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acken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초

조리방법에 따른 고사리의 항산화활성 및 항균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Bracken (Pteridium aquilinum Kuhn) according to Cooking Methods)

  • 박초희;김경희;육홍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48-357
    • /
    • 2014
  • 조리방법(non-blanched, blanched, seasoned)에 따른 고사리의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활성과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80% ethanol에서 추출한 고사리의 추출수율은 볶은 후가 4.29%로 가장 높았으며, 그 뒤를 이어 데치기 전이 2.69%로 높았고, 데친 후가 0.30%로 가장 낮은 수율을 보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볶은 후가 $96.11{\pm}0.34mg\;GAE$/100 g RW로 가장 높았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경우에도 볶은 후가 $20.90{\pm}0.28mg\;CE$/100 g RW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3가지 항산화 실험(DPPH assay, ABTS assay, reducing power) 결과, 볶은 후 > 데치기 전 > 데친 후 순으로 볶은 후 고사리가 가장 우수한 활성을 나타냈다. 항균활성 측정 결과, 데치기 전 고사리는 S. aureus를 제외한 모든 균에서 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P. aeruginosa균에 대해서 우수한 항균활성을 보였는데, 5 mg/disc의 농도에서 $10{\pm}0.71mm$, 10 mg/disc의 농도에서 $10.25{\pm}0.35mm$의 생육 저해 환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데친 후와 볶은 후의 고사리는 어떠한 균에서도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항균활성 측면에서 고사리는 조리과정을 거치지 않고 섭취하는 것이 이로우나, 건조나물의 특성상 섭취하기 위해서는 물에 불리고 데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또한 고사리는 발암성분인 청산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반드시 데치는 조리과정을 거친 후 섭취해야 한다. 데치는 과정을 거치면서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가 손실되지만, 이는 조리하는 과정에서 갖은 양념이 첨가됨으로써 데치기 전보다 생리활성 물질 및 항산화활성이 증가하므로 고사리는 데치거나 볶는 과정을 거쳐 섭취하는 것이 건강적인 측면에서 이로울 것으로 사료된다.

고사리 (Pteridium aquilinum) Ethanol 추출액(抽出液)에 의한 혈압강하작용(血壓降下作用) (Effect of Ethanol Extracts of Raw and Boiled Bracken on Blood Pressure in Cats)

  • 고상돈;김기순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18권2호
    • /
    • pp.171-180
    • /
    • 1984
  • The death of cattle from acute bracken poisoning has been recognized for many years. Acute bracken poisoning is characterized by mucoidal nasal and anal hemorrhage, severe anorexia. pyrexia, gastric ulcer and myocardial damage. In 1958 Evans first suggested that clinical picture of bracken poisoning was very much similar to that of radiation injuries such as aplastic anemia, leucopenia, thrombocytopenia and increased capillary fragility. Bracken has been clearly demonstrated to contain a carcinogen as well as thiaminase. However, the nature of carcinogen in bracken has not definetely elucidated. Also it was warned by several workers that bracken could be a causative factor for stomach cancer in Korean and Japanese. It appears that little is known on the e(feet of bracken on the function of cardiovascular system. Therefore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raw and toiled bracken (RBEE:BBEE) on blood pressure in cats. Also studied was the mechanism underlying changed in blood pressure of cats by bracken. The result obtained were as follows; 1) Mean arterial blood pressure was invariably decreased following administration of either RBEE or BBEE. Tn general depressor responses to RBEE persisted longer than that to BBEE. Generally, depressor responses were proportional to debases of RBEE and BBEE administered. 2) After administration of 60 mg/kg RBEB and BBEE, blood Pressure decreased by $62.1{\pm}1.7mmHg$ and $68.0{\pm}3.0mmHg$, respectively. No change was observed between depressor responses to RBEE and that to BBEE. 3) Depressor responses to BBEE and RBEE were not affected by vagotomy, propranolol and regitine. 4) In atropinized animal depressor responses to BBEE and RBEE were reduced by 30-40% showing part of depressor response was resulted from cholinergic effect of bracken.

  • PDF

고사리의 돌연변이(突然變異) 유발성(誘發性) (Mutagenic Activity by Ames Test of Bracken Grown in Korea)

  • 윤재영;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58-562
    • /
    • 1988
  • 우리나라에서 오랫동안 식용(食用)하여 온 고사리에 대하여 Salmonella typhimurium을 이용한 Ames test에 의하여 돌연변이 유발성(誘發性)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생(生)고사리의 증류수 추출물은 낮은 농도에서 TA 1538 균주(菌株)에 대하여 역돌연변이(逆突然變異)를 일으켰으며 높은 농도에서는 독성(毒性)을 강하게 나타냈다. 그러나 $S_9$ mix 첨가시 모든 시험균주에 대하여 돌연변이를 유발시키지 않았고 독성도 나타내지 않았다. 조리(調理)한 고사리의 경우 증류수 추출물의 양은 생고사리의 1/10로 감소하였고 돌연변이 유발능도 검출되지 않았다. 고사리의 70% 에탄올 추출물은 어느 경우에나 돌연변이 유발능을 나타내지 않았다.

