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east carcinoma

검색결과 588건 처리시간 0.03초

유방암에 있어서 초음파 소견의 분석 (The Analysis of Ultrasonographic Findings in Breast Carcinoma)

  • 이진욱;황미수;박복환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9권2호
    • /
    • pp.269-274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1992년 3월부터 8월까지 유방 병소로 본원에 내원하여 유방암으로 확진된 12명을 대상으로 초음파 소견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즉 종괴경계의 불규칙적인 분엽성(12/12), 종괴 내부의 저 echo(11/12), 종괴음영의 비균질성(11/12), 후방음영의 감소(7/12), 변연 echo의 증강(9/12), 표재층의 분열(11/12), 종괴의 전후경에 대한 횡경의 비율(T/AP<1.4 : 9/12), 소석회화(2/12), 피부의 비후(2/12) 등의 소견들이 유방암을 감별 진단하는데 도움을 주지만, 이들 소견들은 반드시 유방암에서만 관찰되는 소견들은 아니고, 유방암외의 다른 양성병변들에서도 그 빈도는 낮지만 관찰될 수 있는 소견들로서, 유방 초음파검사상의 이들 소견만으로 유방암을 정확히 감별진단하기는 힘들며, 보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X-선 유방촬영법같은 다른 영상진단법과의 상호보완을 통한 종합적인 검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다발성 원발성 악성종양: 남성 환자에서 유방의 점액성 선암과 유방외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이 병발한 증례 보고 (Multiple Primary Malignant Neoplasms: A Case Report of Breast Mucinous Carcinoma and Extramammary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in a Male Patient)

  • 김수영;이지영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3호
    • /
    • pp.729-736
    • /
    • 2021
  • 다발성 원발성 악성 종양은 한 환자에서 2개 이상의 원발성 악성 종양이 각각 독립적으로 발생하는 경우를 말한다. 저자들은 78세 남자 환자에서 동시에 발생한 유방의 점액성 선암과 유방외 림프종의 증례를 경험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환자는 2개의 만져지는 덩이를 주소로 내원하여 외과적 생검을 통해 좌측 유방의 점액성 선암과 우측 서혜부의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을 확진하였다. 이후 수술 전 시행한 PET/CT에서 좌측 혀편도의 우연종이 발견되었고, 절제 생검을 통해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을 확진하였다. 유방암 환자에서 불특정한 림프절 비대가 발견되는 경우 전이성 병변으로 간주되기 쉬우나, 이 증례의 환자와 같이 고령의 환자군에서는 림프종을 감별 진단으로 함께 고려함으로써 오진 및 치료 지연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지역 유방검사의 질환별 발생 빈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Incidence Disease Categories on Breast Medical Examination in Some Area)

  • 곽병준;임인철;지태정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0권4호
    • /
    • pp.357-363
    • /
    • 2007
  • 본 연구는 2005년 통계청의 전국 인구비율에 대한 발표를 기준으로 노인 인구 비율이 가장 낮고 광역도시 중 유방암의 조발생률과 연령표준화발생률이 가장 낮은 지역을 중심으로 외래에 내원하여 검사한 유방촬영술과 유방초음파 검사에서 질환별 발생빈도와 검사 분포를 조사하였다. 연중 유방검사 빈도는 7월과 8월에서 가장 많은 검진을 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연령별 분포는 40대가 39.8%, 30대가 32.4%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외래에 내원하여 검진한 환자 중 질환별 분포는 유방초음파 검사에서 43%가 비정상 소견을 보였다. 그 중 치밀조직과 소결절이 21.5%, 섬유낭종이 8.3%의 순으로 진단 소견을 보였다. 유방촬영술에서는 치밀조직과 소결절이 41.3%, 양성석회화가 6.4%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검사 유형별 조사에서는 유방초음파 검사가 8개 질환으로 세분되어 판독되었고 유방촬영술은 6개 질환에서 진단 소견을 보여 구체적인 질환의 명시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지역에서 외래 진료로 유방검사를 실시한 검사자 중 46%가 비정상 소견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인 여성 유방암 발생률 추정에 관한 역학적 연구 -충북지역을 대상으로- (Incidence of Female Breast Cancer in a Defined Area in Korea)

