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iler feeds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9초

Effects of Vitamin A on the Antioxidant Systems of the Growing Chicken

  • Surai, P.F.;Kuklenko, T.V.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9호
    • /
    • pp.1290-1295
    • /
    • 2000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effects of the increased dietary vitamin A supplementation on the vitamin A, vitamin E and ascorbic acid concentrations in the plasma and liver and activities of some enzymes in the liver of the growing chicken. One hundred and twenty female chickens at 4 weeks of age were divided in 6 equal groups in accordance with their body weight. They were housed in cages and fed on standard wheat-barley-based broiler diet balanced in the major nutrients. Vitamin A was supplemented in the form of retinyl acetate. Control diet was supplemented with 10 IU/g and experimental feeds were supplemented with 50, 100, 500, 1000 and 2000 IU/g. At days 42 and 56 of the development 8 chickens from each group were killed, plasma and liver were collected for vitamin and enzyme analyses. The increased vitamin A supplementation was associated with its increased accumulation in the liver and with a reduction of ${\alpha}-tocopherol$ concentrations in the plasma and liver. The blood plasma was more resistant to vitamin A concentration changes and the retinol level was elevated only when the vitamin A dose exceeded 100 IU/g feed. Ascorbic acid concentration in the liver was elevated when moderately high vitamin A supplementation was used but significantly decreased at the highest vitamin A dose. Similar changes were observed with glycogen concentration in the liver. Activities of hexokinase, glucose-6-phosphatase and lactate dehydrogenase in the chicken liver were also dependent on vitamin A supplementation, decreasing with highest vitamin A doses. Therefore the observations showed that the vitamin A excess compromises antioxidant system of the growing chickens suggesting that prooxidant activity may be responsible for at least part of the toxicity of vitamin A.

반건식 방법으로 살균$\cdot$숙성된 남은 음식물의 공정별 화학적 성분 변화 및 최적의 양돈 사료배합비 도출 (Chemical Composition Change of Pasteurized and Cured Food Waste Using a Semi-dehydration Method and Optimal Feed Formulation for Swine)

  • 백용현;지경수;서인준;곽완섭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1-70
    • /
    • 2005
  • 본 실험은 남은 음식물에 유기성 부산물인 육계분, 제과부산물, 밀기울, 맥강 등을 주요 수분흡수제 또는 영양 보충제로 혼합한 후 rotary drum 방식을 이용하여 양돈 사료화 하는데 있어서 이상적인 배합비 도출을 위한 공정단계별 사료의 영양적 flow를 4차 시험에 걸쳐서 추적하였다. Rotary dm 방식을 이용한 살균 및 숙성 과정을 거치면서 영양소의 변화 폭은 매우 낮았으며, 살균 및 숙성 처리 후의 건물 손실율은 $8{\~}15\%$ 수준이었다. 시험별로 영양소 변화는 혼합되는 사료 원료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남은 음식물, 퇴적발효육계분, 제과부산물, 맥강의 최적 혼합 비율은 45: 10: 22.5:22.5 이었고, 이때 사료간의 뭉쳐지는 현상을 극복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rotary durm 방식으로 살균하고, 숙성한 남은 음식물 혼합물은 양돈 사료로서의 충분한 사료 영양적 가치가 있었다.

  • PDF

농산업부산물들에 대한 배출 현장 조사 및 사료적 가치 평가 (On-site Output Survey and Feed Value Evaluation on Agro- industrial By-products)