  • PDF

Multiple Effects of Bracken Fern under in vivo and in vitro Conditions

  • Tourchi-Roudsari, Motahhareh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8호
    • /
    • pp.7505-7513
    • /
    • 2014
  • Several toxic substances have been detected in plants which are responsible for animal and human diseases. Bracken fern (Pteridium aquilinum) is one example, widely distributed in many parts of the world. It is known to cause cancer in humans and other animals. In fact, man can be directly or indirectly exposed to the danger by consuming fern, contaminated water, milk, meat, and spore inhalation. Experimental studies have shown an association between bracken exposure and gastric cancer, and research has shown genotoxic and cytotoxic effects in vitro. This paper describes and reviews toxic, carcinogenic, genotoxic/cytotoxic, and immunomodulatory effects of bracken and included possible toxic agents. The chemistry of Ptaquiloside (PT) reactions is emphasized, along with bracken problems in livestock, possible pathways of exposure in man, and control for human health.

고사리의 Thiamine 분해에 미치는 반응조건(反應條件)의 영향 (Effect of Reaction Conditions on the Thiamine Decomposition by Bracken)

  • 윤재영;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600-605
    • /
    • 1988
  • 고사리 추출액의 thiamine분해력에 미치는 반응조건의 영향을 thiochrome 형광법으로 조사하였고 caffeic acid 및 cysteine의 영향을 thiochrome 형광법과 Lactobacillus viridescens를 이용한 미생물법으로 측정, 비교하였다. 생체로 말린 고사리 추출액은 상당량의 thiamine분해력을 지니며 pH, 온도, 고사리 추출액의 농도가 높아지고. 반응시간이 길어질수록 그 분해율이 증가하였다. 가열 조리하여 말린 고사리는 생체로 말린 고사리보다 반응조건에 따른 영향이 적게 나타났다. Thiamine에 caffeic acid를 반응시켰을 때 많은 양의 thiamine 이 분해되나 cysteine을 첨가할 경우 그 분해율이 크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고사리 추출액에 의한 thiamine분해는 cysteine에 의해 억제되는 정도가 적었다.

  • PDF

건조방법에 따른 고사리와 취나물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evaluation of bracken (Pteridium aquilinum) and Aster scaber dried by different methods)

  • 강귀훈;라미옥;은종방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819-82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건조방법을 달리하여 수화복원 전후 건조된 고사리와 취나물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분함량에서 동결건조 된 취나물이 천일건조와 열풍건조 된 취나물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수화복원력은 동결건조 된 고사리와 취나물이 천일건조와 열풍건조 된 고사리와 취나물보다 모두 높은 복원력을 나타내었다. 색도 $L^*$값에서는 동결건조 된 고사리와 취나물이 천일건조와 열풍건조 된 취나물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반면에 동결건조 된 취나물의 경우 가장 낮은 $a^*$값을 나타내었다. $b^*$값에서는 동결건조 된 고사리와 취나물이 모두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수화복원 된 고사리와 취나물의 색도에서는 동결건조 된 고사리의 $L^*$, $a^*$$b^*$값이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취나물의 경우 $L^*$$b^*$값이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a^*$값은 가장 낮게 나타내었다. 관능평가에서는 수화복원 전 후 동결 건조된 고사리와 취나물의 색, 향, 외관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천일건조와 열풍 건조된 고사리와 취나물보다 모두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결론적으로 동결건조 고사리와 취나물이 열풍건조와 천일 건조된 고사리와 취나물 보다 수화복원력이 가장 빠르고, 나물의 고유 색상을 유지하며 또한 관능적으로도 아주 우수한 것으로 보아 만약 상품화한다면 비록 가격은 비싸지만 바쁜 현대인들을 대상으로 빨리 섭취 할 수 있는 간편식 제품으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고사리의 Thiamine 분해능에 미치는 조리조건의 영향 (Effect of Cooking Conditions on the Antithiamine Activity of Bracken)

