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wl life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2초

전라남도 소재 한식 전문점 상차림 실태 조사 및 개선 방안 -서비스 방식, 배선 방법을 중심으로- (Survey on Table Sewing in Korean Food Restaurants Located in Jeollanamdo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 Focusing on the Manner of Sewing and Arrangement -)

  • 김수인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55-667
    • /
    • 2010
  • In this study, problems with table serving of Korean Jeollanamdo food were investigated, and methods for improvement were suggested. The manner of food serving and arrangement on tables, as well as the serving space in each case, were investigated in representative restaurants serving Jeollanamdo food.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of the Jeollanamdo Korean food have a prototype of a flat serving sprea, wherein the main dish and side dishes are not clearly identified, the demarcation between shared space and personal space is insufficiently made for each serving on the table, and the table is full of side dishes, that are narrow, visually disordered and unhygienic, both in terms of the table setting and arrangement inside bowls. To provide sufficient eating space, elevate awareness of hygienic and clean serving, and identifying the main dish in the table setting, a serving method that is a compromise between the flat spread-out and time-series development was suggested, and an arrangement on the table was defined for the main dish and side dishes. The utilization of table space was also increased by reducing the number of dishes on the table at a given moment. In addition, the dish or bowl and arrangement inside the container were changed in order to distinguish the main dish and side dishes. It is suggested that some of tableware be linked with the special products of the locality so as to make a brand for them, and that a personal mat be used to arrange the tableware for each one, since there are many fermented food items (salted fish, kimchi, fermented paste and sauce, etc.) and boiled food items (stew, steamed dish, boiled dish in sauce, etc) that look dark and unfocused.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width and breadth of the dishes or bowls be set in an orderly manner. Considering the tables currently available at restaurants, personal space on a table and comfortable distance between eaters are suggested to be $400 mm{\times}250 mm$ and 300 mm, respectively.

골판지 고지의 물리화학적 처리에 의한 강도향상(제3보) - 수초지의 물리적 특성변화 - (Strength Property Improvement of OCC-based Paper by Chemical and Mechanical Treatments (III) - Handsheet physical properties -)

  • 이종훈;서영범;전양;이학래;신종호
    • 펄프종이기술
    • /
    • 제32권2호
    • /
    • pp.8-15
    • /
    • 2000
  • This study is a continuation of the previous experimental analysis and is mostly focused on handsheet strength properties. Four completely different fibers, which were Hw-BKP, SW-BKP, White ledger, and OCC, were sele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echanical pre-treatment by Hobart mixer on handsheet strehgth properties. After equal time mechanical pre-treatment, the fibers were refined with laboratory valley beater for 10, 20 and 30 minutes, and handsheets were prepared from the fibers for physical strength comparison. Handsheets from SW-BKP and OCC showed 5-30% increase of breaking length, burst index, tear index, and compression index while handsheets from HW-BKP and White ledger no increase except tear index. In Hobart mixer pre-treatment, HW-BKP and White ledger fibers were easily attached to the wall of the mixer bowl and mechanical action was not effectively applied. The fiber length of Hw-BKP and White ledger were 0.837 mm and 1.591 mm, respectively, while SW-BKP and OCC were 2.744 mm and 2.033 mm, respectively, in weight weighted length. The effective mechanical pre-treatment seems to be related to the fiber length. Tear indexes of the pre-treated furnish were much higher than no pre-treatment at the same breaking length level.

  • PDF

마을회관의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urrent Situation of Rural Community Facilities Applied Universal Design)

  • 이을규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113-120
    • /
    • 2015
  • In recent years, the population composition of rural area is changing due to the decreasing population growth of the aged with disability and people returning to farming. Since 1970's the rural community facilities have been spreaded out across most rural villages. Although the rural community facilities are the most widely used facilities, the existing facilities are need to be new built or remodeled according to demographic changes, usage of facilities, and environmental condition. Given this reality, the rural community facilities such as village assembly hall and nursing home for senior citizen are not only used for daily life place but also used like co-residence having meals and sleeping together. Therefore the rural community facilities have the potential to become welfare service space for rural elderly people.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current situation of universal design applied community facilities. According to the research, most of the village community facilities were built in the 1990s and 82% of the buildings were more than 15 years old. Furthermore, 45% of the village community facilities more than 15 years old most have a ground floor in masonry structure. The area of the building is 65% less than $100m^2$. The width of the access entrance, the height of the sink, gas safety valve and so forth were relatively well designed. However, the handrail of the entrance, space in front of the toilet bowl,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entrance and floor, the installation of the width of the ramp and stair handrail was relatively incomplete. Village community facilities to be built in the future should be universal design fundamentally.

