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ast-resistance

검색결과 530건 처리시간 0.022초

Simultaneous Expression of the Protease Inhibitors in a Rice Blast-Resistant Mutant

  • Han, Chong U.;Lee, Chan-Hui;Choi, Gyung-Ja;Kim, Jin-Cheol;Ahn, Sang-Nag;Choi, Jae-Eul;Cha, Jae-Soon;Cho, Kwang-Yun;Lee, Seon-Wo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1권4호
    • /
    • pp.402-405
    • /
    • 2005
  • We have previously identified genes for four different protease inhibitors (PIs) that were induced upon rice blast infection in a rice blast resistant mutant SHM-11. Our expression analysis of the PIs indicated that induction of the PIs was the highest 24 hr after rice blast inoculation in the rice mutant SHM-11. Three PIs in the group of serine PIs were highly expressed while a cystein PI was weakly expressed upon rice blast inoculation. Four PIs were weakly induced 48 hr after pathogen inoculation in rice blast susceptible wild type rice plant. The simultaneous expression of three serine PIs was apparent from SHM-11 and two of them were induced in rice blast resistant Taebaegbyeo. One of them was induced in rice blast resistant Hwayeongbyeo while none of them were expressed in rice blast susceptible Nagdongbyeo and rice blast resistant Dongjinbyeo.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expression of PI gene is rice cultivar specific and may be linked with the rice blast resistance in a specific rice mutant by the simultaneous expression of the PI genes.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관형 구조물의 폭발량에 따른 내부폭발저항성능에 관한 실험적 평가 (Experimental Evaluation of Internal Blast Resistance of Prestressed Concrete Tubular Structure according to Explosive Charge Weight)

  • 최지훈;최승재;양달훈;김장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9권3호
    • /
    • pp.369-380
    • /
    • 2019
  • PSC 구조물에 폭발과 같은 극한하중이 짧은 시간 동안 발생하게 되면 급작스러운 파괴와 그로 인한 수많은 인명 및 재산피해를 발생시킨다. 하지만 원전격납구조물, 가스탱크와 같은 PSC 구조물의 경우 방호 및 방재개념이 포함된 구조설계가 적용되지 않은 실정이며, 특히, 구조물 내부에서 발생하는 폭발압력하중은 피해규모가 외부폭발에 비해 훨씬 크기 때문에 내부폭발하중에 대한 검증은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원전격납구조물의 내부폭발에 대한 저항성능을 검토하기 위해 이방향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축소모형을 제작하였다. 내부폭발 실험은 22.68, 27.22, 31.75 kg (50, 60, 70 lbs)의 ANFO 폭약을 이용하여 시편으로부터 1,000 mm의 거리에서 폭발시켰으며, 압력하중, 처짐, 변형률, 균열형상, 긴장력 변화 등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이용하여 원전격납구조물의 내부폭발하중 발생 시 손상도 범위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폭발하중을 받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실험적 거동분석 : (II) 초고강도 콘크리트 및 RPC 슬래브의 실험결과 (Behavior Analysis of Concrete Structure under Blast Loading : (II) Blast Loading Response of Ultra High Strength Concrete and Reactive Powder Concrete Slabs)

  • 이나현;김성배;김장호;조윤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5A호
    • /
    • pp.565-575
    • /
    • 2009
  • 최근, 테러 및 전쟁과 관련된 폭발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도심지에서는 이러한 폭발사고로 인해 인명피해 뿐 아니라 주요 시설물에도 큰 손상이 가해져 제2차, 3차의 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폭발사고에 대하여 인명 및 시설물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구조물에 가해지는 폭발하중 효과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폭발하중은 매우 빠른 시간 내에 콘크리트 구조물에 큰 압력으로 작용하는 하중이므로 변형률 속도와 구조물의 국부적인 손상을 고려하여 동적응답을 평가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는 다른 건설재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폭발저항성을 가진 재료이지만, 일반강도 콘크리트는 충격 및 폭발하중에 대하여 충분한 저항성능을 가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방호설계에서는 고에너지 흡수력과 높은 파괴저항성을 지니는 새로운 재료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활발하게 연구 중인 초고강도 콘크리트(UHSC)와 Reactive Powder Concrete(RPC)에 대한 방폭성능을 평가하고자 한다. UHSC와 RPC는 강도 및 성능향상, 부재의 치수 및 중량 감소, 내진저항성 향상과 같은 장점들로 인해 초고층건물 및 초장대교량에서 사용되어지고 있다. 또한 UHSC와 RPC는 9.11테러와 같은 테러 및 충격하중에 의한 사회주요시설물의 방호설계에 적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폭발하중에 대한 UHSC 및 RPC 구조물의 거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1.0m{\times}1.0m{\times}150mm$의 슬래브 구조물 시편을 제작하여 폭발실험을 수행하였으며, 폭발파의 특성 뿐만 아니라 최대 및 잔류 변위와 철근과 콘크리트 표면에서 변형률을 측정하여 구조물의 거동을 분석하였다. 또한 손상 및 파괴모드를 각 시편별로 측정하였다. 본 실험을 통해 UHSC 및 RPC가 일반강도콘크리트에 비해 폭발저항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고로(高爐)슬래그 미분말(微粉末)을 사용(使用)한 라텍스개질(改質) 콘크리트의 기초물성(基礎物性) 연구(硏究) (Study of Fundamental Properties of Latex-Modified Concrete Using Blast-furnace Slag)

