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ack brightness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1초

고 효율 LED를 이용한 LCD 패널 구동회로의 설계 및 제작 (The Fabrication and Design of Driving Circuit for LCD panel using the high efficiency LED)

  • 류장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3146-3151
    • /
    • 2012
  • LED가 의료장비용 LCD 패널의 광원으로 사용되는 경우, 밝기, 휘도 균일성, 고출력, 백색의 조절 능력, 온도 등을 고려한 우수한 광학 기구의 설계 및 제작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휘도 및 균일도, dimming 범위의 증대, 잡음 발생 억제 등에서 측면발광 방식의 45인치 의료기기 등의 LED 후면광 시스템 및 구동회로를 설계하고 그 시제품을 제작하였다. 시제품의 휘도, dimming 범위, flicker 잡음, black level, 온도 특성 등을 측정한 결과, 휘도의 범위는 3,000 ~ 25,000[$cd/m^2$], 색 좌표는 x 좌표 0.3144, y좌표 0.3076의 평균값을 보였으며, 온도 특성은 휘도가 20,000[$cd/m^2$]이상의 제어에서 냉각 시스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dimming의 범위는 27.0[$cd/m^2$] ~515[$cd/m^2$], flicker noise는 80kHz에서 발생하지 않았고, black level 0.7[$cd/m^2$]~0.1 [$cd/m^2$]를 얻어 의료기기 등의 LCD 패널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흑토마토 분말을 첨가한 냉동 쿠키의 품질 및 항산화 특성 (Quality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Iced Cookie with Black Tomato (Lycopersicum esculentum) Powder)

  • 오현빈;최병범;송가영;장양양;김영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5-7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쿠키 제조 및 쿠키의 품질 향상을 위한 목적으로 동결건조한 흑토마토 분말을 첨가하여 냉동쿠키를 제조하고, 분말 첨가 비율(1~7%)에 따른 쿠키의 품질특성, 항산화 활성 및 관능 특성을 분석하였다. 반죽의 밀도는 1%, 3% 첨가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으나, 3~7% 첨가군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죽의 pH는 7% 첨가군에서 5.16으로 가장 낮았다. 퍼짐성은 흑토마토 분말 첨가량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굽기 손실은 5% 첨가군까지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5% 첨가군과 7% 첨가군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색도 측정에서 L(명도) 값은 점차 감소하였고, a(적색도) 값은 흑토마토 분말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더 높았으나 흑토마토 분말을 5% 이상 첨가하였을 때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b(황색도) 값은 5% 첨가군까지 대조군(26.34)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Delta}E$(총색차값)도 5% 첨가군과 7% 첨가군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경도는 대조군이 $107.77g/cm^2$로 가장 낮았으며, 7% 첨가군이 $170.50g/cm^2$로 가장 높았다. 흑토마토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총 폴리페놀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DPPH $IC_{50}$은 감소하여 쿠키의 항산화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 검사에서 소비자 기호도 항목 중 색과 조직감 항목에서 흑토마토 분말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더 높은 점수를 받았다. 특성 강도는 모든 항목에서 대조군 및 첨가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3%, 5% 첨가군이 4.93으로 대조군의 3.99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흑토마토 분말을 첨가하였을 때 쿠키의 퍼짐성이 증가하고,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하였으며, 관능평가에서도 색, 조직감 등에서 대조군에 비해 좋은 평가를 받았다. 흑토마토 분말은 쿠키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어, 기능성 쿠키 제조 및 쿠키의 품질 향상을 위한 흑토마토 분말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흑토마토 분말을 5% 이상 첨가하였을 때 밀도, 굽기 손실, 색상, 특성 강도 등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관능검사에서도 소비자들이 전반적으로 5% 첨가군을 가장 선호할 것으로 예상되어 흑토마토 분말의 첨가량을 적절히 조절해야 할 필요성이 발견되었다. 쿠키를 제조할 시 밀가루의 5%를 대체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이트래커를 이용한 모니터 글자 대비도에 따른 눈의 피로도 연구 (The Study of Visual Fatigue by Monitor Letter Contrast with an Eye Tracker)

