폐결핵에서는 30대에서 27례(39.7%)로 가장 많았고 폐암에서는 50, 60대가 16례(69.6%)로 높은 빈도를 보였다. 방사선학적 소견상 결절성 병변을 보인 경우가 44례로, 이 중 폐결핵이 29례, 폐암이 15례이었다. 결핵성 결절은 폐암의 경우에 비해 크기가 3cm 미만이었고 석회화와 위성병변을 나타내는 빈도가 높았다. 수술적응은 타 질환 특히 폐암과의 감별을 요한 고립성 결절병변이 44례였고 일엽파괴폐가 31례, 대량객혈 25례, 공동성 병변 11레, 기관지병변이 3례, 일측파괴폐가 5례, 일측파괴폐와 농흉이 동반된 경우가 2례이었다. 술전 폐결핵이 의심됨 때는 폐암, 기관지확장증, 폐국균종, 폐농양 및 기타 양성 종양등과 감별하여야 하며 페결절이 크기가 3cm이상이거나 석회화와 위성병소가 없으며 항결핵제 투여에도 새로이 발생하고 PPD 피부반응검사 음성, CEA 값이 상승한 경우 폐암의 가능성 때문에 조기수술이 요구된다. 반면 크기가 3cm 미만이며 석회화와 위성병소를 동반하거나 PPD 피부반응검사 양성, ESR, CRP, ALP가 상승한 경우는 수술을 연기하고 경과관찰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반복적 굴곡성 기관지경검사(RFB)의 유용성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Availability of Repeated Flexible Bronchoscopy(RFB))

  • 이홍렬;문태훈;조재화;류정선;곽승민;조철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8권3호
    • /
    • pp.365-376
    • /
    • 2000
  • 연구배경 : 굴곡성 기관지경검사가 임상에 도입된 이후 호흡기계질환의 진단 및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기관지경검사를 2회 이상 시행하게 되는 경우를 드물지 않게 경험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가지 적응증을 설정하여 전향적으로, 기관지경검사를 반복적으로 시행한 후 결과를 분석하여 이 검사의 임상적 유의성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인하대의대 부속병원에서 1996년 7월부터 1998년 11월까지 굴곡성 기관지경검사를 진단적, 또는 치료적인 목적으로 2회 이상 시행한 15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굴곡성 기관지경검사를 반복적으로 시행하는 적응증은 1) 확진을 위해, 2) 객혈의 부위나 원인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경우, 3) 경과 관찰이나 재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경우, 4) 치료 목적의 시술을 위한 경우 등으로 분류하였고 각각의 경우에 합당한 환자에서 전향적으로 검사를 시행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 과 : 반복적 기관지경검사는 23.0%의 비교적 높은 빈도를 보였고 악성질환이나 세포형을 확진하기 위한 검사는 25예로, 이중 2예는 세번째 기관지경검사에서, 3예는 외과적 절제술로 확진되었다. 객혈환자에서는 53.8%에서 출혈부위를 확인하였다. 소세포폐암환자중 3예에서 흉부전산화단층촬영술로도 확인되지 않았던 병변이 잔존 또는 재발한 것올 발견하였으며 병변부위가 협착된 소견을 보였던 기관지결핵 환자에서 다시 시행한 결과 66.7%에서 더 악화된 소견을 보였다. 치료목적으로 다시 시행한 굴곡성 기관지경검사는 모두 126회이었고 이중 기관지 흡인이 69.8%로 가장 많았다. 기관지경검사를 시행하였을 때의 합병증은 검사를 반복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악성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검사에서는 21예중 85.7%의 진단율올 보였기 때문에 적절하게 선택된 경우에 유용하였으며 적극적인 검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소세포폐암에서는 경과 관찰이나 재발 여부를 확인하는 데에 유용할 가능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객혈이나 기관지결핵 환자에서는 진단이나 치료, 그리고 경과와 명확한 관계가 없기 때문에 반복적인 기관지경검사의 유의성올 확인할 수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