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eads

검색결과 305건 처리시간 0.029초

밤가공공장의 밤껍질에서 밤분말의 생산에 관한 연구(IV) -밤껍질에서 분리한 분말의 수요개발-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Chestnut Powder in the inner Shell(endo carp) of a Chestnut from its Treatment Plant -Study on the Utilities of Separated Powder from Chestunt inner Shell-)

  • 전병관;박창균
    • 유기물자원화
    • /
    • 제8권4호
    • /
    • pp.111-120
    • /
    • 2000
  • 본 연구는 밤가공 과정에서 폐기물로 나오는 밤껍질에서 분리한 밤 가루의 이화학적 특성을 규명하고, 식품 자원으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해보고자 빵, 국수, 묵 등 식품을 제조하여 기호성과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밤 가루의 물결합능력은 순수한 밤에서 분리한 것보다 껍질에서 분리한 것이 약 40%정도 높았으며 요드반응은 유사한 상태를 보였으며 amylose 분해한도는 밤 껍질에서 분리한 밤가루가 약 8.0%높았다. 밤 가루로 만든 빵, 국수, 묵 등은 냄새, 경도, 탄력성, 응집성, 부착성, 씹힘성, 검성 등에서 밀가루나 도토리로 만든 것과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 PDF

일부 지역 청소년의 영양강화식품 이용 실태 조사 (Patterns of Fortified Food Use among Teenagers in Chungnam Province and Daejeon City in Korea)

  • 양자경;김선효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47-459
    • /
    • 2004
  • Fortified foods are consumed widely in modem society according to increased concern on health oriented food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atterns of vitamin-and/or mineral-fortified food use among 677 teenage students(13-18 years of age) in Chungnam province and Daejeon city in Korea using questionnaire. More than 63.7% of total subjects consumed more than one package of fortified foods belonged to more than three categories of five categories including sweets/biscuits, ramyons, beverages, milk and dairy products, and breads as a frequency of more than 1-2 times/week during previous three months prior to present survey. Consumption of fortified foods was higher in middle school students than in high school students(p<0.05), and in females than in females(p<0.001). Users of fortified foods took the snacks more often(p<0.001), and they tended to believe more positively that fortification can be helpful in health maintenance than did non-users. Users preferred vitamin C and Ca(calcium) as a fortified nutrient. Major fortified nutrients in fortified foods taken by users were various; vitamin B-complex and Ca from sweets/biscuits, Ca from ramyons, vitamin C and Ca from beverages, Ca and iron from milk and dairy products and breads. These results suggest that fortified foods are used commonly and are influenced by several factors among teenagers. Types of fortified nutrient, in fortified foods taken by subjects, are various and fortification is performed unspecifically. As a consequence both nutrition education and government regulation on fortified foods should be enforced to maximize the benefits and minimize the hazard of their use.

향신료를 첨가한 식빵의 품질특성 (Effect of Spice Powder on the Characteristics of Quality of Bread)

  • 김미림;박금순;박찬성;안상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45-254
    • /
    • 2000
  • 마늘분, 생강분, 계피분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식빵의 품질특성 비교 결과는 다음과 같다. 관능검사에서 마늘분, 생강분, 계피분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외관의 부드러운 정도(softness)와 색상(color)이 강하다고 평가되었으며, 질감특성의 바삭바삭한 정도(brittle), 경도(hardness), 씹힘성(chewiness)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기호도면에서는 향신료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게 평가되었으며, 대조군과 마늘분, 생강분, 계피분을 각각 1% 첨가한 식빵을 가장 선호하였다. 색도 측정 결과 향신료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 L값은 감소하였으며, 반면에 적색도 a값과 황색도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Texture측정에서 전반적으로 경도(hardness), 응집성(cohesiveness), 탄력성(springiness), 껌성(gumminess), 파쇄성(brittleness) 모두 마늘분, 생강분, 계피분을 각각 1%첨가한 식빵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항신료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대조군보다 특성이 강하게 나타났다. 관능검사와 기계적검사의 상관관계 결과 명도가 높을수록 선호하였으며, 경도(hardness), 파쇄성(brittleness)이 클수록 기호도가 낮아 입안의 촉감이 부드럽고 부서지는 정도가 적으며 색상이 밝을수록 좋게 평가되었다. 관능검사와 기호도간의 상관관계에서 밀가루의 독특한 냄새, 구수한 맛, 탄력성, 부푼 정도가 높을수록 선호하는 경향을 보여 향신료 특유의 냄새가 강하지 않고 구수하며 탄력성이 좋고 부푼정도가 좋을수록 선호하였다. 이상의 결과 마늘분, 생강분, 계피분을 각각 1% 첨가한 향신료 식빵의 품질이 높게 평가되어 식빵 제조시 향신료의 첨가량은 1%정도가 적당하다고 사료된다.

