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ack locust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34초

Hygroscopicity and Surface Hardness of Domestic Wood Heat-Treated at $220^{\circ}C$

  • Kang, Ho-Yang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29-234
    • /
    • 2008
  • In a previous study, it was revealed that three major softwoods, Japanese pine, Korean pine and Japanese larch, heat-treated at $220^{\circ}C$, could produce high quality dark-colored boards. It is known that heat treatment decreases the hygroscopicity of wood. The hygroscopicity of major domestic softwoods and hardwoods heat-treated at $220^{\circ}C$ was investigated by a saturated salt solution method and compared with that of black and white charcoals. Equilibrium moisture contents of wood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heat treatment time. Isotherm shapes of wood species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charcoals. Heat treatment decreases the equilibrium moisture contents of black locust more than those of Korean pine and Japanese larch. It was found that surface hardness of wood is improved by heat treatment to a certain extent, but a longer heat treatment causes thermal degradation, resulting in the decrease of the surface hardness.

  • PDF

Landscape Structure in the Greenbelt Zone around the Seoul, the Metropolis of Korea

  • Lee, Chang-Seok;Hong, Sun-Kee;Moon, Jeong-Suk;You, Young-Ha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4권6호
    • /
    • pp.385-394
    • /
    • 2001
  • An attempt to clarify the landscape structure of urban areas was carried out in the greenbelt around Seoul, Korea's metropolis. By means of aerial photographs and a field survey, a vegetation map including land-use pattern was made. Landscape structure was described by analyzing this vegetation map and the results of phytosociological survey. Landscape element types identified were (1) secondary forest, (2) plantation, (3) cultivated field, (4) urbanized area, (5) graveyard, and (6) bare rock. Vegetation units, resulting from the phytosociological analysis, included Quercus mongolica, Q. variabilis, Q. acutissima, Pinus densiflora, Q. aliena, and Alnus japonica communities. Plantations were composed of Robinia pseudoacacia, Populus tomentiglandulosa, P. rigida, Larix leptolepis, P. koraiensis, and Castanea crenata stands. Patches near to human settlements in the lower zones of the mountains were fragmented and small but they became larger towards the higher mountain zones.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patches was fewer and their size was larger in Mt. Cheonggye more distant from the principal residential area, larger in size, and higher in elevation compared with the other 2 mountains, Mt. Daemo and Mt. Acha. Floristic composition of Mongolian oak(Q. mongolica) stand distributing in the upper part of each mountain, in which artificial interference is rare, showed a difference among those study areas different in parent rock and disturbance regime. But that of black locust(R. pseudoacacia) stand located in lowland of mountainous area, in which artificial interference is frequent was similar to each other. As the results of analyses on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diameter classes of major species, dominant landscape elements, Mongolian oak forest showed different responses depending on artificial interference as continuous maintenance and retrogressive succession in the sites far from and near to the residential areas,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black locust stands showed a probability to be restore to the native oak forest through progressive succession.

  • PDF

Growth Performance of Exotic Trees in Korea

  • Lee, Hyunseok;Lim, Hyemin;Kang, Jun-Wo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5권2호
    • /
    • pp.115-120
    • /
    • 2019
  • There are many countries having a long history of exotic tree introduction from different countries and several countries including New Zealand, Brazil and Hungary have successfully introduced exotic trees. Korea's tree breeding program for introduction of exotic tree was originally started from 1924. Records reveal that hundreds of tree species were introduced from many countries and tested their germination and viability. About 415 introductions were eliminated since they had been introduced and tested. Subsequently, seven exotic trees that proved successful in trials and plantations have planted for afforestation. Simultaneously, several promising exotic trees are still under the test. In this paper, we will succinctly review and evaluate their comparative growth performance of the exotic trees in the plantation programs of the country to coping with climate change.

