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ack spot

검색결과 186건 처리시간 0.03초

Detection of Myrothecium Leaf Spot, A New Disease of Watermelon

  • Kim, Dong-Kil;Bae, Dong-Won;Lee, Sun-Chul;Han, Ki-Soo;Kim, Hee-Kyu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9권4호
    • /
    • pp.200-202
    • /
    • 2003
  • Leaf spots were first observed on watermelon (Citrullus vulgaris Schrad) under polyethylene film-covered green-house in November 2002. Symptoms appeared as dark-brown circles or large irregular spots on the leaves of watermelon. Occasionally, zonal growth of the lesions was observed. Under humid conditions, small black sclerotium-like bodies (sporodochia) were produced on the surface of the lesions. The sporodochia on leaf lesions were sessile, polymorphic, variable in size, 35-850 $\mu\textrm{m}$ in diameter, and 30-470 $\mu\textrm{m}$ in depth. Conidia in sporodochium were black in mass, one-celled, rod-shaped, with rounded ends, hyaline, guttulate, and measured 6-8$\times$1.6-2.2 $\mu\textrm{m}$ in size. The pathogen was identified as Myrothecium roridum Tode ex Fr. This is the first report of Myrothecium leaf spot on watermelon naturally occurring in commercial greenhouses.

Three Juvenile Snappers of the Genus Lutjanus (Perciformes: Lutjanidae) Collected from Jeju Island, Korea

  • Kim, Byung-Jik;Nakaya, Kazuhiro;Endo, Hiromitsu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0권2호
    • /
    • pp.68-73
    • /
    • 2007
  • Based on four juvenile specimens of Lutjanus collected from the southern coast of Jeju Island, three species, L. argentimaculatus, L. fulviflamma, and L. quinquelineatus, are described as the first record from Korea. The first species is easily differentiated from other lutjanid juveniles by distinct coloring of the dorsal, pelvic, and anal fins as well as two blue lines below the eye; the second species is characterized by having six yellowish brown stripes below the lateral line and a black spot on the side; the third species is identified by five longitudinal blue stripes and a black spot on the side when fresh. The new Korean names "Bul-geun-tung-dom," "Yuk-seon-jeomtung-dom," and "O-seon-tung-dom" are proposed for L. argentimaculatus, L. fulviflamma, and L. quinquelineatus, respectively.

배나무잎 이상반점증상에 관한 연구 - 2. 원인구명 - (Studies on the Pear Abnormal Leaf Spot Disease - 2. Identification of Causal Agent -)

  • 남기웅;김충회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10-216
    • /
    • 1995
  • Alternaria spp.were predominantly isolated from the abnormal leaf spot lesions of pear cultivars Niitaka and Nijiiseiki. Alternaria isolates from the cultivar Niitaka were not pathogenic to both cultivars, but the isolates from the cultivar Nijiiseiki developed typical lesions of black leaf spots and were identified as A. kikuchiana. However, no typical abnormal leaf spot lesions were produced by the Alternaria isolates. Foliar spray of twelve different agrochemicals including lime sulfur, either alone or in combinations, with 7 times applications from April to July failed to reduced the disease development. Application of 17 different pesticides including fungicides, insecticides and herbicides currently used in pear orchards did not cause leaf injury similar to the abnormal leaf spot. Simulated acid rain of as low as pH 3.0 did not incite any leaf lesions alike the abnormal spot lesions. Mineral contents in the leaves of both cultivar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 healthy leaves and those with abnormal leaf spots. When cuttings of pear tree were obtained in February from newly emerged twigs of the healthy or the diseased trees of Niitaka and planted in sand in the greenhouse, only those from the diseased trees developed typical leaf lesions of the abnormal spo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bnormal leaf spots are caused by unknown systemic agents in pear trees, rather than by Alternaria spp., chemical injury or acid rain.

