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ewing conditions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1초

Optimal Conditions for Propagation in Bottom and Top Brewing Yeast Strains

  • Cheong, Chul;Wackerbauer, Karl;Lee, Si-Kyung;Kang, Soon-Ah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4호
    • /
    • pp.739-744
    • /
    • 2008
  • The method of yeast propagation has an influence on yeast physiology, fermentation ability, flocculation rate, and taste stability of beer. In order to find optimal conditions for propagation, several parameters were investigated in combinations. The bottom brewing yeast grown at $10^{\circ}C$ indicated that a higher flocculation capacity during the $1^{st}$ fermentation. However, the taste stability and the aroma profile were not affected by parameters of propagation investigated. The beer quality was rather affected by storage duration. In addition, a correlation between tasting and chemiluminescence was found at the beer, which was produced using bottom brewing yeast. The propagation at $10-25^{\circ}C$ with addition of zinc ion indicated the best condition to improve fermentation ability, flocculation rate, and filterability for bottom brewing yeast, whereas the propagation at $30^{\circ}C$ with addition of zinc ion showed the best condition to increase fermentation ability for top brewing yeasts.

시판 정제효소제를 이용한 탁주제조에 관한 연구 (제일보) 유산균의 첨가결과 (Studies on Brewing Conditions of Takjoo with Commercial Enzyme. (part 1) Influence of Lactobacilli in Takjoo Brewing.)

  • 강효원;권태종;이일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5-39
    • /
    • 1975
  • 시판 정제 amylase 효소제를 이용하여 탁주양조때 탁주의 특징인 산미를 부여하기 위하여 유산균 Lactobacillus bulgaricus를 첨가하여 검토한 결양 1) L. bulgaricus의 생육 적온인 45$^{\circ}C$에서 8시간과 16시간 유산발효시킨 후에 효모를 첨가하여 만든 탁주류의 산도는 11.6과 13.9로서 너무 과양의 산이 생성되므로 탁간무로서는 불적당하었다. 2) 탁주류의 제조에서 유산난을 효모와 함께 3$0^{\circ}C$에서 접종하여 발효시킴으로서 산도8, 정도 12 vol%의 적당한 탁주류를 얻을 수 있었다. 3) 정제효소제와 유산균을 이용하여 탁주를 제조할때는 유산어과 효모의 동시접종에 앞서 당화효업의 작용최적온도에서 6시개동안정도 당화시킴이 합리적이다.

  • PDF

탁주발효에 있어서 발효미생물군의 변동에 대하여 (A study on the microflora changes during Takju brewing)

  • 신용두;조덕현
    • 미생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53-64
    • /
    • 1970
  • In order to study ecology of microorganisms during Takju brewing, microflora changes were examined fromm the start to the sixth day of Takju fermentation in 24 hours intervals. Takju made from rice, flour and dried sweet potato in a liter volume open container at the laboratory and a sanple of Takju brewing factory were studied for their microflora and their changes during fermentationl together with a sample of Kokja.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The followings were the identified microorganisms in Kokja. The molds ; Absidia spinosa, Aspergillus parasiticus. The yeasts ; Candida melinii, Candida Solani, Hansenula anomala. The bacteria ; Luctobacillus casei, Leuconostoc mesenteroides, Bacillus subtilis, Bacillus pumilus. 2. Torulopsis inconspicua, Lactobacillus casei, Leuconotoc mesenteroides, Bacillus subtilis, Bacillus pumilus were isolated from main mash of laboratory-made Takju samples. The yeast, Torupsis inconspicua which was not present in Kokja and, probably of a contaminant yeast, dominated the yeast flora of Takju mash of rice, flour and sweet potato of labotatory brewing. The laboratory brewing lost also always showed large popul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flora. 3. None of the wild yeasts which were present in Kokja appeared in Takju mashes. The Kokja appears to be of no use as the yeast source for Takju fermentation. Also the Kokja appears to be of not so effective amylolytic and proteolytic enzyme sources considering the microflora characteristics. Probably the major role of Kokja in Takju fermentation may be to contribute in taste formation. 4. Inoculation of Sacharomyces cerevisiae into the mash to the level of $10^7$ ml at the start of fermentation greatly changed the ecological aspects eliminating conditions of rather slow rising of natural contaminant yeast populaiton and fermentation which might give rise to prosperity of lactic acid and Bacillus bacteria that would be avoidable. 5. Examination of microflora of the large factory scale Takju fermentation showed the quite similar pattern of microflora and their changes to that of the cultured yeast-inoculated laboratory batch Takju fermentation. The cultured yeast dominated as the only predominant microflora, and the lactic acid bacteria flora were completely suppressed and aerobic bacteria, greatly. Probably this may be the regular microflora pattern of normal Takju fermentation. The role of lactic acid bacteria and aerobic bacteria in Takju fermentation may not be clear yet from this experiment alone.