  • 곽완섭;윤정식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2호
    • /
    • pp.251-264
    • /
    • 2003
  • 본 연구는 산업체에서 발생되는 총 19종 부산물들의 동물사료로의 활용성을 증대시킬 목적으로 유기성 부산물들의 배출 현장을 방문하여 부산물 발생 및 이용 현황을 조사하고, 각각의 화학적 특성을 평가하고, 분석된 화학적 성분들 중에서 부산물 사료의 동물 소화율을 예측할 수 있는 신뢰성 있는 지표를 발굴하고, 사료 배합비 설계 시 실제 분석치 대신 문헌 성분표상의 수치 이용의 위험성을 진단하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실험 결과, 부산물들의 발생 현황 및 이용 현황은 매우 다양하였다. 부산물들을 영양적 주성분에 따라 분류하였을 때, 과일가공부산물(사과박, 감껍질, 배박, 포도박)과 제과부산물은 에너지 사료에 속하였고, 비지, 동물성 사료(혈액, 우모분, 닭내장), 유가공슬러지는 단백질 사료에 속하였으며, 대두피, 버섯잔사, 맥아피, 폐지, 육계분은 조사료에 속하였다. 반추위내용물과 식당 원 남은 음식물의 영양적 특성은 각각 소 TMR사료와 양돈용 배합사료 성분에 근접하였다. 대두박과 비교해서 아미노산 함량은 혈액과 우모분은 상대적으로높았고 (P<0.05), 맥아근, 유가공 슬러지, 식당원 남은 음식물들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P< 0.05). 단백질 원 부산물사료들의 펩신 소화율은 66~99%의 범위에 속하였다. 부산물 종류에 상관없이 in vitro 건물 소화율은 식당 원 남은 음식물, 제과부산물, 사과박, 대두피, 배박, 감껍질, 맥아피, 맥아근, 비지, 포도박, 반추위 내용물, 가금부산물, 육계분, 폐지, 버섯잔사, 유가공 슬러지, 우모분, 혈액의 순으로 높았다 (P <0.05). In vitro 건물 소화율은 화학성분들 중에서 비섬유성 탄수화물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r=0.68)를 보였으며, 이는 비섬유성 탄수화물이 부산물 사료들의 소화율 예측 시 신뢰성 있는 지표로 이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부산물 사료들의 실제 화학 분석치와 문헌에 제시된 성분표 상의 수치간의 차이는 큰 편이었다. 따라서 동물 사료 내에 다량의 부산물 사료를 이용할수록 동물 생산성의 극대화를 위해서는 실제 분석치의 이용이 필수적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활성효모 첨가가 산란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ive Yeast(Saaccharomyces cerevisiae) Supplementation on the Performance of Laying Hens)

  • 유종석;백인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79-191
    • /
    • 1990
  • 활성효모의 첨가가 산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5개의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1과 2는 하절기에 실시하였는데 시험 1에서는 37주령의 Dekalb-Delta 산란계, 시험 2에서는 100주령의 환우계 Nick-Chick Brown 산란계를 공시하였다. 각 시험에 있어서 240수를 2처리 6반복으로 반복당 20수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시험사요는 대조구($T_1$)와 괄기효모 첨가수준이 0.05%인 첨가구($T_2$)로 하여 시험 1은 4주간, 시험 2는 3주간에 걸쳐서 실시하였다. 3개의 시험은 동절기에 실시하였는데 시험 3과 4는 각각 54영 및 52주령의 Hy-Line산란계, 시험 5는 36주령의 육용종계를 공시하였다. 시험은 각각 540수를 3처리 6반복으로 반복당 30수적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시험사료는 대조구($T_1$), 활성순모 0.05% 첨가구($T_2$) 및 0. 1 % 첨가구($T_3$)로 하여 시험 3과 4는 6주간 및 9주간 그리고 시험 5는 4주간에 걸쳐서 실시하였다. 시험 4는 시험사료를 3주마다 회전시켰을 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라틴 방각으로 배치하였다. 시험계는 일반농가에서 사육되었으며, 시험사료는 일반시중사료를 사용하였다. 시험 1에서 산란율은$T_2$가 높았으며(P<0.05), 4주간의 평균에서는 유의차가 없었다. 사료효율은 2주에서 고도의 유의차가 있었지만(P<0.01), 4주간의 평균에서는 유의차가 없었다. 난중과 연ㆍ파난율 및 사망율에서는 유의차가 없었다. 시험 2에서 산란율은 $T_2$가 높았으며(P<0.05), 사요악률은 2주와 3주에서 $T_2$가 유의하게(P<0.05, P<0.01)좋았으나 3주간의 평균에서는 유의차가 없었다. 연난발생률은 $T_2$가 높았지만(P<0.05) 1외 다른 조사항목에서는 유의차가 없었다. 시험 3에서 산란율은 처리간에 유의차가 있었고(P<0.05), $T_3$$T_2$보다 그리고 $T_2$$T_1$보다 높았다. $T_1$$T_2$의 난중은 $T_3$보다 무거웠고(P<0.05), $T_2$와 의 사료섭취양은$T_1$에 비해 6주에서 높았지만 (P<0.05), 전 기간 평균에서는 유의차가 없었다. 연난발생율은 처리간에 고도의 유의차가 있었으며(P<0.01). $T_1$$T_3$보다 높았고, $T_3$$T_2$보다 높았다. 사료효율, 연난발생률. 사망율에서는 유의차가 없었다. 시험 4에서 산란율은 활성효모 첨가수준을 증가시킬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지만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 그외 다른 조사항목에서도 유의차는 없었다. 시험 5에서 육용종계의 산란율은 $T_3$$T_1$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사료섭취양은 3주에서는 $T_3$$T_1$ $T_2$보다 높았지만(P<0.05) 전 기간 평균에서는 유의차가 없었다. 수정률 및 부화율은 대조구보다 첨가구가 높은 경향이 있었다

