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te force analysis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19초

3차원 유한요소분석에 의한 소형견의 견치와 열육치의 교합력 방향 분석 (Analysis of the direction of the canine and carnassial of small dog by 3D FEM)

  • 박유진;최성민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39-145
    • /
    • 2020
  • Purpose: This study is for the prosthesis of dog. Observed the occlusal relation between the small dog canine and carnassial teeth. The direction of the bite force was analyzed by 3D FEM(finite element method). Methods: The mandibular canine and carnassial of dog were tested. The skull of dog was contact point confirmed by dental CAD. The skull of dog was scaned using CT and a 3D model was created. The 3D model was analyzed ABAQUS. Closing movement has been 100N, 200N, 300N, 500N, 1000N, 1500N. The Direction of bite force was confirmed. Results: As occlusal force increased, the direction of bite force appeared to (-y), (-x,-y,-z), (-x,-y), (-x,-y,+z), (-x,-y,+ z), (+x,-y) in mandibular left canine. And the direction was seen at (+x, -y), (+x,-y,-z), (+x,-y), (-x,-y,+z), (-x,-y,+z), (+x,-y). When the occlusal load is 100 N, 200 N, 300 N, 500 N, the direction of the mandibular carnassial appears as (-x, -y, -z), and when the occlusal load is 1000 N, 1500 N, the direction appears as (-x,-y). Conclusion: The mandibular canine showed irregularities in the coordinates of the direction of the bite force, and the mandibular carnassial showed regularity in the coordinates of the direction of the bite force.

교합력 측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 (Factors that affect the bite force measurement)

  • 임지호;이원섭;김명주;임영준;권호범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2권1호
    • /
    • pp.1-7
    • /
    • 2016
  • 저작은 음식을 잘게 부수어 소화작용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돕는 행위이다. 이러한 저작계는 상하악골, 악관절, 인대, 치아 및 근육으로 구성된다. 교합력은 이러한 저작계를 평가하는 한 가지 수단이다. 교합력은 얼굴형태, 나이, 성별, 치주질환, 측두하악장애, 치아 상태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최대교합력은 방형(square form)의 얼굴이 높으며 일반적으로 남자가 여성보다 높다. 또한 20세정도까지 증가하며 그 이후부터 40 - 50세까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치주질환이 있을 경우 교합력 감소에 영향을 주며 측두하악장애의 경우 교합력의 영향에 논란이 있다. 치아의 상태가 최대교합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로 생각된다.

수면이갈이 환자에서 교합안정장치 사용 후 교합력 및 동기능적교합분석: 예비 연구 (Changes of bite force and dynamic functional occlusion analysis after occlusal stabilization splint therapy in sleep bruxism patients: a pilot study)

  • 김재연;최이슬;송율빈;박원서;김성택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8권4호
    • /
    • pp.204-212
    • /
    • 2022
  • 목적: 수면이갈이 환자에서 한달 간 수면 시 교합안정장치를 장착하였을 때 교합력과 교합 접촉 면적 및 동기능적교합분석의 변화량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2021년 10월부터 2022년 7월까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구강내과 외래에 방문한 수면이갈이 환자 30명 중 교합안정장치를 수면 중 착용하는 실험군(treatment; n = 15)과 교합안정장치를 착용하지 않는 대조군(control; n = 15)으로 구성하였다. 교합안정장치 장착 전, 장착 1개월 후에 교합력 검사와 동기능적교합분석(측방, 전후방 하악 운동 시 좌/우 힘의 균형, 평균 교합력, 최대 교합력, 최대 접촉 개수)을 진행하였다. 결과: 한달 간 수면 중 교합안정장치를 착용하는 실험군과 교합안정장치를 착용하지 않는 대조군에서 교합력과 교합 접촉 면적은 차이가 없었으나 측방 및 전후방 운동에서 평균 교합력과 최대 교합력, 전후방 운동에서 최대 접촉 개수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음을 관찰하였다. 결론: 교합안정장치가 측방, 전후방 운동을 하는 이갈이 환자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추가적으로 대단위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이중 맹검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n investigation into the effect of denture adhesives on incisal bite force of complete denture wearers using pressure transducers - a clinical study

  • Kalra, Pawan;Nadiger, Ramesh;Shah, Farhan Khalid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4권2호
    • /
    • pp.97-102
    • /
    • 2012
  •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and assess the effect of different type of denture adhesives on the incisal bite force of complete denture wearers until the dislodgement of upper denture, using pressure transducer. MATERIALS AND METHODS. 30 patients out of 100 were included in the study. Based on the Kapur's method of scoring denture retention and stability, these patients were divided into 3 groups-Group A - Clinically good dentures; Group B - Clinically fair dentures; and Group C - Clinically poor dentures. A custom made occlusal force meter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load cell type of pressure transducers. Different adhesives (powder, paste and adhesive strips) were used in the study. Complete denture wearers were asked to bite on the load cell and the readings of incisal bite force were recorded. The readings of incisal bite force were subjected to statistical analysis using Repeated measures ANOVA followed by post-hoc bonferroni test. RESULTS. The result suggests that denture adhesives improved the incisal bite force of complete denture wearers significantly The incisal bite force (in kg) in Group A without using adhesives, with powder adhesive, with paste adhesive and with adhesive strips was found to be 2.48 (${\pm}0.16$), 3.43 (${\pm}0.11$), 6.01 (${\pm}0.11$), 3.22 (${\pm}0.09$) respectively. The incisal bite force (in kg) in Group B without using adhesives, with powder adhesive, with paste adhesive and with adhesive strips was found to be 1.87 (${\pm}0.18$), 3.35 (${\pm}0.14$), 5.34 (${\pm}0.18$), 3.21 (${\pm}0.12$) respectively. The incisal bite force (in kg) in Group C without using adhesives, with powder adhesive, with paste adhesive and with adhesive strips was found to be 1.00 (${\pm}0.17$), 3.07 (${\pm}0.14$), 4.37 (${\pm}0.26$), 2.99 (${\pm}0.14$) respectively. CONCLUSION. Within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it was concluded that the use of denture adhesive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effective in improving the incisal bite force of complete dentures until the dislodgement of upper denture. Fittydent paste adhesive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than the powder and strips adhesives. The improvement in incisal bite force was found to be higher in Group C in comparison to that of Group A and Group B.