  • 유근영;박수경;성주헌;노동영;최국진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1권4호
    • /
    • pp.592-603
    • /
    • 199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incidence rate of female breast cancer in a defined area of Chungchongbuk-do in Korea. The presumptive breast cancer cases were selected from two different sources, i.e., medical utilization database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and the database from the National Cancer Registry. Medical students visited each hospital where the presumptive cases had been treated as a breast cancer patient, and made a dictation of medical record of each patient based on the claims stored in the Insurance Corporation from January to December 1995. The diagnoses in the claims included one of the following diagnostic codes; ICD-9 174-175(malignant neoplasms of the breast), 233(carcinoma in situ of the breast and genito-urinary system)or ICD-10 C50(malignant neoplasms of the breast), D05(carcinoma in situ of the breast and genito-urinary system). Each case has been confirmed as having a breast cancer by a breast surgeon through a medical record review. Age-standardized incidence rate of female breast cancer to the Korean population was estimated to be 10.5(95%confidence interval : 8.1-12.9)per 100,000 persons in 1995. Age-standardized rate to the world population was 9.8 per 100,000 persons, and the truncated rate for ages 35-64 was 27.2 per 100,000 persons. Validity of these estimates is discussing in comparison with previous methods of incidence estimation in Korea.

  • PDF

유방의 양성 및 악성 유두상 종양의 세포학적 소견의 비교 검색 (A Cytomorphologic Study of Benign and Malignant Papillary Neoplasms of the Breast)

  • 이호정;공경엽;김봉희;안세현;박정미;허주령;강신광;노재윤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7-34
    • /
    • 1999
  • Benign and malignant papillary neoplasms of the breast may be difficult to distinguish in both cytologic and histologic preparations. To define the cytologic features of benign and malignant papillary lesion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18 cases of fine needle aspirates from histologically confirmed cases of papilloma or papillary carcinoma of the breast. This study included 3 intraductal papillary carcinomas, 3 invasive papillary carcinomas, and 12 intraductal papillomas. Ail cases were evaluated for presence or absence of papillary fragments, bloody background, apocrine metaplasia, macrophages, and degree of cellularity, atypia, and single isolated columnar epithelial cells. Papillary fragments were present in all cases. The background of the smear was bloody in all 6 carcinomas, but in only 7 out of 12 papillomas. Markedly increased cellularity was present in 4 carcinomas(67%) and 7 papillomas(58%). Single cells were present in 5 carcinomas(83%) and 8 papillomas(67%). The majority of papillomas and papillary carcinomas had mild to moderate atypia, and severe atypia was noted in one case of intraductal papillary carcinoma and one case of invasive papillary carcinoma. Apocrine metaplasia was absent in all cases of papillary carcinomas, but present in 8 papillomas(57%). Macrophages were noted in 4 carcinomas and were present in all cases of papillomas. The constellation of severe atypia, bloody background, absence of apocrine metaplasia and/or macrophages were features to favor carcinoma. Malignant lesions tended to show higher cellularity and more single isolated cells. The cytologic features mentioned above would be helpful to distinguish benign from malignant papillary lesions of the breast. However, because of overlapping of cytologic features, surgical excision should be warranted in all cases on papillary lesions of the breast to further characterize the tumor.

  • PDF

유방 양성 종괴 추적 관찰 환자에게서 발견된 관상피내암 증례 보고 (A Case Report of Intraductal Carcinoma Detected in a Patient Undergoing Surveillance for Benign Breast Mass)