  • PDF

Standardized Ileal Amino Acid Digestibility of Commonly Used Feed Ingredients in Growing Broilers

  • Ullah, Zafar;Ahmed, Gulraiz;Nisa, Mehr un;Sarwar, Muhammad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9호
    • /
    • pp.1322-1330
    • /
    • 2016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standardized ileal amino acid digestibility (SIAAD) of commonly used feed ingredients in poultry diets in Pakistan. These feed ingredients included corn, rice broken (RB), rice polishings (RP), wheat bran (WB), sunflower meal (SFM), cottonseed meal (CSM), guar meal (GM), soybean meal (SBM) from India and Argentine and fish meal (FM). The SIAAD of each ingredient was determined in triplicate using 21-days-old broilers. Day-old male broiler chicks (Hubbard${\times}$ Hubbard) were reared on corn-SBM based diet from 1 to 13 days and thereafter birds were fed experimental diets from day 14 to 21. Each diet was fed to 36 birds kept in six replicate cages, each cage had six birds. In cereals, the SIAAD of corn's amino acid (AA) (90.1%) was similar (p>0.05) to RB (89.0%). Isoleucine (97.8%) and lysine (96.9%) were highly digestible AA in corn and RB, respectively. Among cereal-by products, WB's SIAAD (76.9%) was same (p>0.05) as RP (71.9%). Arginine from WB (82.5%) and RP (83.2%) was highly digestible. However, threonine in WB (72.7%) and leucine in RP (69.6%) were the lowest digestible AAs. In plant protein meals, AAs from Argentine-SBM (85.1%) and Indian-SBM (83.4%) had higher (p<0.5) SIAAD than other protein meals. However, SIAAD of SFM (77.1%) and CSM (71.7%) was intermediate while GM (60.3%) exhibited the lowest (p<0.05) SIAAD among all ingredients. Arginine from GM (76.9%), CSM (85.8%), SBM-India (89.5%) and SBM-Argentine (91.5%) was highly digestible from indispensable AAs. In SFM, methionine (91.4%) SIAAD was the greatest. The average SIAAD of FM was 77.6%. Alanine from FM had the highest (84.0%) but cysteine (62.8%) had the lowest SIAAD. In conclusion, cereals i.e. corn and RB had higher (p<0.05) SIAAD of the cereals by-products. The SIAAD of RP and WB was same (p>0.05). The SBM from plant protein meals had higher (p<0.05) SIAAD than other studied feed ingredients. However, the GM had the lowest (p<0.05) SIAAD among protein meals.

Effect of multi-enzymes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meat quality, ileal digestibility, digestive enzyme activity and caecal microbiota in broilers fed low-metabolizable energy diet

  • Yaqoob, Muhammad Umar;Yousaf, Muhammad;Iftikhar, Mubashir;Hassan, Safdar;Wang, Geng;Imran, Safdar;Zahid, Muhammad Umer;Iqbal, Waqar;Wang, Minqi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7호
    • /
    • pp.1059-1068
    • /
    • 2022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using low energy diet with multi-enzymes supplementation on different biological parameters in broilers. Methods: Three hundred Arbor Acres broiler chick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Cont, standard metabolizable energy(ME); L-ME, ME reduced by 50 kcal/kg without enzyme; and L-ME-MES, L-ME diet was supplemented with multi-enzymes) with five replicates per group (20 chicks per replicate) at the start of second week. Grower and finisher diets were formulated according to breed specific guide and offered with free access in respective phase (two weeks for grower [8 to 21 d]; two weeks for finisher [22 to 35 d]). External marker method was used to measure the nutrient digestibility. After feeding trial, fifteen birds (one bird per replicate) were selected randomly and slaughtered for samples collection. Results: The results exhibited no effect (p>0.05) of dietary treatments on all parameters of growth performance, carcass traits, relative weight of internal organs except bursa and overall parameters of thigh meat quality. Relative weight of bursa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L-ME than control. Multi-enzymes supplementation in low-ME diet significantly (p<0.05) improved the breast meat pH 24 h, digestibility of crude protein, duodenum weight and length, jejunal morphology, counts of Lactobacillus spp. and Bifidobacterium spp., lipase and protease activities than control. Jejunum length was increased in both L-ME and L-ME-MES treatments than that of the control (p<0.05). Breast meat cooking loss and color lightness was lower in L-ME (p<0.05) than control. Conclusion: It can therefore be concluded that broilers could be reared on low energy diet with supplementation of multi-enzymes without compromising the growth performance. In addition, it is beneficial for other biological parameters of broil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