  • 김하림;정주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33-538
    • /
    • 2014
  • 목적: 모니터 글자 대비 변화에 따른 눈의 피로도를 측정하여 모니터 글자 대비도와 눈의 피로도의 연관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법: 최대교정시력 1.0 이상의 피검자 53명(평균연령 $22.68{\pm}1.85$) 중 읽기속도 검사에 통과한 45명(평균연령 $22.68{\pm}1.85$)을 대상으로 각각 Black(대비 100%), Dark gray(대비 80%), Gray(대비 60%), Light gray(대비 30%) 글자로 이루어진 4가지 시표를 무작위로 읽도록 하였다. 피검자가 시표를 읽는 동안 아이트래커로 피검자의 안구를 추적하여 모니터 글자 대비에 따른 피검자의 눈의 피로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 피검자들의 평균측정시간은 Black, Dark gray, Gray, Light gray에서 33.635 sec, 32.266 sec, 33.936 sec, 34.848 sec로 측정되었다. 평균안구고정시간은 Black, Dark gray, Gray, Light gray에서 0.224 sec, 0.218 sec, 0.239 sec, 0.243 sec로 측정되었다. 평균동공크기는 Black, Dark gray, Gray, Light gray에서 41.133 mm, 41.160 mm, 40.880 mm, 40.459 mm로 측정되었다. 평균 눈깜박임 빈도수는 Black, Dark gray, Gray, Light gray에서 0.211 blinks/sec, 0.206 blinks/sec, 0.221 blinks/sec, 0.238 blinks/sec로 측정되었다. 결론: 피검자들의 평균측정시간과 평균안구고정시간은 Dark gray가 가장 짧았으며, Light gray에서 가장 길었다. 평균 동공크기는 Dark gray에서 가장 컸으며, Light gray에서 가장 작았다. 평균 눈 깜박임 빈도수는 Dark gray에서 가장 적었으며, Light gray에서 가장 많았다. 모니터 글자 밝기에 따른 눈의 피로도는 Dark gray에서 가장 적었으며 Black, Gray, Light gray 순으로 증가하였다.

검은콩 청국장 가루를 첨가한 마들렌의 품질 특성 (Quality Properties of Madeleine added with Black Bean Chungkukjang Flour)

  • 장정옥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840-845
    • /
    • 2007
  • 건강 기능성 성분을 함유하며, 영양학적으로 가치가 높은 검은콩 청국장을 마들렌 제조 시 첨가하여 색도, 기계적 특성 및 관능특성을 조사하였다. 1. 수분 함량은 청국장 가루 함량이 증가됨에 따라 감소하였다$(16.1{\sim}13.7%)$. 2. 마들렌의 명도는 검은콩 청국장 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75.24에서 53.61로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p<0.05). 적색도는 -0.31에서 4.93으로 검은콩 청국장 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3. 기계적 특성에서 경도(hardness)는 검은콩 청국장 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깨짐성(fracturability)과 부착성(adhesiveness), 검성(gumminess) 또한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값이 증가하였으나, 깨짐성(fracturability)은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탄력성(springiness)과 응집성(cohesiveness)은 검은콩 청국장 가루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경도와 반대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4. 관능검사 결과는 색(color)의 경우 각 시료 간에 유의적 차이가 있었으며(p<0.05), 검은콩 청국장 가루 첨가량이 많은 순으로 높게 나타나 무첨가 마들렌의 색보다는 검은콩 청국장 가루를 첨가한 시료의 색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촉촉한 정도(moistness)와 부드러운 정도(softness)는 검은콩 청국장 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건조하고 부드럽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었다(p<0.05). 전체적인 선호도(overall acceptance)에 있어서는 검은콩 청국장 가루를 10% 첨가한 BC10시료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는데, 이 결과는 청국장 냄새가 강하지 않고 촉촉한 정도(moistness)나 부드러움(softness)에 있어서도 무첨가 마들렌과의 차이가 가장 적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검은콩 청국장 가루 첨가 마들렌 제조 시 10%를 첨가하는 것이 조직과 관능 특성 상 적정 첨가량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현대패션에 응용된 신조형주의의 조형요소에 관한 연구 - 몬드리안 회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ormative Elements of Neo-plasticism Applied on Contemporary Fashion)

  • 정경희;배수정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51-61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the trend of art and fashion which predominate a certain time.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how plasticity found in Mondrian's pictures are applied to modern fashion with its focus on formative elements. Mondrian was ahead of abstractionism, a major trend of contemporary art, and defined the theory of neo-plasticism. The theory of neo-plasticism defined by Mondrian is characterized by the limited expression of lines and shapes by using only vertical and horizontal straight lines, and right angles and four-sided figures weaved by the lines, and the use of achromatic color(black, white, and gray) in three primary colors(red, blue, and yellow). Based on his theory, he fully displayed the world of geometric abstraction. Mondrian's formative elements which have been applied in modern fashion can be divided into shape and color, For the element of shape, first, horizontal and vertical lines have been applied to patterns, trimmings, detail, and plane of textiles through simplification of design, representing proportion, balance, and stress in a silhouette, Second, plane and diamond shapes made of horizontal and vertical lines have been applied to textiles or patterns with uniqueness. For the element of color, first, three primary colors and achromatic colors are used to seek the aesthetics of balance and harmony that are produced in the strain of conflict through brightness, chroma, and complementary colors, Second, primary colors of high chroma and brightness which are much stronger than pictures are used to express a modern sense. Formative elements of neo-plasticism, which have been applied to modern fashion suggested by this study, are connected with the trend of art contemporary designers have borrowed, Accordingly, this study will become a very helpful material which provides designers with original ideas in developing materials and patterns which connect design with art.

