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yntaxonomy and Synecology of the Robinia pseudoacacia Forests

아까시나무림의 군락분류와 군락생태

  • Published : 2005.02.28

Abstract

The black locust (Robinia pseudoacacia L.) forests were studied by a phytosociological approach. Particular attention was given to characterize the vegetation classification, distribution pattern, and ecological flora of the syntaxa classified. A total of 38 releves were analyzed by using Correlation coefficient, UPGMA as the clustering method, and Principal Coordinates Analysis for ordination. Ecological flora analyzed by plant character sets such as scrambler, annual and biennial plants, forest elements, and actual urbanization index. The analyzed data are based on site-releve matrix with relative net contribution degree (r-NCD) of species. A total of 77 families, 193 genera and 323 species of vascular plants are recorded. Camellino-Robinietum pseudoacaciae ass. nov. and Phragmites-Robinia pseudoacacia community were described. Main cluster and ordination could be separated: 1) urban type, 2) rural type, 3) riparian type, and 4) combined type. It is defined that the Robinietum is a representative unit on the black locust afforestation, Phragmites-Robinia community on the lentic zone in the river ecosystem, and Cameliino-Robinietum ailanthetosum altissimae as an urban forest type. The Robinietum was considered as a perpetual community.

아까시나무 우점림의 식생유형에 대한 분류와 분포양식 그리고 생태식물상적 특성을 규명하였다. 전통적인 식물사회학적 방법과 식생조사자료 및 식생유형간의 유사성 분석을 위하여 주좌표분석법(Principal Coordinates Analysis)과 상관 계수(correlation coefficient)가 이용되었다. 생태식물상의 분석에는 출현 식물종들의 특질(넌출형, 일이년생 생명환, 삼림식생요소, 체감도시화지수)이 이용되었다. 이러한 분석은 출현종의 상대기여도를 바탕으로 하는 입지-식생조사구 매트릭스의 식물군락표 및 군락합성표를 토대로 이루어졌다. 아까시나무 우점림은 총 77과 193속 323종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아까시나무-닭의장풀군집(전형아군집, 떡갈나무아군집, 자귀나무아군집, 소나무아군집, 굴참나무아군집, 가중나무아군집), 아까시나무-갈대군락(전형하위군락, 띠하위군락)으로 분류되었으며, 크게 네 가지 식생형(도시형, 농촌형, 하천형, 복합형)으로 구분되었다. 아까시나무-닭의장풀군집은 졸참나무-작살나무아군단의 냉온대 남부 저산지대의 아까시나무 조림식생을 대표하는 식생단위이며, 아까시나무-갈대군락은 하천(정수역)형으로 기재되었다. 가중나무아군집은 높은 체감도시화지수에 의하여 도시형 아까시나무림으로 규정되었다. 하천형을 제외한 우리나라의 아까시나무 우점림은 지속군락으로 고려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종원. 1993. 우리나라 자연환경 현황 분석 연구. 한국환경기술개발원. pp. 22-23
  2. 김종원. 2004. 녹지생태학. 월드사이언스. 308 p
  3. 김종원, 이은진. 1997. 다항목 매트릭스 식생평가 기법 - 식생의 자연성 평가에 대한 새로운 기법과 그 적용 -. 한국생태학회지 20(5): 303-313
  4. 김태욱, 이경재, 이유미. 1986. 아까시나무의 조림학적 성질에 관한 연구. 한국양봉학회지 1: 97-108
  5. 박용구. 1996. 우리나라 아까시나무의 자원화에 대한 전망. 한국양봉학회지 11: 27-56
  6. 송종석, 김헌규. 1993. 안동임하댐 일대의 삼립식생에 대한 군락생태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16: 439-457
  7. 오구균. 1991. 도시녹지의 생태적 관리. 도시 . 삼림 . 환경 심포지움 한국조정학회 pp. 86-109
  8. 윤충원, 오승환, 이영근, 홍성천, 김재헌. 2001. 인접 임분의 종류, 계층구조 및 식생단위에 따른 아까시나무의 이입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90: 227-235
  9. 윤충원, 오승환, 이준혁, 주성현, 홍성천. 1999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cia 1.) 조립지에서 천이의 예즉과 조림학적 제어. 한국임학회지 88: 229-239
  10. 이경재, 조우, 류창희. 1993. 도시림의 생태적 관리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0: 1-11
  11. 이경재, 한봉호. 1998. 부천시 산림지역 아까시나무림 식물군집구조를 고려한 식생관리 모델. 한국조경학회지 26: 28-37
  12. 이우철. 1996.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624 p
  13. 정용규, 김종원. 1997. 남한과 일본의 임연군락 비교연구. 한국생태학회지 21: 81-88
  14. 정흥락, 이호준, 이재석. 2000. 대구 인접지역에 대한 삼림식생의 군락분류. 한국생태학회지 23: 407-421
  15. 제갈재철, 김종원. 2003. 경북 일원의 화성암 산지와 퇴적암 산지의 삼림식생에 대한 식생학적 비교. 한국생태학회지 26: 23-28
  16. 조우. 1997. 도시 녹지의 생태적 특성 분석과 자연성 증진을 위한 관리 모형 - 서울시를 중심으로-. 서울학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부설 서울학연구소 8: 127-156
  17.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3rd ed. Wien: Springer
  18. Kim, J. W. and Y.I. Manyko, 1994. Syntaxonomical and syncho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ol-temperate mixed forest in the Southern Sikhote Alin, Russian Far East. Korean J. Ecol. 17: 391-413
  19. Podani, F. 2001. Syn-Tax 2000. Computer program for data analysis in ecological and systematics. Budapest: Scientia Publishing
  20. Van der Maarel, E. 1979. Transformation of cover-abundance values in phytosociology and its effects on community similarity. Vegetatio 39: 97-14 https://doi.org/10.1007/BF00052021
  21. Weber, H.E., J. Moravec and J. P. Theurillat. 2000. International code of Phytosociological nomenclature. 3rd ed. J. Veg. Sci. 11: 739-768 https://doi.org/10.2307/3236580
  22. Flint, H.L. 1997. Landscape Plants for Eastern North America John Wiley & Sons, Inc

Cited by

  1. vol.101, pp.6, 2013, https://doi.org/10.1111/1365-2745.12162
  2. Effects of a Major Tree Invader on Urban Woodland Arthropods vol.10, pp.9, 2015,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137723
  3. Korean traditional village forest (Ma-Eul-Soop) and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A case study on the Sachon-Ri Garo-Soop in Gyeongsangbuk-do, South Korea vol.59, pp.5, 2016, https://doi.org/10.1007/s12374-015-05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