  • 문일봉;곽종길;전철민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743-749
    • /
    • 2023
  • 유방의 관상피내암(DCIS; ductal carcinoma in situ)은 유방의 상피세포가 악성화되었지만, 아직 정상적인 유관에 한정되어 있는 경우를 지칭하며, 최근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본 증례에서 추적관찰 2년 동안은 유방 촬영술 및 초음파 검사상 병변은 BI-RADS Category 3으로 분류되는 작은 mass가 관찰되었지만 낭성 mass 소견을 보여, 전형적인 악성 종양의 소견과는 거리가 있었으나 추적관찰 2년째에 유방초음파상 우측 유방 6시 방향에 불분명한 경계(Lobulated margin)를 보이는 저에코(hypoechoic) 종괴가 약 2.1 × 1.3 cm 크기로 보였으며 조직 검사상 관상피내암으로 진단되었다. 관상피내암은 특징적인 임상소견이 없고 초기에 양성의 임상, 영상 소견을 보일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추적관찰을 시행하는 것이 조기 진단에 중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유방촬영술과 초음파 검사로 관상피내암을 발견하는 것은 유방암 환자 전체의 예후를 좋게 하는 데에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4년 전 처음 검사 시 증상이 없으며 유방촬영상 정상이고 유방초음파상 악성 징후 없는 낭성병변이 추적관찰 중에 관상피내암의 소견인 비대칭 음영과 미세석회화, 분엽상의 mass가 관찰된 관상피내암의 증례를 보고한다.

Effects of Panax notoginseng, ginsenoside Rb1, and notoginsenoside R1 on proliferation of human breast carcinoma MCF-7 cells

  • Xie, Jing-Tian;Aung, Han H;Wang, Chong Zhi;Mehendale, Sangeeta R;McEntee, Eryn;Wicks, Sheila;Li, Jing;Yuan, Chun-Su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6권4호
    • /
    • pp.286-292
    • /
    • 2006
  •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Panax notoginseng, ginsenoside Rb1, and notoginsenoside R1 in the human breast carcinoma MCF-7 cell line. Our results indicated that both Panax notoginseng radix extract (NRE) and Panax notoginseng rhizoma extract (NRhE) possess significant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in MCF-7 cells. Compared to control group (100%), at the concentrations of 0.05, 0.5, and 1.0 mg/ml NRE, cell growth was concentration-dependently reduced to 81.0 ${\pm}$ 6.1 (P < 0.01), 34.2 ${\pm}$ 4.8 (P < 0.001), and 19.3 ${\pm}$ 1.9 (P < 0.001), respectively. Similar results with NRhE at concentrations of 0.5 and 1.0 mg/ml were obtained in these MCF-7 cells. To identify the responsible chemical constituent, we tested the antiproliferation effects of two representative saponins, ginsenoside Rb1 and notoginsenoside R1, on the MCF-7 cells. The data showed that ginsenoside Rb1 was endowed with antiproliferative properties, while notoginsenoside R1 did not have an inhibitory effect in the concentrations tested. Our studies provided evidence that Panax notoginseng extracts and ginsenoside Rb1 may be beneficial, as adjuvants, in the treatment of human breast carcinoma.

유방의 침윤성 관암종에서 핵등급 기준으로서 핵크기의 의의 (The Significance of Nuclear Size in Nuclear Grade of Invasive Ductal Carcinoma of the Breast)

  • 배영경;김동석;최혜정;구미진;이수정;이제영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1-26
    • /
    • 1999
  • To make the objective standard of nuclear size ingrading nuclear pleomorphism of invasive ductal carcinoma of the breast, we measured maximal nuclear diameter of tumor cells on imprint cytology slides and histologic sections from 65 cases by using computer-based image analysis system(Optimas 6.0). The maximal diameter of red blood cells were also measured to evaluate the ratio of maximal nuclear diameter of tumor cells to maximal diameter of red blood cells. The mean values of maximal nuclear diameter of tumor cells on imprint cytology slides and histologic sections were $7.56{\mu}m,\;7.53{\mu}m$ in nuclear grade 1, $8.92{\pm}0.98{\mu}m,\;9.02{\pm}0.74{\mu}m$ in nuclear grade 2, and $12.90{\pm}1.47{\mu}m,\;12.44{\pm}1.41{\mu}m$ in nuclear grade 3,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values of imprint cytology and histologic section. The ratio of maximal nuclear diameter of tumor cells to maximal diameter of red blood cells were 1.3-1.4:1 in nuclear grade 1, 1.6-1.7:1 in nuclear grade 2, and 2.2-2.3:1 in nuclear grade 3. These values would be guidelines for grading nuclear pleomorphism of invasive ductal carcinoma of the breast on routine surgical pathology work.