  • PDF

종이 표면 사이즈 프레스용 전분의 적용에 관한 연구 -표면 사이즈용 전분이 백상지 품질에 미치는 영향 - (Studies on the Application of Starch for paper surface sizing(III) - The influence of surface sizing treatment with starch on the quality of uncoated printing paper -)

  • 윤지영;이용규
    • 펄프종이기술
    • /
    • 제34권2호
    • /
    • pp.1-12
    • /
    • 2002
  • Starch dissolved in paper-mill wastes, either as a result of poor retention on the paper web or recycling of surface-treated broke, was a major pollutant Laboratory tests were performed by using different kinds of starch as a surface treatment. It was concluded that the use of cationic starch can positively affect the level of starch dissolved in liquid effluents. When cationically modified starches were used for surface sizing, the starch was tightly bound to the paper fibers, it was not removed during the repulping of broke. The result of mill trial in fine paper manufacture for the application of low-viscosity cationic starches used in size press reduced COD load in the effluents and increased One Pass Retention. It had been found that when cationic starch used as a surface sizing agent, more starch was retained on or near the surface of the sheet than with conventional oxidized starches. Thus surface strengths and quality were improv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desired level of starch penetration into the fiber net and improve porosity, opacity and brightness. In contrast, in most cases, dusting problems are notably eliminated. Cationic surface sized starch improved black and color ink-jet print quality in terms of feathering and optical density of the print image. These improved properties were believed to be due to a combination of fiber bonding and surface orientation more uniform starch concentration on the paper surface was resulted. Moreover cationic charges in the paper surface lend themselves excellently to fix ink jet ink anionic in nature.

안료와 볏짚의 첨가량에 따른 흙미장의 색상과 표면질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ue and Surface Texture with the addition ratio of Pigment and Straw in Clay Plaster)

  • 황혜주;김태훈;양준혁
    • KIEAE Journal
    • /
    • 제9권1호
    • /
    • pp.77-83
    • /
    • 2009
  • In this experiment, we used different addition ratio of the pigment and straw, to improve the decorative effect of the finishing touch while finding the kinds of clay colors taking on many sophisticated images,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the various colors and textures of the surface. (1) To test the plaster material, added were the pigment of Red, Yellow, Black, and Green by the percentages of 0.5, 1, 1.5, 2, and 2.5, respectively, followed by the analysis of the color changes of the plaster material using the Photoshop (RGB). The results showed the bigger the addition ratio of the red color is, the higher the numeral values of RGB after it dried. However the brightness after drying didn't showed a big difference depending on the addition ratio. With the addition of the yellow pigment, the color difference between after and before drying was bigger in the order of Blue, Green and Red; the brightness increasingly rose while the saturation changed little. (2) When we scratched the plaster surface with U and V shape carving knives, the U knife didn't make a clean shape digging around the clay plaster material but with smooth textures, while the V knife made a clean cut, which represents its readily use in terms of the decorative function of the clay plaster. (3) In an experiment the surface texture was tested with different lengths and additions ratio of the straw, addition of 2cm straw by 1, 2, and 3% presented the most appropriate surface of the plaster.

조경용 차양막 재료의 명도가 하절기 옥외공간의 평균복사온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Landscaping Shade Membrane's Brightness on the Mean Radiant Temperature(MRT) of Summer Outdoor)