  • PDF

발효 인삼주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Ginseng Wine)

  • 안용근;이석건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51-159
    • /
    • 1996
  • To develop a ginseng wine, the brewing conditions and sensory evalution of the wine were studied. The ginseng, ginseng marc and red ginseng marc can be made into wine by ethanol fermentation with Saccharomyces cerevisa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ginseng concentration was, the faster the brewing velocity became. The ginseng marc wine brewed with 10% ginseng marc and 25% sugar was a great favorite The results from the mixture of ginseng and ginseng marc revealed that the mute the content of ginseng was, the faster the velocity of brewing became. It took 27 days for a wine from 10% ginseng marc to be brewed Into 12% ethanol, 10% ginseng took 10days and red ginseng took 15 days. Among these, a wine from 10% ginseng was superior to others in flavor, color and taste. And the wine from 6.7% red ginseng was favorite. Contents of the favorite wine from ginseng marc were 80mg/ml of reducing sugar, 2.6 of acidity, 12% of ethanol, 28mg/ml of saponin, and it's pH was 3.5. Contents of the favorite wine from red ginseng marc were 58mg/ml of reducing sugar, 2.8 of acidity, 12% of ethanol, 44mg/ml of saponin, and it's pH was 2.8.

  • PDF

Change of Ginsenoside Composition in Ginseng Extract by Vinegar Process

  • Ko, Sung-Kwon;Lee, Kyung-Hee;Hong, Jun-Kee;Kang, Sung-An;Sohn, Uy-Dong;Im, Byung-Ok;Han, Sung-Tai;Yang, Byung-Wook;Chung, Sung-Hyun;Lee, Boo-Yo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4호
    • /
    • pp.509-513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new preparation process of ginseng extract using high concentrations of ginsenoside $Rg_3$, a special component in red ginseng. From when the ginseng saponin glycosides transformed into the prosapogenins chemically, they were analyzed using the HPLC method. The ginseng and ginseng extract were processed with several treatment conditions of an edible brewing vinegar. The results indicated that ginsenoside $Rg_3$ quantities increased over 4% at the pH 2-4 level of vinegar treatment. This occurred at temperatures above $R90^{\circ}C$, but not occurred at other pH and temperature condition. In addition, the ginseng and ginseng extract were processed with the twice-brewed vinegar (about 14% acidity). This produced about 1.5 times more ginsenoside $Rg_3$ than those processed with regular amounts of brewing vinegar (about 7% acidity) and persimmon vinegar (about 3% acidity). Though the white ginseng extract was processed with the brewing vinegar over four hr, there was no change for ginsenoside $Rg_3$. However, the VG8-7 was the highest amount of ginsenoside $Rg_3$ (4.71%) in the white ginseng extract, which was processed with the twice-brewed vinegar for nine h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inseng treated with vinegar had 10 times the quantity of ginsenoside $Rg_3$, compared to the amount of ginsenoside $Rg_3$ in the generally commercial red ginseng, while ginsenoside $Rg_3$ was not found in raw and white ginseng.

분쇄도 및 로스팅 조건이 수프리모 커피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upremo Coffee according to Grinding and Brewing Conditions)

