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ok

검색결과 4,124건 처리시간 0.025초

INEX Book Search 트랙의 실험 고찰 (Task Review of INEX Book Search Track)

  • 박미성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199-225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XML 검색 추진체인 INEX의 실험트랙 중에서 Book Search 트랙의 실험을 소개하고 실험방법을 분석함으로 XML기반의 디지털화된 도서 검색에 대한 관심과 더 많은 연구를 이끌어내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첫째, INEX 실험트랙, 실험트랙 참여방법, 절차 및 참여기관을 상세히 소개한다. 둘째, INEX의 다양한 실험트랙 중, 디지털화된 도서검색을 위한 Book Search 트랙을 소개하기 위해, 이 트랙의 테스트컬렉션과 실험태스크, 실험결과 제출방법 및 평가방법을 제공한다. 셋째, 2007년에 시작된 INEX Book Search 트랙의 연구 논문들을 분석해봄으로 향후 연구과제들을 밝혀본다. 본 연구가 INEX 실험트랙에 대한 관심과 디지털화된 도서검색에 대한 관심을 국내에서 불러일으키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 PDF

사용자 영화취향을 반영한 크로스미디어 플랫폼 도서 추천 시스템 (Cross Media-Platform Book Recommender System: Based on Book and Movie Ratings)

  • 김성섭;한선우;목하은;최혜봉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582-587
    • /
    • 2021
  • 도서 취향을 고려하여 도서를 추천해주는 도서 추천 시스템은 사용자의 독서 경험과 독서에 대한 인식 개선에 효과적이다. 축적된 사용자 평점 기록이 상대적으로 적은 도서의 경우 추천 정확도에 한계가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풍부한 사용자 평점 데이터를 가진 영화 평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맞춤형 도서를 추천하는 추천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을 통해 도서 추천의 정확도를 높이고 보다 다양한 종류의 추천을 수행하는데 효과적임을 보였다. 영화 평점 데이터를 활용한 도서추천 시스템은 도서 분야 외 타 미디어 플랫폼의 데이터를 도서추천에 활용하는 의미 있는 시도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

노인성질환의 한.양약 병용약물사용지침서 작성 매뉴얼에 관한 연구 (Study on Manual of Guideline Book for Combined Medicaion of the Oriental and the Western Drugs in the Disease of the Aged)

  • 전원경;서부일;한창현;김대준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1-27
    • /
    • 2011
  •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design manual of guideline book for combined medicaion of the oriental and the western drugs in the disease of the aged. Method : First, we collected informations about guideline book for drug medication, and we investigated wishes of professors who are working for an oriental medicine at universities. Result & Conclusion : 1. The greater part of professors recognized necessity of guideline book for combined medicaion of the oriental and the western drugs. 2. The basic stages of framing guideline book for combined medicaion of the oriental and the western drugs are as follows. The first step is planning of framing guideline book for combined medicaion of the oriental and the western drugs. The second step is organization of framing group and advisory committee for guideline book. The next steps are searching the core of items and making a searching all the literature and estimating the literature. And then, we should complete basic contents of guideline book in a row, and those must be examined thoroughly by external experts. Finally we can make public the guideline book for combined medicaion of the oriental and the western drugs. If there are reform contents in the guideline book, we can amend contents and make public the revision guideline book again. 3. We need guideline information center for combined medicaion of the oriental and the western drugs in the disease of the aged for framing, wide-spread and development of guideline book. 4. We think that the guideline information center should be composed of a steering committee, a committee of controlling informations and advisory committee for guideline book.

우리나라 도서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도서기호법에 관한 실태조사연구 (A Study on the Present Book Numbers Used in Korean Libraries)