  • 이춘석;류남형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65-73
    • /
    • 2015
  • 조경용 차양막의 명도가 하절기 옥외공간에서 인간이 느끼는 온열쾌적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객관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흑색과 백색 차양막으로 2.5m의 피라미드형 시험구를 조성하여 그 하부 공간의 평균복사온도 변화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현실적인 적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95% 일사차단율의 농업용 통기성 흑색 차양망 하부와 비교 검토하였다. 지면으로부터 1.1m, 1.7m, 2.4m 지점에서 계측된 평균복사온도를 비교한 결과, 차양이 없는 대조구의 평균복사온도가 $41.8^{\circ}C$일 때, 막면과 인접한 지상 2.4m 지점의 평균복사온도는 흑색 및 백색막과 통기성 흑색망에서 각각 $49.1^{\circ}C$, $41.6^{\circ}C$, $36.8^{\circ}C$로 분석되어, 흑색막 아래의 값이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제 사람이 체감하는 범위인 지상 1.7m 지점의 평균값은 $37^{\circ}C$, $38^{\circ}C$, $33^{\circ}C$로 분석되어 재료의 명도에 의한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높이 이하의 위치에서는 흑색막보다 백색막 아래의 평균복사온도 값이 미세하게나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기성 흑색망의 경우 모든 높이에서 가장 낮은 평균복사온도를 보여서 하절기 열환경 개선측면에서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에 사용된 차양막 소재의 일사 반사 및 흡수 특성을 분석한 결과, 동일 소재라도 색상의 밝기에 따라서 일사의 반사율과 흡수율, 투과율에서 차이가 발생됨이 확인되었다. 흑색막의 경우, 일사 반사율은 낮고, 흡수율은 높아 막 자체의 온도가 현저히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일사 투과율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백색막의 경우, 일사반사율은 높은 반면, 일사 흡수율이 낮아 막면 자체의 온도는 상대적으로 낮았으나, 일사투과율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결과적으로 막면의 장파복사량과 표면온도는 흑색이 높게 나타났으나, 실제 사람들의 체감 범위에서의 평균복사온도는 흑색막 아래가 미세하게나마 더 낮아지는 결과가 나타난 것은 백색막의 상대적으로 높은 일사투과율의 영향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국산 시판 한지의 열화 특성 (Aging Characteristics of Marketing Korean Paper(Hanji))

  • 박성철;최미숙;임현아
    • 보존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61-16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시판 4종 한지의 강제적 열화 조건인 습 건열처리를 통하여 한지의 광학적 물리적 특성의 변화를 측정, 비교 검토하여 봄으로써, 현재 시판 한지의 안정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인공 열화 전후의 비교에서 광학적 물리적 성질은 습열처리보다 건열처리의 경우에서 더욱 감소폭이 컸는데, 백색도, whiteness는 흑피로 제조된 순지에서 가장 크게 감소하였고 불투명도 역시 전체적으로 상승하는 경향 속에 흑피에서 가장 높게 상승하였다. 열단장은 백피의 경우가 최종적으로 가장 높은 강도를 나타냈으며, 인열강도는 흑피에서 급속히 감소하였다. 파열강도는 습열처리의 경우, 열화 후반부에서는 백피와 흑피의 값이 거의 비슷하였으나 내절도는 백피의 경우가 다른 펄프보다 월등히 높아 단순비교는 어려웠지만 열화처리에도 비교적 높은 내절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흑피가 백피에 비해 열화에 약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외 다른 펄프를 혼합한 경우는 강도면에서 크게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한지는 습도에 비해 온도에 더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가장 높은 관심을 가졌던 묵즙에 대한 농도 및 색상의 열화는 특별한 경향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 PDF

현대 패션에 표현된 무속의 조형성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veness of Shamanism Expressed in Modern Fashion)

  • 권진;권명숙
    • 복식
    • /
    • 제58권6호
    • /
    • pp.1-11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formativeness of shamanism has expressed and developed in modern fashion. Formative expression of shamanism in modern fashion has expressed in the way of on style, color, material and pattern as follows; Style has made animal and human incorporated by expressing abstract animal on the part or whole of costume and it has reconstructed traditional shaman costume into modern costume. Skin colors of living bodies which exist in nature, such as black, blown, yellow and grey, were used to symbolize spirit and low brightness of colors such as blue, white and black were also used to symbolize hyperspace. Artificial materials which imitate animal figure and genuine materials from animal were used. Various natural materials used in traditional shaman costume were also used. Animal patterns and abstract patterns symbolizing the celestial heaven and lower world, and patterns shown on wall painting and rock painting has appeared. The meaning of shamanism in modern fashion can be identified as interchangeable movement of time and space, a cosmic outlook on the world and ration. Spiritually designed costume has made fashion move to hyperspace in spirit trip. Modern fashion with shamanism has expressed its cosmic outlook on the world or universal wish beyond human's real world by patterns such as bird figure which means the celestial heaven and lower world. Corporation and transition of human and animal were symbolized as shaman hypernatural intercourse with designs expressed in costume using a part of animal or animal's characteris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