  • 홍창우;정원경;김경진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5권2호
    • /
    • pp.10-17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고로슬래그 미분말 혼입률에 따른 라텍스개질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과 내구성에 관한 기초물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라텍스 혼입률 변화(0%, 10%, 15%)와 고로슬래그 혼입률 변화(0%, 30%)를 실험변수로 하였으며, LMC와 BS-LMC의 특성분석을 위하여 압축강도, 휨강도 그리고 내약품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압축강도와 청강도에서 고로슬래그 미분말 혼입이 장기재령에서 강도 증진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라텍스 혼입률 10%이상에서의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사용은 매우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라텍스 혼입률 10%와 고로슬래그 미분말 혼입률 30%에서 BS-LMC의 투수저항성은 재령 90일에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로슬래그 미분말이 OPC 및 LMC에 혼입되면 투수저항성 및 화학저항성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韓國) 수도품종(手稻品種)의 도열병(稻熱病) 저항성(抵抗性)에 관(關)하여 2. 통일형(統一型) 품종(品種) (Resistance of Varieties to Rice Blast in Korea 2. Tongil Type of Rice Varieties)

  • 최재을;박종성;박남규
    • 농업과학연구
    • /
    • 제16권2호
    • /
    • pp.129-137
    • /
    • 1989
  • 통일형(統一型) 수도품종(水稻品種)의 도열병저항성(稻熱病抵抗性) 내력(來歷)과 밭못자리 점검결과(點檢結果)에 따라 수도품종군(水稻品種群)을 구분(區分)하면 다음과 같다. 1. 통일(統一), 조생통일(早生統一), 영남조생(嶺南早生), 황금(黃金)벼, 호남조생(湖南早生), 어풍(魯豊), 이리(裡里)326, 밀양(密陽) 21호(號), 밀양(密陽) 22호(號), 밀양(密陽) 23호(號), 내경(來敬) 금강(錦江)벼, 만석(萬石)벼, 용문(龍門)벼, 용주(龍珠)벼의 도열병저항성(稻熱病抵抗性)은 IR 8 또는 IR24에서 유래(由來)되었다. 2. 밀양(密陽)30호(號), 남풍(南豊)벼, 밀양(密陽) 42호(號)의 도열병저항성(稻熱病抵抗性)은 IR 946 또는 IR 1539에서, 삼성(三星)벼, 서광(曙光)벼, 풍산(豊産)벼, 신광(新光)벼의 도열병저항성(稻熱病抵抗性)은 IR 1545에서 유래(由來)되었다. 3. 팔광(八光)벼, 수정(水晶)벼, 한강(漢江)찰벼, 백운(白雲)찰벼, 삼강(三剛)벼, 원풍(圓豊)벼의 도열병저항성(稻熱病抵抗性)은 IR 2061(IR 29)에서, 태백(太白)벼와 추풍(秋風)벼는 IR 747, 가야(伽倻)벼는 IR32에서 유래(由來)되었다. 4. 청청(靑靑)벼의 도열병저항성(稻熱病抵抗性))은 IR2035에서, 중원(中原)벼와 남영(南榮)벼는 IR5533에서, 장성(長城)벼는 HR2797 또는 HR 1671에서 유래(由來)되었다. 5. 통일형(統一型) 품종(品種)은 밭못자리의 앞도열병(稻熱病) 반응(反應)에 따라 통일(統一), 밀양(密陽)30호(號), 백양(白羊)벼, 태백(太白)벼 품종군(品種群)으로 대별(大別)되었다.

  • PDF

국내 주요 벼 품종의 한국과 필리핀 도열병 균주에 대한 저항성 평가 (Blast Reaction of Korean Rice Cultivars against Korean and Philippines Isolates)