  • 강난기;민관식;강명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89-96
    • /
    • 2015
  • 배전도와 분쇄도를 달리하여 가공한 수프리모 커피 추출물의 일반성분, pH, 당도, 색도 및 미네랄 조성 등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수분 함량은 약배전보다 강배전 시 감소하였고, 탄수화물은 강배전 후 감소하였다.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은 강배전 후 증가하였다. pH의 변화는 약배전보다 강배전 시 높아졌고, 당도와 총 당 함량은 배전강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밝기 정도를 나타내는 L값은 생두는 강배전할수록 낮아지고,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과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약배전에서 높고, 강배전에서 낮아졌다. 배전도가 클수록 L값, a값, b값은 낮아지고 분쇄도가 클수록 L값은 낮아졌으며, a, b 값은 배전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프리모 커피의 Ca, Fe, K, Na, P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K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총 식이섬유 함량은 약배전 약분쇄 시 가장 높아 다른 배전 조건과 비교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은 강배전 약분쇄 4.25 g/100 g, 불용성 식이섬유소는 약배전 약분쇄 63.49 g/100 g으로 가장 높아 배전 조건에 따라 식이섬유소 함량이 유의적으로 다르게 나타났다. 수프리모 커피에 함유되어 있는 지방산 중에 특히 palmitic acid 및 linoleic acid의 함량이 다른 지방산에 비해 높게 측정되었다. 하지만 배전도와 분쇄도에 따른 지방산 조성에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배전도와 분쇄도를 달리한 수프리모 커피의 유기산은 acetic acid, propionic acid, oxalic acid, citric acid, fumaric acid가 검출되었다. 특히 수프리모 커피의 생두는 휘발성을 갖는 유기산인 acetic acid가 높았고, 배전강도와 분쇄도를 달리하여 가공 처리한 수프리모 커피는 fumaric acid의 함량이 높게 측정되었다. 본 연구 결과 커피 품종에 따라 배전도와 분쇄도를 달리하면 다양한 이화학적인 특성을 지닌 커피의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청주 제조 중 Ethyl Caproate 생성에 미치는 청주효모 Esterases의 영향 (Effect of Esterases from Rice Wine Yeast on the Ethyl Caproate Production during Rice Wine Brewing.)

  • 이종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50-54
    • /
    • 1998
  • 청주가 가지고 있는 향기는 청주의 품질을 결정하는 요인 중의 하나이다. 청주의 향기는 발효과정 중 주로 효모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고, ethyl caproate는 향기성분 중의 하나로 esterase가 생성에 관여하고 있는 효소의 하나로 보고되었다. 반면 청주 제조에 사용되는 청주효모와 코지균은 ethyl caproate의 생성과 분해 활성을 가진 esterase를 생산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청주 제조 중 발생하는 ethyl Caproate의 생성에 미치는 청주효모와 코지균이 가지고 있는 esterase들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코지균과 청주효모의 생장 중 발생하는 ethyl caproate 합성과 분해에 관련하고 있는 esterase들의 활성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청주효모가 가지고 있는 ethyl caproate 합성 esterase는 caproate에 의해서 유포되고, 분해 esterase는 ethyl caproate에 의해서 유도되지만 caproate에 의해서 저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지균의 ethyl caproate합성과 분해 esterase활성은 균체의 성장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나 ethyl caproate 생성의 기질이 되는 caproate와 ethanol이 활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코지균의 배양액에서 ethyl caproate 합성 esterase의 활성이 측정됨에도 불구하고 0.01 ppm까지 ethyl caproate를 검출할 수 있는 분석조건 하에서 배지 중의 ethyl caproate는 검출되지 않았다. 본 실험의 결과를 고려한다면 청주의 제조과정 중 생성되는 ethyl caproate는 코지균의 esterase에 의해서는 거의 생성되지 않고 당화과정 후 첨가되는 청주효모가 주로 생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청주효모의 증식과정 중에는 효모의 생장과 더불어 ethanol이 생성되어 코지균의 생장을 억제한다. 따라서 청주제조 중 생성되는 ethyl caproate는 청주효모의 esterase에 의해 생산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호박술에 관한 연구 (Studies on a Pumpkin Wine)

  • 안용근;이석건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60-166
    • /
    • 1996
  • In order to develop a pumpkin wine, the brewing conditions and sensory evalution of the wine were studied. The pumpkin can be made into wine by ethanol fermentation with Saccharomyces cerevisae. When the mash was adjusted 15aA pumpkin and 25% sugar and fermented for 15 days, the product was highly evaluted in color, flavor and taste. Contents of the refined pumpkin wine were 80mg/ml of total sugar, 70mg/ml of reducing sugar, 2.1 of acidity and 12% of ethanol, and it's pH was 3.6.