  • 윤재영;송미란;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801-807
    • /
    • 1988
  • 조리과정을 달리한 고사리의 thiamine 분해능을 thio-chrome 형광법과 Lactobacillus viridescens를 이용한 미생물법으로 측정하였고 페놀화합물의 함량 및 갈색도와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생고사리의 thiamine 분해능은 데치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페놀화합물의 함량과 갈색토는 감소하였다. 데칠 때 소금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thiamine분해능, 페놀화합물의 함량과 갈색도가 모두 증가하였다. 말린 고사리를 $NaHCO_3$ 용액으로 연화처리하거나 생고사리 및 말린 고사리를 흐르는 물에 담그었을 때 thiamine분해능이 크게 감소하였으며 페놀화합물의 함량, 갈색도 역시 감소하였다. 고사리의 가열조리 시간이 길어질수록 thiamine분해능, 페놀화합물의 함량 및 갈색도가 감소하였으나, 그 변화는 크지 않았다. Thiamine 분해능은 여러 조리과정을 통하여 감소되었고 특히 흐르는 물에 담갔을 때 그 효과가 뚜렷하였으며 페놀화합물은 thiamine 분해에 크게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apillary electrophoresis를 이용한 한국산 및 중국산 고사리의 원산지 판별방법 개발 (Development of the Discrimination Methods for Geographical Origin of Bracken(Pteridium aquilinum) by Capillary Electrophoresis)

  • 김은영;김정현;정경숙;류미라
    • 분석과학
    • /
    • 제17권2호
    • /
    • pp.192-197
    • /
    • 2004
  • The discrimination of bracken (Korean vs. Chinese) has been attempted using capillary electrophoresis (CE). Bracken (Pteridium aquilinum) was extracted with 30% methanol and separated on a uncoated fused-silica ($50{\mu}m{\times}27cm$) capillary. Conditions for optimal analysis include: temperature, $40^{\circ}C$; voltage, 8 kV; and pressure injection time, 5 sec. The optimal separation buffer was 0.3 M borate buffer (pH 8.5) containing 40 mM CHAPS with 30% ethylene glycol. Under the optimal conditions established for CE, the ratio of specific peak area (peak PA-1) to other peak area (peak PA-2) was effective in discrimination of Korean and Chinese bracken. The mean accuracy for discrimination of Korean and Chinese brackens were 80% and 86%, respectively.

고사리의 독성물질 Ptaquiloside 제거방법 연구 (Study on Processing Methods to Remove Toxic Ptaquiloside from Bracken Fern)

  • 이향희;김애경;이민규;최수연;서진종;김은선;서계원;조배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17-221
    • /
    • 2017
  • Ptaquiloside는 고사리에 들어 있는 발암성 물질이다. 본 연구는 다양한 조리법에 따라 고사리에 함유된 ptaquiloside을 측정해 보고자 하였다. 조리법은 가열, 물에 침지, 물교환 횟수 등이었다. 알칼리 가수분해와 용매분획은 ptaquiloside를 화학적으로 안정한 물질인 pterosin B로 전환시켜 주었다. Pterosin B 함량은 이동상용매로 3 mM ammonium과 메탄올 용매를 사용하여 UPLC-MS/MS로 분석하였다. 조리과정이 없는 생고사리의 $H_2O$추출물에 함유된 pterosin B함량은 81 mg/kg으로 검출되어 독성물질 ptaquiloside는 46.4 mg/kg이었다. 5분의 가열 시간 후 고사리의 pterosin B 함량은 약 60%정도 제거시켜주며, 이 중 2/3는 ptaquiloside에서 전환된 pterosin B가 아닌 고사리 고유의 ptersoin B 함량이었다. 12시간 침지를 추가한 고사리는 처리하지 않은 고사리에 비해 약 88%, 또한 매시간 물교환 작업을 추가시 99.5%까지 제거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독성물질 ptaquiloside의 제거는 가열시간과 더불어 침지와 물 교환 횟수도 동시에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마우스의 실험적(實驗的) 고사리 중독(中毒)에 관한 병리학적(病理學的) 연구(硏究) (Pathologic Studies of Experimental Bracken Poisoning in Mice)

  • 임병무;이호일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45-151
    • /
    • 1972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racken fern (Pteridium aquilinum) on animals, a total of 105 mice given a ration containing different percentage of bracken fern were studied pathologically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of 90 day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 1. Mice in the group, given a ration containing 15% of bracken fern, showed 85% of death rate in 90 days, and mice in the group, given a ration containing 25% of it, showed 100% in 30 days 2. The experimental mice showed decreased myeloid cells and significant reduction in erythrocytes, leukocytes, and thrombocytes. 3. Severe congestion and hemorrhages were observed in lungs, liver, kidney, spleen, stomach, intestine, brain, adrenal and testis from the ones that died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but the necropsies of the latter period indicated mild chanties comparatively. 4. Mice in the group, given a ration containing 15% blacken fern showed a decreasing tendency in body weigh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