  • 이양숙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8권
    • /
    • pp.23-70
    • /
    • 1995
  • This study is to survey the present book numbers used in Korean libraries. to analyze their problems. and to suggest improvement in the book numbers. As the results of the survey several suggestions are derived as follows. 1. The education to the librarians about the kinds and the application methods of the book numbers used in Korean libraries should be sufficiently offered. 2. The present book numbers used should be expanded in detail for avoiding the duplication of the call numbers. Also when book numbers are assigned. shelf list cards should be examined one by one not to give the same number. If the book numbers are overlapped in the state not to expand further. libraries should establish a detailed expansion rules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situation and maintain it consistently. However, it is impossible for libraries operating open stack systems to arrange books on the shelves in call number sequence, therefore libraries can solve the problems as they accept duplication cases. 3. Since the object word of main mark IS a heading In main entry, we must apply cataloging rules to it closely. 4. For expanding book numbers widely it is desirable that the subsidiary mark of the book numbers which is the most prevalent in general and will be the most preferable In the future through the survey should be added and be provided. 5. The book numbers used being changed, we are to assign new book number leaving former materials as they are at the point of adopting a new book number. So aged materials are stored in a repository or on a compact shelf in the stack, will be discarded or weeded according to subjects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6. With library automation bringing together all the books of an author in a particular subject or in a particular form and avoiding completely duplication in open stack systems are meaningless. Rather than chronological book numbers, distinguishing clearly new materials from aged materials and controlling the stack spaces mechanically and effectively, can be regarded as the most modern and future-oriented of all the book numbers.

  • PDF

도서원현상을 통해 본 공공도서관 이용자에 대한 인식의 문제 (Problems in defining public library users as viewed through the 'book-room' phenomenon in Pusan)

  • 김영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19권
    • /
    • pp.145-209
    • /
    • 1992
  • This study, that is made by an on-the-spot survey and a library survey, is aimed at finding some problems in the recognition regarding public library users and suggesting the clue to solve the problems revealed in the way of having compared with 'Book-Room' and Public Library. Poor material was always a troublemaker in this study. Especially the part of 'Book-Room' phenomenon is wholly dependent upon a field survey, that is, interview with a 'book-room' clerks, gathering the advertising leaflets, a close observation on 'Book-Room', etc. There are little printed materials, much less precedent research theses. In the other parts of this paper, there are needed good statistical materials, but the nortion presented in the public library user statistics-for example pupil, students, housewives, old men, the generality of people, etc.- is so vague that it is insufficient and unhelpful for this study. In my judgment, with all these limitations, this article gets some results as follows : 1. 'Book-Room' is the cultural organization which is being operated by, for, of the community inhabitants and it takes on the character of movement - labor movement, cultural movement, and community movement. 2. The pioneer of the Book-Room is 'Yangso Hyupdong chohap' (which means good book- cooperative association) lasted from 1978 to the next year. 3. 'Arom'(means learning) Book-Room is the first real Book-Room at Seomyon district in Pusan established in 1987. 4. Book-Room can be classified by its character as 'Labor BookRoom' and 'Cultural Book-Room'. There are 10 Labor BookRooms and 4 Cultural Book-Rooms in Pusan. 5. Labor Book-Rooms organized themselves to 'Labor Book-Room conference'. 6. Book-Rooms have done their best to extort the needs and interests of the community inhabitants, but relatively public libraries do not, hence the majority of residents are neglected from the public library service. This is at Book-Rooms' back to have been spread so quickly. 7. There is a very large gap between the component ratio of community inhabitants by class and that of public library users by same criterion, that is, in the case of the former, the labor class goes beyond a half point, in the latter, the majority of public library user is composed of students and housewives. 8. Researchers and librarians have concentrated their attention and effort not upon whole residents in community but upon existing users at present time. They do not try to develope potential users. So, researchers' and librarians' recognition regarding the public library users needs to be changed. 9. The concept of 'core-user' may be the key to solve the problems related with public library users. For the purpose of ensuring the 'core-user',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community and inhabitants.

  • PDF

e-book 활성화 방안 (The Activation of e-book service)

  • 조현주;안계성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00년도 제7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93-196
    • /
    • 2000
  • 최근 디지털 콘텐츠 산업에서 커다란 이슈가 되고 있는 e-book은 그 명칭부터 성격, 성장 가능성 등이 아직은 불분명하며, 해결해야할 기술적·정책적 과제들이 많이 남아 있다. e-book은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의 한 유형으로서 다양한 영역과 연계되어 있다. e-book과 관련된 주요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다양한 측면을 고려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본다.