  • PDF

탁주효모(濁酒酵母)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2보(第2報)) -탁주료의 발효(醱酵)에 미치는 효모(酵母)의 종류(種類)와 담금 조건(條件)의 영향(影響)- (Studies on Takjoo Yeasts (Part II) -Influences of Kind of Yeast Strains and Brewing Conditions of Fermentation of Takjoo Mash-)

  • 박윤중;이석건;오만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6권2호
    • /
    • pp.85-93
    • /
    • 1973
  • 탁주료의 발효(醱酵)에 미치는 효모(酵母)의 종류(種類)와 담금조건(條件)의 영향을 검토(檢討)하여 다음의 결과(結果)를 얻었다. 1. 효모(酵母)의 종류(種類)와 료중의 효모수(酵母數) (1) 일단료를 $20^{\circ}C$에서 $1.5{\sim}2.5$일간(日間) 발효(醱酵)시키거나 $25^{\circ}C$$30^{\circ}C$에서 $1{\sim}2$일간(日間) 발효(醱酵)시킨 경우 효모분포(酵母分布)에 있어서 탁주효모(濁酒酵母)인 strain $D_m-1$과 청주효모(淸酒酵母)인 strain No.7사이에 별(別)로 차(差)가 없었다. (2) 이단료를 고온(高溫)($30^{\circ}C$ 또는 $35^{\circ}C$)에서 발효(醱酵)시킨 경우에는 저온발효(低溫醱酵)의 경우에 비(比)하여 료중의 효모수(酵母數)가 감소(減少)되었으나 탁주효모(濁酒酵母)인 strain $D_m-1$의 료중의 생존효모수(生存酵母數)는 청주효모(淸酒酵母)인 strain. No.7의 것보다 훨씬 많았다. 2. 효모(酵母)의 종류(種類)와 숙성료의 성분(成分) (1) 이단료를 고온(高溫) ($30^{\circ}C$ 또는 $35^{\circ}C$)에서 발효(醱酵)시킨 경우 선정(選定)한 탁주효모(濁酒酵母)(strain $D_m-1$, strain Y-1)을 使用한 숙성료의 주도(酒度)는 타효모(他酵母)(strain No.7, strain No.6, strain No.396, 및 strain No.1)를 사용(使用)한 것보다 상당(相當)히 높았다. (2) 료의 산도(酸度)는 strain $D_m-1$과 strain No.7사이에 약간 차이(差異)가 있었다. (3) 이단료를 고온(高溫) ($30^{\circ}C$ 또는 $35^{\circ}C$)에서 발효(醱酵)시킨 경우 strain $D_m-1$을 사용(使用)한 료의 Formol-N는 strain No.7을 사용(使用)한것보다 상당(相當)히 적었다. 3. 담금조건(條件)과 료의 주도(酒度) (1) 밀기울국(麴)의 첨가량(添加量)은 원료(原料)에 대하여 3%가 적당(適當)하였으며 밀가루국(麴)과 혼용(混用)할때에는 밀가루국(麴) 20%, 밀기울국(麴)은 $1{\sim}2%$를 사용(使用)하는 것이 적당(適當)하였다. (2) 일단료의 담금농도(濃度)를 보통(普通)것의 2배(倍)로 희석(稀釋)하여도 효모(酵母)의 증식(增殖)에 이상(異常)이 없었다. (3) 담금용수(用水) 180ml에 대하여 밀가루 $80{\sim}140g$를 사용(使用)한 경우 원료(原料)밀가루량(量)의 증가(增加)에 따라 료의 주도(酒度)가 대략(大略) 비례적(比例的)으로 올랐다. (4) 현행(現行)의 이단식(二段式)담금법(法)보다 삼단식(三段式)담금법(法)이 유리(有利)하다고 인정(認定)되었다.

  • PDF

석류즙 농축액을 첨가하여 제조한 막걸리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with Pomegranate (Punica granatum L.) Juice Concentrate Added)

  • 김봉희;은종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17-421
    • /
    • 2012
  • 최근 막걸리 소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막걸리의 기능성 및 기호도가 증진되고 있어 막걸리에 석류의 기능성을 부여하고 색택을 향상시키고자 석류즙 농축액을 이용하여 석류 막걸리를 제조하였다. 막걸리 제조를 위해 첨가 시기 및 농축액 첨가량(3, 5, 7%)을 달리하여 석류 막걸리를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석류즙 막걸리의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석류즙 농축액 첨가량이 많을수록 적정산도, 당도, 알코올 함량은 높았다. 반대로 pH 아미노산 함량은 첨가량이 많을수록 낮았으며, 석류 막걸리의 관능검사 결과 3% 석류즙 농축액을 첨가한 처리구가 단맛, 신맛, 쓴맛, 향, 색감, 전체적 기호도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석류즙 막걸리를 위한 밑술 제조 시 3% 석류즙 농축액을 첨가하여 제조한 막걸리의 품질이 가장 우수하였다.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석류즙 농축액 3%를 밑술 제조 시 첨가하여 제조하는 것이 석류 막걸리의 제조와 제조된 석류 막걸리 제품화에 있어서 가장 우수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