아까시나무림에서 인공 숲틈 처리에 대한 졸참나무 식재목 및 하층식생의 초기 반응 (Early Responses of Planted Quercus serrata Seedlings and Understory Vegetation to Artificial Gap Treatments in Black Locust Plantation)

  • 조용찬;김준수;이중효;이헌호;마호섭;이창석;조현제;배관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1호
    • /
    • pp.94-105
    • /
    • 2009
  • 아까시나무 임분은 우리나라 저지대에 주로 조성되어 있는 도입종 조림지로서, 인위적 또는 자연적 교란, 그리고 입지조건에 의해 온전한 숲의 종조성을 나타내지 못하고 있으며, 천이가 느리거나 정체되어 있다. 또한 그것의 개체들이 인접 자연림으로 침투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아까시나무 임분에서의 천이를 촉진시켜 자연 식생을 회복시킬 필요가 있다. 복원 실험은 경상북도 포항시 용흥동의 아까시나무 임분에서 작은 숲틈(${\sim}57m^2$)을 조성하여 실시하였고, $5 m{\times}5m$ 방형구 내에서, 벌채 및 하층 식생 제거(CU), 벌채(C), 환상박피 및 하층 식생 제거(GU), 환상박피 (G) 및 대조구(Control)의 5개 실험구를 3반복으로 설치하였다. 각 처리구 별 수관 열림도(%), 빛(total estimated transmitted light, $mol{\cdot}m^{-1}{\cdot}day^{-1}$), 목표 종(졸참나무)의 생장(직경, 높이 및 엽면적)을 측정하였다. 하층식생의 반응(종조성 및 종다양성)은 각 처리구에 영구 소방형구를 설치하여 측정하였고, 피도변화, Multiresponse Permutation Procedures (MRPP) 및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DCA)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숲틈 조성 후, 광환경은 처리구 별로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수관 열림도는 CU, C, GU, G, Control의 순으로 높았다. 졸참나무 유묘의 생존은 수고 및 엽면적 생장과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목표 종의 생장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처리 후 증가하였다. 하층식생의 종조성 및 종다양성은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후자의 경우 약간 감소하였고, 각 소방형구의 총 피도는 약간 증가하였다. 아까시나무림에 대한 생태적 복원의 한 방법으로서 작은 규모의 숲틈을 조성한 결과, 급격한 환경 변화를 발생시키지 않았고, 수고 생장을 촉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복원 교란에 대한 하층식생의 반응은 연구지역의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장기적인 관찰이 필요하며, 최소한의 교란을 통한 삼림 관리 및 복원 기법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토양 및 식생변화에 따른 토지 사방 공사의 효과에 관한 연구 (Erosion Control Effect by Soil ansi Vegetation Transition in Mountainous Area after Soil Erosion Measures were Initiated)

  • 이천용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7-16
    • /
    • 1986
  • 산지사방공사후 시공년수 경과에 따른 토양 및 식생의 변화로서 사방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전국의 대규모 황폐지에 36개소의 plot를 설정하여 사방시공년차별로 식생의 피복도와 출현종 상장 및 토양을 조사하기는 시공후 7년으로 이후 임관의 소개가 필요하다. 1) 하중인관과 상층식생의 피복도가 가장 적당한 시공후 7년으로 이후 인관의 소개가 필요하다. 2) 하층식생의 종수는 임관울폐직전인 6년까지 증가하다가 울폐후 감소하였다. 3) 수고생장은 아까시나무, 물오리나무, 리기다소나무 순으로 좋았으며 이까시나무는 초기에 왕성한 생장을 보이다 계속 감소하였고, 물오리나무는 시공후 12토양내 양료부족이 가장 큰 원인으로 나타났다. 4) 사방수종은 식재후 8년내에 약 50%가 고사하였는데 물오리나무와 아까시나무는 그 후에는 계속 잔존본수가 감소하였고 리기다소나무는 시공10년후부터 ha당 500 본을 유지하였다. 5) 시공년수가 경과할수록 풍화토실이 깊어지고 견밀도가 낮아져 시공후 14년에는 토양의 물리적인 성질이 어느정도 개량되었다. 6) 토양내 pH는 시공직후 5.3에서 20년에는 5.1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7) 유기적과 질소함량은 시비의 영향으로 3년까지 급증하다가 그 후부터는 점증하였다. 그러나 임목생육에 필요한 양에는 20년이 되어도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8) 토양내인산함량은 초기에는 시비의 영향으로 높았으나 급격히 감소하여 시공후 5년부터는 절대량이 부족하므로 지속적인 시비가 요구된다. 9) 물질생산량은 아까시나무가 가장 많은 양을 보이면서 20년까지 계속 증가한 반면 물오리나무는 15년간부터 감소하여 갱신이 요구도며 20년된 사방시 1ha의 지상부총물질생산량은 105.7 ton이었다.>$\ulcorner$표현$\lrcorner$의 모습으로, 반면에 농촌취락들에서는 자연의 조건에 공존 또는 의존하는 모습의 $\ulcorner$순응$\lrcorner$적 특성을 나타내게 된다. 우리나라의 취락에 게재된 $\ulcorner$순응$\lrcorner$이란 큰 특징은 풍수적 개념 드에 의해 이루어졌던 형태이다. 그리하여 때로는 민담에서도 풍수가 주제가 되는 경우가 있고, 일반적으로는 역사적 사실이나 인물을 통하여 취락민이지녀온 자연요소에 대한 인식관 또는 그러한 생활에서 나타나는 윤리관 등이 암암리에 표현되기도 한다. 민담을 통하여 우리는 주민들 의식 속에 남아있는 취락의 중요한 요소나 장소들을 찾아볼수 있고 더불어 이들을 중심으로 이루어 졌을지도 모를 생활모습들을 생각해볼 수 있다. 이러한 것들은 $\ulcorner$순응$\lrcorner$의 다른 일면 또는 때에 따라서는 극히 의도적인 $\ulcorner$표현$\lrcorner$적인 한 면모 - 그 대표적인 경우로 정원을 구성하는데 개재된 인간의 의미는 무언가를 표현 또는 표출하고자 함에 있다는 점 -라 볼수도 있을, 예로써 성리학적 사고관념으로써 집과 정사 그리고 주변 경관을 자신의 내적본직 또는 윤리적 영역으로 삼아 묘사.표현.구체화 시켜가기도 한다. 최소한 동족부락의 한두 예들에서 그러한 $\ulcorner$표현$\lrcorner$적 의도에 의한 경관구성의 일면을 확인할수 있지만 엄밀히 생각하여 보면 이러한 예의