  • PDF

상황현미 분말이 첨가된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Containing Brown Rice Fermented with Phellinus linteus)

  • 정인창;손호용;배종호;김기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445-451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s with added Phellinus linteus grown in brown rice (BRPL). For color values, with increasing added BRPL powder, "lightness" decreased in the crumb while "redness" and "yellowness" increased ($^{***}$ p<0.001). The highest scores in volume and specific volume were observed in white pan bread with 5% BRPL powder added. When 10%, 15%, and 20% BRPL powder were substituted for equal amounts of strong flour, the volume and specific volume ratios of white pan bread decreased ($^{***}$ p<0.001). In texture measurements for white pan breads, hardness decreased slightly with the addition of 5% BRPL powder, but significantly ($^{***}$ p<0.001) increased with addition of 10%, 15%, and 20% BRPL powder. The addition of the BRPL powder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pringiness, gumminess, and brittleness of the white pan bread. The highest sensory scores for color, flavor, taste, and overall acceptance were obtained from white pan bread with 5% BRPL powder added ($^{***}$ p<0.001). By the results of these experiments, we can conclude that the hightest quality of bread with added BRPL powder has no more than 10% added BRPL powder content.

새싹땅콩 분말 및 추출물 첨가 식빵의 품질특성과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Effects of Breads added with Peanut Sprout Extract and Powder)

  • 이수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58-570
    • /
    • 2015
  • To develop and industrialize functional foods containing peanut sprout extract (PSE) and powder (PSP),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effects of breads prepared with 0, 0.5, 1, 2, 2.5, 5, 7.5, and 10% PSE and PSP. The expansion ratio of the dough, the quality characteristics such as volume, weight, specific volume, baking loss, color, texture, and sensory preference were evaluat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read volume and specific volume among the control, PSE and PSP groups (p<0.001). Additionally, the weight and baking loss were decreased with an increasing amount of PSP (p<0.001). As the amount of PSE and PSP were increased, the L value of the crumb decreased, whereas the a and b values of the crumb significantly increased (p<0.001), suggesting that the crumb color of the bread may be significancy (p<0.001). As the amount of PSE and PSP increased, the hardness of bread significantly and rapidly increased from 5%. Meanwhile, there was no significance in springiness among the control, PSE and PSP groups. The total resveratrol content and DPPH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the bread significantly increased depending on the amounts of PSE and PSP (p<0.001). In the overall acceptance tes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color, flavour, or texture, however, the taste and overall acceptanc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etween the control and the PSE group. All the sensory characteristics in the PSP group wer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with the control.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it can be expected that the suitable amount of PSE and PSP substituted for wheat flour will be from 1.0 to 2.5%. Furthermore, follow-up studies are being carried out continuously.