골판지 고지의 물리화학적 처리에 의한 강도향상 (제3보 - 수초지의 물리적특성변화) (Strength property improvement of OCC-based paper by chemical and mechanical treatments (3 - handsheet physical properties))

  • 이종훈;서영범;전양;이학래;신종호
    • 한국펄프종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펄프종이공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70-70
    • /
    • 2000
  • This study is a continuation of the previous experimental analysis and is mostly focused on handsheet strength properties. Four completely different fibers, which were Hw-BKP, Sw-BKP, white ledger, and OCC, were sele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echanical pre-treatment by Hobart mixer on handsheet strength properties. After equal time mechanical pre-treatment, the fibers were refined with laboratory valley beater for 10, 20 and 30 minutes, and handsheets were prepared from the fibers for physical strength comparison. Handsheets from SW-BKP and OCC showed 5-30% increase of breaking length, burst index, tear index, and compression index while handsheets from HW-BKP and white ledger no Increase except tear index. In Hobart mixer pre-treatment, HW-BKP and white ledger fibers were easily attached to the wall of the mixer bowl and mechanical action was not effectively applied. The fiber length of Hw-BKP and white ledger were 0.837mm and 1.591 mm, respectively, while SW-BKP and OCC were 2.744 mn and 2.033 mm, respectively, in weight weighted length. The effective mechanical pre-treatment seems to be related to the fiber length. Tear indexes of the pre-treated furnish were much higher than no pre-treatment at the same breaking length level.

  • PDF

쌀 농업에 대한 지역별 물 발자국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Regional Water Footprint of Rice Production in Agriculture Industry)

  • 김준범;강헌;신상민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5권11호
    • /
    • pp.827-834
    • /
    • 2013
  • 물 발자국(Water footprint)은 단위 제품 및 단위 서비스 생산 전과정(life cycle) 동안 직접 및 간접적으로 이용되는 물의 총량지표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까지 산업별 및 제품에 대한 물 사용량과 관련된 자료가 잘 구축되어져 있지 않으며 특히 많은 물이 사용되어지는 농업 생산 제품에 대한 물 사용량에 대한 자료는 전무하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제품에 대한 물 사용량 자료 구축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수자원 이용 형태 중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산업 분야인 농업 산업에서 쌀 생산을 중심으로 8개 지자체(강원, 경기, 경북, 경남, 전남, 전북, 충북, 충남)를 범위로 하였으며, Cropwat 8.0 모델을 이용하여 물 사용량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쌀 제품의 간접적인 물 사용량은 경북 지역이 $1,356.68m^3/ton$으로 가장 적은 물 사용량을 가졌으며, 전남지역이 $1,669.54m^3/ton$로 가장 많은 물이 사용되는 것으로 산정되었다. 8개 지자체의 평균적인 물 사용량은 $1,487.87m^3/ton$으로 산정되었으며, 쌀 밥 한 그릇 양의 밥(130 g)을 지을 때 쓰이는 직접 물의 사용량 및 간접 물 사용량을 고려한 총 물 발자국 산정 값은 193.61L로 산정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농업 분야 및 전 산업 분야로 확장하여 제품별 물발자국 산정이 필요하며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빈곤지역아동의 거주체험에 대한 질적 연구 - 우리 동네살이 - (A Qualitative Study on Lived Experiences of Children Who Live in a Poor Neighborhood -"Hard Life in Our Village"-)