  • PDF

일본(日本) 북부(北部)의 소화신산(昭和新山)의 분화후(噴火後)에 성립(成立)한 두 아카시아나무 임분(林分)의 토양중(土壤中) 질소동태(窒素動態) (Soil Nitrogen Dynamics in Two Black Locust Stands Established on Volcano Mt. Showa-Shinzan, Northern Japan)

  • 문현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3호
    • /
    • pp.419-427
    • /
    • 1999
  • 이 연구(硏究)는 일본(日本) 북부(北部)의 소화신산(昭和新山) 분화후(噴火後)에 성립(成立)한 장령림(壯齡林)과 유령림(幼齡林)의 두 아카시아 나무 임분(林分)에 있어서 토양중(土壤中)의 질소동태(窒素動態)와 식생회복(植生回復)과의 관계(關係)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1994년(年) 8월(月)부터 1996년(年) 7월(月)까지 2년간(年間) 조사(調査)하였다. 토양(土壤)의 화학적성질(化學的性質)과 유효태(有效態) 질소(窒素)는 두 임분(林分) 간(間)에 뚜렷한 차이(差異)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토양중(土壤中) 전질소(全窒素) 함량(含量)은 초기생장기(初期生長期)인 5월(月)에 높은 수치(數値)를 나타낸 후(後) 점차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두 조사(調査) 임분(林分)에서 암모니아태(態) 질소(窒素)와 질산태질소(窒酸態窒素)는 7월(月)에 뚜렷이 높아지는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질소무기화(窒素無機化)는 지온(地溫)의 증가(增加)로 인(因)해 매년(每年) 6월(月)~7월(月)에 높아지는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질산태질소(窒酸態窒素)의 함량(含量)과 질산화(窒酸化) 작용(作用)은 두 조사(調査) 임분(林分)에서 비교적(比較的) 높은 수치(數値)를 나타내었다. 두 조사(調査) 임분(林分)의 질소무기화(窒素無機化)는 8월(月)에 마이너스의 수치(數値)를 나타내었다. 두 조사(調査) 임분(林分)에 있어서 암모니아태(態) 질소(窒素)와 질산태질소(窒酸態窒素)는 토양유기물(土壤有機物) 함량(含量)과, 질산화작용(窒酸化作用)은 질소무기화(窒素無機化)와 암모니아태(態) 질소(窒素)의 함량(含量)과 정(正)의 상관(相關)을 나타내었다.