대추 추출액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White Bread Prepared by Addition of Jujube Extracts)

  • 배종호;이주현;권광일;임무혁;박건상;이종구;최희진;정석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603-610
    • /
    • 2005
  • 대추 추출액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식빵의 제빵적성에 요구되는 빵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빵의 내부색도에서 L값은 대추 추출액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a값과 b값은 증가하였다. 빵의 텍스쳐를 측정한 결과 대추 추출액 70% 첨가구까지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100% 첨가구에서는 경도, 저작성, 검성에서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 관능검사에서는 빵의 색상, 향미, 맛,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대조구와 비교하여 대추 추출액 50% 이상 첨가구는 첨가량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고 높은 점수를 얻었고 조직감에서도 대추 추출액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은 관능점수를 보였으며 70% 이상 첨가구는 더 높은 점수를 얻었다. 따라서 식빵 제조에 있어서 대추 추출액을 물 대용으로 50-70% 수준으로 첨가했을 때 빵의 품질향상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되며 대추의 기능성물질을 함유한 천연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대구지역 주부들의 쌀 가공식품 이용실태조사 (A survey on the rice-based processed food consumption of the housewives at Daegu)

  • 조진휘;고봉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00-307
    • /
    • 2003
  •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consumption of various rice-based processed foods of 279 housewives in Daegu. 70% of the housewives that responded to the question graduated from a high school or college, was 30∼40 years old and full-time housewives. The main places for purchasing the rice-based processed foods were large size discount store and supermarkets, as other industrial products and the family′s preference was the most critical factors in choosing the products. The fact that the main reason of purchasing the rice breads and cookies, instead of wheat, was "They may be good for health” indicated many housewives have a positive perception of rice-based foods. Among the rice-based processed foods, the using frequency of rice cake (dduk) was the highest, with rice cookies and rice drinks being the next most frequent. However, the frequencies of cooked rice (bob) and rice flour were very low. An analysis of the correlation for the using frequency of 15 rice-based processed foods showed that the use of rice cookies and breads, instead of wheat, was highly correlated to another 13 foods. The critical reasons why they do not consume cooked rice and rice flour were uncertainty of the purity of the rice and the addition of preservatives, and that with rice bread and noodles there was no information available about the products, and hey have a poor taste. The most common reasons of using cooked rice were no time to cook and simple curiosity about the products. However, the consumers were suspicious of containers, which were a potential cause of environmental hormones, and the high price of the products. Packed rice flour was mainly used as an ingredient to give the viscosity to a product. The advantages of using rice flour were that it was available to control the amount of buying and the convenience to buy. However, it was pointed out that the taste of products containing packed rice flour were poorer than that of rice flour ground at a mill.

건식, 습식 및 반습식 쌀가루에 의한 쌀빵의 특성 비교 (Bread-making Properties of Rice Flours Produced by Dry, Wet and Semi-wet Milling)

  • 이명희;이영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7호
    • /
    • pp.886-890
    • /
    • 2006
  • 제분방법을 달리하여 제조한 건식, 습식 및 반습식 쌀가루를 사용하여 제조한 쌀빵의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습식제분 쌀가루의 제조 시 쌀의 수침온도를 $25^{\circ}C$$55^{\circ}C$로 하였으며 반습식 처리로서 쌀을 살수처리한 후 제분하였다. 쌀가루에 밀가루를 7:3의 비율로 혼합한 복합분에 활성 글루텐을 첨가한 후 mixograph로 반죽의 특성을 측정한 결과 습식제분한 쌀가루에서 반죽시간과 안정성이 증가함을 보여주었다. 습식제분 쌀가루로 제조한 쌀빵이 건식제분과 반습식제분 쌀가루로 제조한 쌀빵에 비해 빵의 체적이 증가했으며, 특히 수침온도에 있어 $55^{\circ}C$의 가온 수침처리가 쌀전분에 변화를 초래하여 상온에서 수침한 쌀가루에 비해 쌀빵의 체적을 향상시켰다. 쌀빵의 저장중 경도의 변화에서 습식제분 쌀가루로 제조한 빵이 가장 낮은 증가폭을 보여주었다.