  • PDF

약제별 및 살포시기별 자두 검은점무늬병 방제효과 (Control Efficacy of Different Types of Chemicals with Different Spraying Schedules on Plum Bacterial Black Spot)

  • 류영현;이중환;권태영;김승한;김동근
    • 식물병연구
    • /
    • 제18권4호
    • /
    • pp.349-353
    • /
    • 2012
  • 자두 검은점무늬병은 Xanthomonas arboricola pv. pruni에 의한 세균성 병해로 과실표면에 검은 반점형태의 병징이 발생하여 과실 상품성을 저하시켜 자두 재배농가에 큰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는데 이러한 자두 검은점무늬병에 대한 효과적인 약제 방제체계를 개발하기 위하여 몇 종의 화학약제와 살포체계를 구성하여 휴면기중에는 동제 약제를 그리고 과실생육기중에는 항생제계열 약제를 살포하였는데 과실생육기중에서의 항생제계열 약제살포는 휴면기중의 동제 약제살포보다 높은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자두의 개화만개 10일 후부터 10일 간격으로 3회의 항생제계열 약제살포는 93%의 높은 방제가를 얻을 수 있었는데 비해서 휴면기중의 동제 약제살포는 26-42%의 낮은 방제가를 얻는데 그쳤다. 또한 항생제계열 약제의 처음 살포시기가 개화만개 후 20일이나 30일 보다는 개화만개 후 10일에서 더 높은 방제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배나무잎검은점병 무독수의 선발 및 품종 저항성 (Selection of Pear Trees Free from Pear Black Leaf Spot Disease and Resistant Test for Pear Tree Cultivars)

  • 오중환;남기웅;미쯔타니 푸사오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1호
    • /
    • pp.43-47
    • /
    • 2001
  • 배나무잎검은점병에 대한 종합방제 대책을 수립하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배 생산단지로부터 무독모수를 선발하기 위해서 본 병에 대한 감염 여부를 검정한 결과, 배나무잎검은점병이 발생하지 않는 6주를 확인하였다. 본 바이러스는 $40/32^{\circ}C$에서 3주간, $37/30^{\circ}C$에서 4주간 변온처리에 의해서 무독화가 가능하였으나 신초의 활착률이 매우 낮았다. 본 바이러스를 접종하여 병징이 발현하는 품종은 신고 등 7품종이었고, 발현하지 않는 품종은 수황배등 11종이었다. 품질이 우수한 저항성 품종인 수황배를 배나무잎검은점병이 발생하고 있는 신고 배나무에 고접한 결과 배나무잎검은점병이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 PDF

다양한 작물에서 세균검은점무늬병을 일으키는 Acidovorax valerianellae의 병원성이 다른 2그룹 (Two Pathogenic Groups in Acidovorax valerianellae Causing Bacterial Black Spot on the Various Crop Plants)

  • 김혜성;김영탁;박경수;이지혜;이혁인;차재순
    • 식물병연구
    • /
    • 제23권4호
    • /
    • pp.314-321
    • /
    • 2017
  • Acidovorax valerianellae는 콘샐러드에서 세균검은점무늬병(bacterial black spot)을 일으키는 병원균으로 2003년 프랑스에서 최초로 보고되었고, 2011년에 국내의 수박에서 동일한 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으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콘샐러드 분리균주와 수박 분리균주의 2 그룹 사이에 기주특이성을 확인하고 비교하였다. 병원성검정 결과 수박 분리 5균주는 박과 6가지 작물에서 병원성을 보였으나 콘샐러드에서는 병원성이 없었고, 콘샐러드 분리 4균주는 콘샐러드에서만 병원성을 나타내었다. Biolog 기질이용성에서는 총 95개 기질 중 4개(Malonic Acid, ${\alpha}-Hydroxybutyric$ Acid, ${\alpha}-Keto$ Butyric Acid, Glycyl-LGlutamic Acid)의 기질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16S rDNA 염기 서열을 이용하여 계통수를 작성하고 균주 간 유연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A. valerianellae 균주는 Acidovorax속의 다른 종과는 별개의 한 개의 clade로 그룹화되었다. 그 clade 내에서 수박 분리균주들과 콘샐러드 분리균주들이 서로 다른 2개의 소그룹으로 나뉘었다. REP-PCR 결과 또한 2개 그룹 사이에 차이를 보여주었다. 기주특이성, 기질이용성 그리고 일부 유전적 특성들은 A. valerianellae 내에 병원성이 다른 2가지 그룹 즉 수박 분리균주 그룹과 콘샐러드 분리균주 그룹이 존재함을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