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ron removal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3초

UMG-Si 내 Boron 제거를 위한 스팀플라즈마와 전자기연속주조정련법의 활용 (The effect of steam plasma torch and EMCR for removal of boron in UMG-Si)

  • 문병문;김병권;이호문;박동호;류태우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57.2-57.2
    • /
    • 2010
  • 최근 친환경적이고 저투자비용의 빠른 생산성을 가진 야금화학적인 방법으로의 태양전지급 실리콘 생산공정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이로 인해 금속급 실리콘(MG-Si)에서부터 태양전지급 실리콘(SoG-Si)으로의 정련공정 또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UMG-Si 내 주요 불순물인 Boron함량을 SoG-Si 순도로 정련하는 것을 목표로 기존의 방법과 달리 전자기연속주조정련법을 사용하여 도가니 비접촉식 용융 후 스팀플라즈마토치를 통해 Boron을 제거하고자 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가스 유량은 $H_2O$ 0.3~1.0ml/min, $H_2$ 20~40ml/min 이며 실험 후 ICP-MASS 분석 결과 초기 Boron 함량 2.9ppm으로부터 0.17ppm으로 줄었음을 확인하였다.

  • PDF

UF-SWRO 혼합공정을 이용한 해수담수화 파일럿 플랜트에서의 해수와 기수의 블렌딩을 통한 보론 및 휴믹산 제거 특성 (Removal Characteristics of Boron and Humic Acid by Pre-blending Seawater and Brackish Water Using UF-SWRO Hybrid Process in Pilot-scale Plant for Desalination)

  • 김원규;신성훈;이학수;우달식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34-41
    • /
    • 2016
  • UF (ultrafiltration)-SWRO (seawater reverse osmosis) 공정을 이용하여 해수와 기수의 유입수 블렌딩(pre-blending)이 보론(boron)과 휴믹산(humic acid)의 제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유입수 블렌딩은 TDS (total dissolved solids) 농도를 기준으로 15,000 mg/L~27,000 mg/L까지 설정하였으며, RO에서의 보론 제거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동일한 TDS 농도범위에서 휴믹산을 주입하여 유기물 제거 특성을 알아보았다. 보론은 TDS 농도가 높아질수록 제거율은 76.60% - 83.27%로 높게 나타났지만, 최종 생산된 생산수의 보론 농도는 0.48 mg/L-0.69 mg/L로 높아져 유입수 내 보론 농도가 다량 유입될 시 유입수 블렌딩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휴믹산의 경우 10 mg/L 수준일 경우 TDS 농도 22,500 mg/L가 27,000 mg/L 보다 제거율이 높게 나타났지만, 휴믹산이 5 mg/L 수준일 경우 TDS 농도 18,000 mg/L가 15,000 mg/L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편, 휴믹산이 주입되었을 때 UF-SWRO 공정에서는 오히려 플럭스(flux)와 회수율(recovery rate)이 증가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파울링 물질이 $Ca^{2+}$와 휴믹산의 결합에 의해 대부분 제거되어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UF-SWRO를 이용한 해수 담수화 시 보론 농도와 휴믹산 제거측면에서 TDS 농도가 낮을수록 유리하다고 판단된다.

Boron removal from model water by RO and NF membranes characterized using S-K model

  • Kheriji, Jamel;Tabassi, Dorra;Bejaoui, Imen;Hamrouni, Bechir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7권3호
    • /
    • pp.193-207
    • /
    • 2016
  • Boron is one of the most problematic inorganic pollutants and is difficult to remove in water. Strict standards have been imposed for boron content in water because of their high toxicity at high concentrations. Technologies using membrane processes such as reverse osmosis (RO) and nanofiltration (NF) have increasingly been employed in many industrial sectors. In this work, removal of boron from model water solutions was investigated using polyamide reverse osmosis and nanofiltration membranes. RO-AG, RO-SG, NF-90 and NF-HL membranes were used to reduce the boron from model water at different operational conditions. To understand the boron separation properties a characterization of the four membranes was performed by determining the pure water permeability, surface charge and molecular weight cut-off. Thereafter, the effect of feed pressure, concentration, ionic strength, nature of ions in solution and pH on the rejection of boron were studied. The rejection of boron can reach up to 90% for the three membranes AG, SG and NF-90 at pH = 11. The Spiegler-Kedem model was applied to experimental results to determine the reflection coefficient of the membrane ${\sigma}$ and the solute permeability $P_s$.

BDD 전극을 이용한 축산폐수 처리의 적용성 평가 (Evaluation of the Applicability of Livestock Wastewater Treatment using Boron-Doped Diamond (BDD) Electrodes)

  • 김현구;안대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465-475
    • /
    • 2023
  •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treatment efficiency of livestock wastewater by altering the current density using boron-doped diamond (BDD) electrodes. As the current density was adjusted from 10 to 35 mA/cm2, the removal efficiency of organic matter increased from 22.2 to 71.5%. Similar to that of organic matter, the removal efficiency of color increased with increasing current density up to 85.7%, indicating a higher removal efficiency for color than that of organic matter. The removal efficiency of ammonia nitrogen increased from 14.6 to 53.3% as the current density increased, but it was lower than that of organic matter. In addition, the removal of organic matter, color, and ammonia nitrogen followed first-order reactions, according to the reaction rate analysis. The energy consumption ranged from 4.87 to 8.33 kWh/kg COD, and it was found that the organic matter removal efficiency was more efficient at high current densities. Based on various analyses, the optimal current density was 20 mA/cm2, and the corresponding energy consumption was 6.824 kWh/kg COD.