쌀가루 첨가 식빵의 제빵 특성 (Substitution of Rice Flour on Bread-Making Properties)

  • 최인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667-673
    • /
    • 2010
  • 특수미 품종인 고아미2호는 취반용 쌀로는 적합하지 않으므로 가공용 기능성 곡류소재로서의 활용성을 알아보고자 제빵 시 강력분의 일부를 쌀가루로 대체하였으며 일반 쌀 품종인 추청벼 쌀가루와의 제빵특성을 비교하였다. 쌀가루의 호화특성은 고아미2호는 전분 호화 시 호화개시온도가 높고 전분 팽윤 현상이 억제되어 호화 점도가 매우 낮았다. 강력분에 쌀가루를 10~30% 대체한 혼합분의 mixograph특성은 고아미2호 복합분은 쌀가루 함량이 증가 할수록 가수량이 증가하였으나 추청벼 복합분은 쌀가루함량 증가 시 반죽 안정도가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복합분을 활용한 식빵에서 고아미2호 쌀빵은 쌀가루 증가와 함께 부피 감소와 함께 빵 내부의 경도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추청벼 쌀빵은 최대 30%까지 대체 시 빵의 부피 및 경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므로 강력분의 일부를 대체한 쌀빵 가공을 위해서는 난소화성 다당류 함량이 높은 고아미2호보다는 일반 쌀 품종인 추청벼가 적합하였다.

시판 빵 효모의 발효 특성 및 제빵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ermentative Abilities and Baking Properties of Commercial Yeast)

  • 김원주;한영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529-536
    • /
    • 2004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판 국내외산 효모 11종을 구입하여 발효특성 및 제빵성을 비교하여 효모 생산사업의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효모의 $CO_2$ 생성량, 반죽 팽창력, maltose 발효력 등을 측정하였고, 무당ㆍ저당ㆍ고당 반죽에 적용시켜 발효력 측정 및 실제 빵을 제조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배양한 효모의 maltase activity와 freeze tolerance rate를 측정하여 균주 특성을 비교하였다. 이 균주들은 동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Meissle 발효관을 이용하여 시판 빵효모가 저당반죽에서 3시간 동안 $CO_2$를 생성한 양을 측정한 결과 Y7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고, Y5와 Y4가 그 뒤를 이었다. M-Cylinder를 이용하여 측정한 11종의 효모의 반죽 팽창력은 Y7, Y4,. Y5 등의 순으로 $CO_2$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와 일치하여 우수 균주로 Y7을 선별하여 이하의 실험에 이용하였다. ASF 합성배지에서의 maltose 발효 능력은 Y5, Y7, Y4 등의 순으로 나타나 $CO_2$ 생성량, 반죽 팽창력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이때 선별된 Y7에 대해 비교 균주로 국내산 효모 K의 반죽종류에 따른 발효력을 비교한 결과 Y7이 K보다 무당, 저당 반죽에서 더욱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Y7과 K를 이용하여 바게트(무당빵), 식빵(저당빵), 모닝롤(고당빵)을 제조한 후 빵의 품질을 측정한 결과 바게트에서는 K의 용적이 Y7보다 많이 부풀었으며, 비용적도 조금 더 높았다. 그러나, 식빵에서는 Y7의 용적이 K에 비해 더 많이 부풀었으며, 비용적도 더 높아서 Y7이 식빵 제조에 더 적합한 것으로 보였다. 모닝롤에서는 K와 Y7의 용적, 비용적이 매우 유사하여 두 균주가 모두 모닝롤 제조에 적합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또한 이 빵들을 이용하여 관능평가한 결과 바게트의 전반적인 기호도는 K와 Y7이 동점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식빵은 외상의 모든 항목과 색에서 K가 높은 점수를 얻었다. 모닝롤은 외상의 껍질 색, 질, 두 항목에서 K가 더 높은 점수를 얻으며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 전반적인 기호도에서는 또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