  • 노재환;조영찬;오인석;김연규;한성숙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94-400
    • /
    • 2008
  • 한국에서 육성한 131개 벼 품종을 이용하여 한국과 필리핀 도열병 균주에 대한 저항성 양상을 조사하여 벼 도열병 저항성 육종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1. 한국과 필리핀에서 밭못자리 검정을 실시한 결과, 전체 품종의 평균 잎도열병 발병정도는 한국에서 4.6으로 필리핀에서 2.0보다 2배 이상 높게 나타났으며, 시험품종 가운데 양국에서 저항성 반응이 서로 다르게 나타난 품종의 비율이 60.3%로 나타났다. 2. 양국에서 수집된 도열병 균주를 이용한 유묘접종검정 결과, 한국 수집 도열병 균주들이 필리핀 수집 균주들보다 병원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시험품종을 침해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던 균주는 한국 균주에서는 93-093, 필리핀 균주에서는 92329-9이었으며, 각각 68.7%와 47.3%의 품종 침해비율을 나타내었다. 3. 도열병 저항성 반응이 다른 9개 품종을 이용한 내구저항성 평가 결과, 팔공벼, 섬진벼, 태백벼, 삼강벼, 밀양23호 등 5품종은 한국 및 필리핀 균주를 이용한 연계검정에서 공히 낮은 병반면적율을 나타내어 내구저항성 품종으로 구분되었다. 4. 한국 연계검정에서 내구성이 낮았던 일품벼와 기호벼는 필리핀 균주를 이용한 연계검정에서 일품벼는 내구저항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기호벼는 3차 파종부터 병반면적율이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품종의 내구저항성 평가는 환경에 존재하는 친환성 균주수와 균주와 품종간 친화성 정도가 병의 진전 및 확산에 함께 관여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벼 도열병에 대한 품종의 지속저항성 발현요인에 관한 연구 3. 품종과 도열병균 레이스의 상호관계 (Factors Affecting the Expression of Durable Resistance of Rice Cultivars to Blast Caused by Pyricularia grisea Sacc)

  • 라동수;오정행;한성숙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90-94
    • /
    • 1997
  • Interaction of races of rice blast fungus and cultivars has been evaluated. Dongjinbyeo was infected by four KJ races and two KI races, while other varieties were susceptible to four to six KJ or KI races. Among the single spores reisolated from the leaf blast lesion of Dongjinbyeo after mixed inoculation of 10 races, 63% was race KJ-301 which produced a small number and small size lesions, while 30% was race KI-313 which produced a large number of lesions. However, 93% of single spores reisolated from Palgongbyeo was a highly virulent race KJ-105. On the other hand, all the races were equally reisolated from the susceptible cultivar Jinmibyeo. Frequency of races isolated from the naturally infected leaf blast lesions in the field was similar to that of reisolated races from the cultivars inoculated with 10 mixed races in the greenhouse. However, 30% of single spores isolated from the naturally infected Dongjinbyeo was race KI-329 ut ace KI-313 was not detected. Genetic relationship of the isolates collected from leaf and neck blast fungus of Jinmibyeo and Nakdongbyeo showed specific bands on RFLP-P64, However, their genetic similarity was 80%.

  • PDF

도열병저항성 변이계통의 선발을 위한 인공접종법 (A simple screening technique for blast resistant mutants from the radiation irradiated rice populations)

  • 권신한;오정행;송희섭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5권
    • /
    • pp.141-143
    • /
    • 1974
  • 본답에서 재배되고 있는 방사선돌연변이계통들의 도열병 저항성 검정을 위하여 절리엽편접종법이 시도되었다. 즉 포장에서 절취한 잎을 항온항습실내에서 punch압상을 만들고 그 위에 도열병균의 포자현탁액을 접종한 후 형성된 병반의 크기를 측정하여 계통간의 저항성정도를 비교한 결과 방사선조사된 풍광으로부터 Upland short row method에 의하여 선발된 저항성계통들은 모품종 풍광에 비하여 저항성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방법은 포장에서 재배되는 성숙식물체의 도열병저항성 검정을 위한 하나의 선발방법으로서 효과적이라 생각되었다.

  • PDF

고로서냉슬래그 미분말 사용 모르터의 물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ortar Using the Ground Granulated Blast-Furnace Slag)

  • 박정우;최창기;김우재;김성식;임남기;정상진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0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07-112
    • /
    • 2000
  • In this study, when ground granulated blast-furnace slag is intermixed to mortar, the strength test, watertightness test, resistance to chemical attack of hardened mortar are compar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replacement rate of slag. w/(cc+Bs) and Ground Granulated Blast-furnace slag. As a result, compared with ordinary portland cement, ground granulated blast-furnace slag intermixed concrete shows development of a long term strength, chemical-resistance, and excellent watertightness.

  • PDF

고로 슬래그 미분말을 사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특성 (Properties of High Strength Concrete Incorporating Fine Blast Furnace Slag)

  • 이봉학;이주형;홍창우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59-67
    • /
    • 1998
  •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ength characteristics and the freeze-thaw resistance of high strength concrete incorporating fine blast furnace slag. Major experimental variables were the water/cement ratio, maximum size of coarse aggregate, and cement types such as ordinary portland and slag ce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The workability of fresh concrete incorporating fine blast furnace slag was better than that of OPC(ordinary Portland cement) in terms of slump. The freeze-thaw resistance showed better than that of OPC, keeping more than 90% of relative modules of elasticity after 506 cycles and showing only a hair crack at surface without serious damage. Thus, the fine blast furnace slag might be recycled at concrete to make high strength concrete at field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