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nchogenic cysts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16초

선천성 낭성 폐질환의 수술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Congenital Cystic Lung Disease)

  • 위진홍;이양행;한일용;윤영철;황윤호;조광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3호
    • /
    • pp.335-342
    • /
    • 2008
  • 배경: 선천성 낭성 페질환은 드문 질환군으로 발생학적 특징 및 임상적 특징이 유사하나 때로는 그 양상이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기에 종종 감별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많고 대부분의 경우 외과적인 처치를 요한다. 대상 및 방법: 1993년부터 2006년까지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흉부외과 교실에서 선천성 낭성 폐질환로 수술 받은 3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병상 기록을 통하여 임상양상, 수술 방법, 병리학적 소견, 술 후 이환율 및 사망률 등을 후향적 조사하였다. 결과: 남녀 비는 2:2:16였고, 생후 1개월부터 51세까지로 평균 20.8세였다. 주 증상은 감염에 의한 발열, 기침, 객담이 19예, 호흡곤란이 7예, 가슴불편감이 8예, 객혈이 4예 등이었고, 증상이 없었던 경우가 8예였다. 전례에서 진단을 위한 컴퓨터 단층촬영을 시행하여 수술을 계획하였으며, 외과적 절제를 시행하였다. 28예의 환자에서 폐엽 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8예에서 단순 병변절제술을, 2예에서 폐구역 혹은 페쐐기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폐격리증은 10예, 선천성 낭종 유선종 기형이 15예, 기관지성 낭종이 11예였으며, 선천성 엽기종이 2예였다. 전례에서 병리학적 검사로 확진하였다. 합병증으로는 상처부위 감염 6예, 유미흉 2예, 척골신경병증 1예가 발생하였으나, 모두 특별한 문제없이 치유되었다. 결론: 본 저자는 선천성 낭성 폐질환을 진단 즉시에 수술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식도(食道)와 연결(聯結)되고 기관지점막(氣管枝粘膜)으로 덮힌 Foregut낭종(囊腫) -증례보고(症例報告) 및 그 이상생성(異常生成)의 발생학적(發生學的) 고찰(考察)- (Foregut Cyst Communicated with Esophagus, Lined by Bronchial Mucosa -A case report and embryologic base of its maldevelopment-)

  • 장재천;조길호;황미수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권1호
    • /
    • pp.139-144
    • /
    • 1984
  • 식도(食道)와 연결(聯結)되고 기관지점막(氣管枝粘膜)으로 내면(內面)이 덮여있는 foregut낭종(囊腫) 일례(一例)를 증례보고(症例報告)하고 그 이상생성(異常生成)의 발생학적(發生學的) 근거(根據)를 고찰(考察)하였다. 실제(實際)로 연결부위(聯結部位)와 그 구성물질(構成物質) 및 세포(細胞)만으로 호흡기낭종(呼吸器囊腫)인지 장관성낭종(腸管性囊腫)인지 확연(確然)히 구분(區分)하기는 어려운 경우가 많고 그 이유(理由)는 태생기(胎生期) 식도점막(食道粘膜)은 보투 11국(局)까지 심지어 6개월(六個月)까지 원시(原始) foregut의 점막(粘膜)으로 구성되고 또한 기관지점막(氣管枝粘膜)인 직모성(織毛性) 상피세포(上皮細胞)로 구성(構成)되기 때문이며 또 원시(原始) foregut이 기관(氣管) 및 기도(氣道)로 분지(分枝)하는 과정(科程)에서 생기는 발아(發芽)의 불완전(不完全), 비정상(非正常) 발아(發芽)의 부위(部位), 시기(時期) 등(等)에 따라 기관지성(氣管枝性)과 소화기성낭종(消化器性囊腫)사이의 아주 다양(多樣)한 여러 변이(變異)가 다 발생가능(發生可能)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낭종(囊腫)이 기관지성(氣管枝性)인지 소화기성(消化器性)인지를 구분(區分)하는 일반적(一般的)인 동의점(同意點)으로는 연결부위(聯結部位)에 관계(關係)없이 장관성점막(腸管性粘膜)이 전체적(全體的) 혹(或)은 부분적(部分的)으로 발견(發見)되면 장관성낭종(腸管性囊腫)의 범주(範疇)로, 그러나 연골조직(軟骨組織)을 가지고 있으면 호흡기성낭종(呼吸器性囊腫)으로 분류(分類)할 수 있겠고 그 중간(中間)에 어느 쪽으로 분류(分類)할것인지 결정(決定)하기 곤란(困難)한 다양(多樣)한 많은 변이(變異)가 있을수 있다고 사료(思料)되는 바이다.

  • PDF

종격동 질환의 비디오 흉강경 수술 (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for Mediastinal Lesions)

  • 김연수;김광택;손호성;김일현;이인성;김형묵;김학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호
    • /
    • pp.40-45
    • /
    • 1998
  • 종격동은 기관, 식도, 심장 및 주요혈관 등 주장기와 조직으로 이루어진 곳으로 다양한 병변이 발생하며, 종격동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서 외과적 접근방법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해왔다. 최근 흉강경수술 개발은 종격동질환 진단 및 치료에서 새로운 효과적인 수기로 평가받고있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흉부외과에서는 1992년 3월부터 1997년 4월까지 종격동의 병변에 33명의 환자에서 비디오 흉강경술을 시행하였다. 환자는 남자가 16명 여자가 17명이었으며 연령은 14세부터 69세였고 평균 42세였다. 대상이된 종격동 질환의 해부학적 위치는 전종격동 14례, 중종격동 5례, 후종격동 11례, 상종격동 3례였다. 종격동 질환은 신경초종 9례, 낭성기형종이 5례, 심막 낭종 4례, 신경절신경종 2례,흉선 2례, 흉선낭종 2례, 흉선종 1례, 식도평활근종 2례, 유피종 1례, 지방종 1례, 악성 림프종 1례, 기관지 원성 낭종 1례, 심막 삼출 1례, Boerhaave's병 1례였다. 수술중 작업 창이 필요했던 경우가 6례였다. 개흉수술로 전환한 경우는 6례(24%)로 종양이 커서 개흉수술 전환이 필요했던 경우가 1례, 심한유착으로 인한 개흉수술 전환이 3례, 흉강경으로 접근이 어려웠던 경우가 2례있었다. 평균 수술 시간은 116분($\pm$56분)이었다. 수술후 흉강 드레인 거치기간은 평균 4.7일이었다. 수술후 평균 입원일수는 8.7일이었다. 종격동 각부위의 종양 및 염증성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비디오 흉강경의 적용이 가능하였으며,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종격동 종양 절제술은 안전성, 수술후 통증경감 및 빠른회복 등의 장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