  • PDF

유두상 갑상선암에서 최소 갑상선외 침범의 의의 (Significances of Minimal Extrathyroidal Invasion in Papillary Thyroid Carcinoma)

  • 이병길;이민주;윤현조;정성후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8-11
    • /
    • 2009
  • Background and Objectives : In the TNM 6th classification system, extrathyroidal invasion of 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 has been classified into T3(minimal invasion), T4a(extended invasion), and T4b(more extensive unresectable invasion) according to the degree and it has been recognized as an important prognostic facto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rognostic significances of minimal extrathyroidal invasion in papillary thyroid carcinoma(PTC). Material and Methods : We retrospectively studied 221 patients who are underwent thyroidectomy due to PTC from September 2003 to December 2006. Fifty-four(24.4%) patients had a PTC with minimal extrathyroidal invasion(Group A) and 167(75.6%) patients had a PTC without extrathyroidal invasion(Group B). The existence of minimal extrathyroidal invasion was based on operative and pathological findings. Results : Minimal extrathyroidal invasion in PTC was related to tumor size, lymph node metastasis, and operative method(p<0.001). Bu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gender, and multifocality between Group A and B. Hashimoto's thyroiditis was observed more frequently in Group B(p=0.019). Conclusion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inimal extrathyroidal invasion is related to poor prognostic factors in PTC. Therefore, aggressive surgical approach is required when there is evidence of minimal extrathyroidal invasion in preoperative radiologic examination or operative finding.

한국인과 백인 젊은 여성 유방암 환자에서 Cyclooxygenase-2 발현과 HER-2/neu 증폭의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Cyclioxygenase-2 Expression and HER-2/neu Amplification in Korean and Caucasian Women with Early-Onset Breast Carcinoma)

  • 최두호;김은석;김용호;진소영;이동화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2권4호
    • /
    • pp.307-315
    • /
    • 2004
  • 목적: 한국인은 젊은 여성 유방암의 비율이 높으며 저자들의 선행 연구에서 HER-2/neu 과발현이 백인에 비해 높았으며 나쁜 예후 인자였다. 이 환자들을 대상으로 COX-2 발현의 비교와 HER-2/neu 과발현의 관계를 비교하고 한국인에서 COX-2의 예후인자로서의 역할을 알아보기 위해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45세 이하의 한국인 여성 유방암 환자와 같은 나이의 백인 여성 환자 60명의 파라핀 포매조직을 이용하여 COX-2 염색을 시행하였다. COX-2 발현을 판독하고 한국인과 백인의 발현 비율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한국인 환자의 추적 검사 결과와 COX-2를 관계를 조사하여 예후인자로서의 역할을 연구하였다. 결과: 판독이 가능한 전체 환자의 COX-2 발현 비율은 $27.6\%$이었으며 한국인은 $37.9\%$37.9%, 백인은 $20.8\%$로 한국인 젊은 여성의 비율이 다소 높았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p=0.090). 전체 환자의 COX-2 발현과 HER-2/neu 과발현의 상관 관계는 발견하지 못하였지만 에스트로겐 수용체 음성과 COX-2 발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p=0.046) COX-2 양성의 5년 무병 생존율은 $67.9\%$로 COX-2 음성의 $81.6\%$에 비해 낮았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다(p=0.3607). 결론: 젊은 여성 유방암 환자에서 한국인과 백인간의 COX-2 발현 비율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HER-2/neu 과발현과의 관련성도 없었으며 예후와의 관련성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에스트로겐 수용체 음성과의 관련성은 있었다. COX-2 발현과 다른 임상적 병리적 인자와의 관계나 예후인자로서의 역할을 찾기 위해 보다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며 COX-2 발현에 따라 방사선치료가 예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도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