  • PDF

그림책 서평의 시각적 문식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isual Literacy for Picture Book Reviews)

  • 민경록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83-108
    • /
    • 2017
  • 도서관은 독자에게 독서정보를 제공하여야 할 의무와 책임이 있는 대표적 기관이며, 사서는 독자에게 도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아낌없는 상담과 조언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독자들의 그림책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도서관과 사서는 훌륭한 그림책은 어떤 것인지? 유사한 종류의 다양한 도서 중 어떤 것을 선택할 것인지? 등의 도서 선택과 독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그림책 서평을 정기적이고 지속적으로 작성 제공하여 독자들의 독서정보를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문학과 예술의 복합장르인 그림책 서평을 작성하기 위하여서는 내용소개는 물론 시각 텍스트에 관한 문학적 상징성 등의 해설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사서는 작가의 사상과 철학을 이미지로 형상화한 심층적인 의미를 읽을 수 있는 시각적 문식성을 갖추어야 한다. 이에 옛 이야기 "빨간모자"를 다룬 두 작가의 그림책을 비교 분석하여 그림책 서평 작성 시 참고하여야 할 시각적 텍스트에 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사람 책 참여자의 체험 현상 분석 연구 -경기도교육청의 사람 책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A Study or Analysis of the Phenomenal Experiences with Human Book - Focusing on the Human Book Program at the G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

  • 임성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53-176
    • /
    • 2017
  • 이 연구는 사람 책의 실제 체험을 통해 겪게 되는 주관적인 경험을 현상학적 관점에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문헌들을 고찰하고 선행되어진 논문자료들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사람 책 체험의 현상학적 특성을 도출하기 위해 연구 대상자를 선정하고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로는 경기도 교육청 소속으로 사람 책 활동을 2년 이상 하고 있는 분들 3명으로서, 심층 인터뷰의 내용은 첫째, 사람 책의 필요성, 둘째, 사람 책 활동을 통한 체험, 셋째, 사람 책에 대한 인식의 변화, 넷째, 사람 책 적용의 개선점의 4가지로 분류하여 인터뷰 하였다. 그 결과 사람 책 활동에 참여한 학교 및 독자 수, 사람 책의 숫자는 계속 확장되었고, 더불어 사람 책 활동은 참여 독자들은 물론이고 사람 책 자신에게도 성장의 기회가 되었다.

RealBook: TouchFace-V 인터페이스 기반 실감형 전자책 (RealBook: A Tangible Electronic Book Based on the Interface of TouchFace-V)

  • 송대현;배기태;이칠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551-559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중심의 제스처 인식과 직관적인 다중 터치가 가능한 TouchFace-V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제작된 실감형 전자책 RealBook시스템에 대하여 제안한다. 제안한 인터페이스는 기존 테이블탑 디스플레이의 단점으로 지적되는 제한적인 공간 활용 및 이동성 문제를 개선한 인터페이스로 테이블과 같이 평평한 곳이면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간단한 설치 및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영상 처리 기술 외에 별도의 센싱 기술을 사용하지 않고 손가락 다중 터치 기능 및 다양한 손 제스쳐 인식 기능을 구현했을 뿐만 아니라, 컴퓨터와 사용자간의 상호작용을 쉽고 자연스럽게 해주는 장점이 있다. 제안한 실감형 RealBook은 종이책의 아날로그적 감성과 디지털 전자책의 멀티미디어 효과를 접목시킨 전자책으로, 책에 있는 내용을 바탕으로 다양한 스토리를 구현하여 독자의 선택에 따라 각기 다른 스토리 진행이 가능하다. 독자들은 책 공간 안에서 다양한 상호작용을 통한 새로운 경험을 체험할 수 있다. 실험을 통해 제안한 시스템의 효율성을 입증하고 나아가 다중 터치 기술을 이용한 콘텐츠 시장이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그림책에 대한 생산자와 소비자의 인식 차이 연구 (Recognition of Picture Book Makers(Editors/Writers) and Consumers(Parents of Young Children/Preschool Teachers) about Picture Books)

  • 박혜원;김정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43-56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differences between picture book makers(editors/writers) and picture book consumers(parents of young children/preschool teachers) about picture books. The study subjects were 69 children's book-editors(editors, designers), 72 children's book-writers, 78 parents of young children, and 79 preschool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y differently recognized the effects of good picture books on children's development, and the contents and components of picture books. However, both groups preferred creative stories to traditional stories and agreed on the children's preferences of the book genre and characteristics. Second, picture book makers and consumers were differently aware of the quality of Korean picture books published in Korea but they agreed on the quality of foreign picture books. They thought that more picture books with better contents and formality on the imaginary, artistic, and real-life related themes needed to be published in Korea. Third, the book makers and consumers obtained information on the picture books in the book stores and libraries in most cases. The book makers were more interested than the consumer in the picture, writer, cover design, and publishing company of the books, whereas the consumers placed a higher priority in the purchase process. Both groups pointed out the non-professional editing and sales policy as the problems in the Korean publishing compa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