  • PDF

아까시나무림의 군락분류와 군락생태 (Syntaxonomy and Synecology of the Robinia pseudoacacia Forests)

  • 조광진;김종원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8권1호
    • /
    • pp.15-23
    • /
    • 2005
  • 아까시나무 우점림의 식생유형에 대한 분류와 분포양식 그리고 생태식물상적 특성을 규명하였다. 전통적인 식물사회학적 방법과 식생조사자료 및 식생유형간의 유사성 분석을 위하여 주좌표분석법(Principal Coordinates Analysis)과 상관 계수(correlation coefficient)가 이용되었다. 생태식물상의 분석에는 출현 식물종들의 특질(넌출형, 일이년생 생명환, 삼림식생요소, 체감도시화지수)이 이용되었다. 이러한 분석은 출현종의 상대기여도를 바탕으로 하는 입지-식생조사구 매트릭스의 식물군락표 및 군락합성표를 토대로 이루어졌다. 아까시나무 우점림은 총 77과 193속 323종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아까시나무-닭의장풀군집(전형아군집, 떡갈나무아군집, 자귀나무아군집, 소나무아군집, 굴참나무아군집, 가중나무아군집), 아까시나무-갈대군락(전형하위군락, 띠하위군락)으로 분류되었으며, 크게 네 가지 식생형(도시형, 농촌형, 하천형, 복합형)으로 구분되었다. 아까시나무-닭의장풀군집은 졸참나무-작살나무아군단의 냉온대 남부 저산지대의 아까시나무 조림식생을 대표하는 식생단위이며, 아까시나무-갈대군락은 하천(정수역)형으로 기재되었다. 가중나무아군집은 높은 체감도시화지수에 의하여 도시형 아까시나무림으로 규정되었다. 하천형을 제외한 우리나라의 아까시나무 우점림은 지속군락으로 고려되었다.

Expression of EuNOD-ARP1 Encoding Auxin-repressed Protein Homolog Is Upregulated by Auxin and Localized to the Fixation Zone in Root Nodules of Elaeagnus umbellata

  • Kim, Ho Bang;Lee, Hyoungseok;Oh, Chang Jae;Lee, Nam Houn;An, Chung Sun
    • Molecules and Cells
    • /
    • 제23권1호
    • /
    • pp.115-121
    • /
    • 2007
  • Root nodule formation is controlled by plant hormones such as auxin. Auxin-repressed protein (ARP) genes have been identified in various plant species but their functions are not clear. We have isolated a full-length cDNA clone (EuNOD-ARP1) showing high sequence homology to previously identified ARP genes from root nodules of Elaeagnus umbellata. Genomic Southern hybridization showed that there are at least four ARP-related genes in the genome of E. umbellata. The cDNA clone encodes a polypeptide of 120 amino acid residues with no signal peptide or organelle-targeting signals, indicating that it is a cytosolic protein. Its cytosolic location was confirmed using Arabidopsis protoplasts expressing a EuNOD-ARP1:smGFP fusion protein. Northern hybridization showed that EuNOD-ARP1 expression was higher in root nodules than in leaves or uninoculated roots. Unlike the ARP genes of strawberry and black locust, which are negatively regulated by exogenous auxin, EuNOD-ARP1 expression is induced by auxin in leaf tissue of E. umbellata. In situ hybridization revealed that EuNOD-ARP1 is mainly expressed in the fixation zone of root nodules.

First Report of Phytophthora Leaf Blight and Vine Rot of Kudzu (Pueraria lobata) in Korea

  • Kim, Byung-Soo;Wai, Khin Pa Pa;Siddique, Muhammad Irfan;Mo, Hwang-Sung;Yoo, Hee Ju;Kim, Hee Suk;Hong, Seung-Beom
    • 식물병연구
    • /
    • 제26권2호
    • /
    • pp.109-115
    • /
    • 2020
  • A disease causing leaf blight and vine rot was recognized on kudzu plants (Pueraria lobata) in Korea since 1991. A species of Phytophthora has been repeatedly isolated from the infected leaves. Identification in species level of the Phytophthora sp. remained unsolved. An isolate, KACC 47616 originally collected from Manchon Park in Daegu, has been kept in our laboratory. In 2013, three new isolates, KACC 47617 and KACC 47618 from Yeongyang and KACC 47619 from Gunwi in Gyeongbuk province, were collected and examined to classify up to species level by characterizing morphology, response to temperature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 On the basis of morphological characters such as the nature of hyphal swelling, sporangia and sex organs, absence of chlamydospore production, optimum temperature for mycelial growth, and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DNA and cytochrome oxidase subunit 1 sequence analysis of the pathogen, the causal fungus of kudzu plant was identified as Phytophthora asiati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