정삼투막에 의한 붕산함유 방사성 폐액 처리를 위한 pH 및 이온강도 영향 (Influence of pH and Ionic Strength on Treatment of Radioactive Boric Acid Wastes by Forward Osmosis Membrane)

  • 최혜민;황두성;이근우;문제권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93-198
    • /
    • 2013
  • 일반적으로 역삼투압 공정에 의해 중성 pH 조건에서 40~90%의 붕소를 회수할 수 있다.정삼투공정은 새로운 선진 기술로 폐수처리 및 담수화 분야에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삼투공정으로 방사성 액체 폐기물의 붕소제거 가능성을 고찰하고자 하는데 있다. 액체폐기물에서의 붕소 제거를 위한 정삼투공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pH, 삼투압, 용액의 이온강도 등을 고려하였다. 폐액의 붕산분리능을 좌우하는 주 조업변수인 pH 조건은 pH 7 이하에서 80% 이상의 붕소분리를 달성할 수 있었다. 약 1,000 mg/L 정도의 염농도에서는 막의 물의 플럭스는 거의 영향이 없었으나 붕소 투과율은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공급액 내 붕소 농도 증가에 따라 붕소플럭스는 선형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붕소의 투과율은 약 80% 정도로 일정하였다.

막 분리 공정을 이용한 1차 계통 실리카 제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ilica Removal in Primary System using the Membrane Process)

  • 김봉진;이상진;양호연;김경덕;정희철;조항래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대회
    • /
    • pp.137-144
    • /
    • 2005
  • 원전 1차 계통내에 실리카는 알카리 토금속(Ca, Mg, Al 등)과 결합하여 원전 연료 피복재에 열전달을 방해하는 규석층(Zeolite)를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규석층은 원전 피복재 손상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원전 1차 계통내 실리카의 문제점들은 EPRI 보고서 등에 그 문제점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으며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막분리 공정을 이용하고자 하였다. 먼저 실험실 규모의 실험을 통해 NF막의 실리카 제거율이 약 $60\;{\sim}\;70\%$, Boron 제거율이 약 $10\;{\sim}\;20\%$로 그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FilmTec과 Osmonics 사 NF막 제품 4종에 대하여 현장 실험을 수행하였다. 현장 사용후연료 저장 붕산수 400L를 시료로 한 실험에서 운전압력 $10kg_{f}/cm^2$에서 FilmTec 사의 NF90-2540이 실리카 제거율이 약 $98\%$, Boron 제거율이 약 $43\%$로 확인되었으며 또한 NF270-2540이 실리카 제거율이 약 $38\%$, Boron 제거율이 약 $3.5\%$로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장기운전 특성 실험 등의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최적의 실리카 제거를 위한 막 분리공정을 설계 할 예정이다.

  • PDF

FO와 RO의 붕소 제거 비교를 통한 FO의 안정성 평가 (Safety Evaluation of FO through Comparison of Boron Removal in Forward Osmosis(FO) and Reverse Osmosis(RO))

  • 김창우;이상엽;홍승관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10년도 정기 학술발표대회
    • /
    • pp.101.2-101.2
    • /
    • 2010
  • 현재 forward osmosis(FO)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FO에 대한 안정성 평가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많은 연구로 안정성을 인정받고 있는 RO와 직접 비교를 통하여 FO의 붕소에 대한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 PDF

Friction and Wear Properties of Boron Carbide Coating under Various Relative Humidity

  • Pham Duc-Cuong;Ahn Hyo-Sok;Yoon Eui-Sung
    • KSTLE International Journal
    • /
    • 제6권2호
    • /
    • pp.39-44
    • /
    • 2005
  • Friction and wear properties of the Boron carbide ($B_{4}C$) coating 100 nm thickness were studied under various relative humidity (RH). The boron carbide film was deposited on silicon substrate by DC magnetron sputtering method using $B_{4}C$ target with a mixture of Ar and methane ($CH_4$) as precursor gas. Friction tests were performed using a reciprocation type friction tester at ambient environment. Steel balls of 3 mm in diameter were used as counter-specimen. The results indicated that relative humidity strongly affected the tribological properties of boron carbide coating. Friction coefficient decreased from 0.42 to 0.09 as the relative humidity increased from $5\%$ to $85\%$. Confocal microscopy was used to observe worn surfaces of the coating and wear scars on steel balls after the tests. It showed that both the coating surface and the ball were significantly worn-out even though boron carbide is much harder than the steel. Moreover, at low humidity ($5\%$) the boron carbide showed poor wear resistance which resulted in the complete removal of coating layer, whereas at the medium and high humidity conditions, it was not.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and Auger electron spectroscopy (AES) analyses were performed to characterize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worn surfaces. We suggest that tribochemical reactions occurred during sliding in moisture air to form boric acid on the worn surface of the coating. The boric acid and the tribochemcal layer that formed on steel ball resulted in low friction and wear of boron carbide coa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