  • 김경희;김선민;박근혜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3권3호
    • /
    • pp.109-131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빈곤지역에서 살아가는 아동의 거주 체험을 아동의 관점에서 탐구하고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빈곤한 지역에서 살고 있는 아동을 참여자로 그들의 거주체험의 의미와 구조를 탐색하는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월드비전의 전국 24개 사회복지기관으로부터 모집된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으로써, 각각의 기관에서 초점집단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빈곤지역 아동은 취약한 사회적 인프라 속에서 신체적 및 정서적 안전에 위협을 받고 있었으며 더러운 동네와 술, 폭력 등의 문제를 가진 어른들로부터 부정적인 자기정체성을 내면화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여전히 남아 있는 이웃의 정과 관계성, 권리 실현을 위한 주체적 활동은 아동과 지역사회의 변화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빈곤지역 아동의 거주체험 구조는 "'연결하기'와 '구분짓기' 사이에서 갈등함", "도사린 위험 속에 방치됨", "캄캄한 동굴에서 살아가기를 배움", "이웃으로부터 마중물을 받음" 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의 권리 실현 차원에서 안전 확보와 주체적 성장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PDF

이주민 구술 설화를 활용한 상호문화능력 신장의 교육 방안연구 (Study on the Educational Plan to Enhance Intercultural Abilities Using the Oral Folktales of Immigrants who Mov ed to Korea)

  • 김정은
    • 고전문학과교육
    • /
    • 제38호
    • /
    • pp.201-238
    • /
    • 2018
  • 다양한 문화의 시대에 필요한 상호문화능력을 신장하기 위한 방법으로 마달레나 드 카를로 (De Carlo, Maddalena)의 구술성에 주목하여, 한국에 거주하는 이주민이 구술한 설화 자료를 바탕으로 '상징적 표상'이 생성하는 '다양한 가치'를 바탕으로 상대적 감각을 키워낼 수 있는 교육요소와 교육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카를로의 이론을 바탕으로 다양한 문화와 접속하고 공감하고 소통하는 데, 한국에서 구술된 이주민 설화가 기여할 수 있는 방법 중에 하나로 서사적 화두를 통한 문화적 감응력의 확장을 교육요소로 논했다. 이를 6단계로 체계화했다. 1단계 이주민 구술 설화 자료 듣기, 2단계 기억에 각인되는 이질적 화소 찾기, 3단계 이질적 화소로 상징된 대립자질의 의미 파악하기, 4단계 핵심화소가 들어간 서사적 화두 생성하기, 5단계 서사적 화두로 상징적 표상이 내포하는 가치 생성하기, 6단계 삶의 가치를 문화적 상징으로 확장하기다. 3장에서는 이 6단계로 이주민 설화의 교육내용을 적용했다. 수업은 상호문화에서 동질적 결합에 대한 욕망의 한계를 인지하고, 이질성으로 인한 소통의 장벽을 허무는 것과 표면과 이면의 사유를 통해 이질적인 것과 어떻게 관계를 생성할 수 있을지를 생각해 보는 내용으로 구성했다. 인도네시아 설화인 <뒤집어진 배산과 엄마산>은 한국설화는 아니지만 전 세계적으로 많이 알려진 <오이디푸스>신화로 비교하면서 '뒤집어진 배산'이라는 이질적인 화소가 지니는 상징적 표상이 무엇인가를 풀어냈다. 이때 6단계 상징체계를 문화적으로 확장해 갈 때, '뒤집어진 배'에 나타나는 근친상간의 욕망을 문화적으로 동질적인 것과의 결합을 추구하다 생긴 고착으로 해석해 보았다. 캄보디아 설화인 <소녀와 호랑이>는 한국의 <혹부리 영감>과 같은 모방담구조의 이야기인데, '호랑이'라는 화소를 보통 인간과 다른 동물성으로 상징되는 이질적 존재와 어떻게 관계를 맺을지를 문화적으로 확장해서 상호문화능력을 신장할 서사적 화두를 생성하였다. 베트남 설화인 <코코넛 바가지>는 한국의 <구렁덩덩신선비> 등과 비슷하게 표면과 이면에 대한 다양한 사유를 이끌어내는 설화로 이질적인 타인과 어떻게 관계를 형성해야하며, 그렇게 형성된 관계가 삶에 어떤 성장을 가지고 오게 하는가를 살펴보게 하는 방향의 해석이다. 설화의 핵심화소가 형성하는 대립자질로 서사적 화두를 생성하고 감응한다면, 이주민 설화로 낯설고 이질적인 문화와 관계를 형성하며 새로운 삶의 가능성으로 자신을 구성해 갈 수 있을 것으로 해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