치주질환 심도에 따른 치아동요도와 교합력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OOTH MOBILITY AND BITE FORCE ACCORDING TO THE PERIODONTAL DISEASE SEVERITY)

  • 최종우;이만섭;권영혁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3권2호
    • /
    • pp.331-344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tooth mobility and bite force according to periodontal disease severity. Tooth mobility and biting force due to change of viscoelastic property of periodontium were influenced by inflammation of periodontal tissue. 30 pati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eriodontal disease severity is evaluated with SBI and attachment loss. SBI and attachment loss were examined by periodontal probe. Tooth mobility was tested two times to each tooth using periotest (Siemens Co, Germany) and bite force was evaluated with MPM-3000 (Nihon Kohden Co, Japan). Statistical analysis was applied to correlation ($r^2$) and regression analysis.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As the attachment loss increased, tooth mobility increased with significance, and they had highly positive correlation ($r^2=0.68$) on entire dentition. 2. As the SBI increased, tooth mobility increased with significance, and they had positive correlation ($r^2=0.37$) on entire dentition. 3. As the attachment loss increased, bite force decreased with significance, and they had highly negative correlation ($r^2=0.42$) on maxillary anterior dentition but low negative correlation ($r^2=0.20$) on the other portion of dentition. 4. As the SBI increased, bite force decreased with significance, and they had highly negative correlation ($r^2=0.31$) on maxillary anterior dentition but low negative correlation ($r^2=0.16$) on the other portion of dentition. 5. As tooth mobility increased, bite force decreased with significance, and they had highly negative correlation ($r^2=0.32$) on maxillary anterior dentition but low negative correlation ($r^2=0.16$) on the other portion of dentition.

  • PDF

Effect of bite force on orthodontic mini-implants in the molar region: Finite element analysis

  • Lee, Hyeon-Jung;Lee, Kyung-Sook;Kim, Min-Ji;Chun, Youn-Sic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218-224
    • /
    • 2013
  • Objective: To examine the effect of bite force on the displacement and stress distribution of orthodontic mini-implants (OMIs) in the molar region according to placement site, insertion angle, and loading direction. Methods: Five finite element models were created using micro-computed tomography (microCT) images of the maxilla and mandible. OMIs were placed at one maxillary and two mandibular positions: between the maxillary second premolar and first molar, between the mandibular second premolar and first molar, and between the mandibular first and second molars. The OMIs were inserted at angles of $45^{\circ}$ and $90^{\circ}$ to the buccal surface of the cortical bone. A bite force of 25 kg was applied to the 10 occlusal contact points of the second premolar, first molar, and second molar. The loading directions were $0^{\circ}$, $5^{\circ}$, and $10^{\circ}$ to the long axis of the tooth. Results: With regard to placement site, the displacement and stress were greatest for the OMI placed between the mandibular first molar and second molar, and smallest for the OMI placed between the maxillary second premolar and first molar. In the mandibular molar region, the angled OMI showed slightly less displacement than the OMI placed at $90^{\circ}$. The maximum Von Mises stress increased with the inclination of the loading direction.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lacement of OMIs between the second premolar and first molar at $45^{\circ}$ to the cortical bone reduces the effect of bite force on OMIs.

편측성 측두하악장애 환자의 교합력 평가 (Evaluation of the Bite Forces in Patients with Unilateral Temporomandibular Disorders)

  • 이우정;김미은;김기석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1권4호
    • /
    • pp.347-354
    • /
    • 2006
  • 측두하악장애(Temporomandibular disorders, TMD) 환자들 대다수는 저작기능 장애와 교합력 감소를 보여주는데 본 연구는 편측성 TMD 환자에서 증상이 있는 측과 무증상측 사이의 교합력 차이를 비교하고 좌우측 교합력의 차이와 증상 지속기간과의 관련성 여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단국대학교 치과대학병원 구강내과에 치료를 위해 내원한 편측성 TMD 환자 42명 (남:여=9:33, 평균 $27.2{\pm}10.4$세)을 대상으로 하여 교합력측정기를 이용하여 전치부와 구치부의 최대교합력을 측정하였다. 전치부 교합력은 좌우측 견치에서 측정하였고 구치부 교합력은 제1대구치에서 측정하였는데 환자는 통증을 유발하지 않는 범위에서 3초간 최대로 측정기를 깨물도록 하였다. 양측성 증상을 보이는 환자 6명(남:여=1:5, 평균 $23.0{\pm}7.3$세) 에 대해서도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여 교합력을 비교하였다. 또한, 증상의 지속기간에 따라 1개월 미만과 1개월 이상, 6개월 미만과 6개월 이상의 군으로 나누어 증상측과 무증상측의 교합력을 비교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하여 paired t-test와 unpaired t-test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편측성 TMD 환자들에서는 증상측의 교합력이 무증상측 보다 유의성 있게 낮았으나 (7-8 kgf 차이, p<0.05) 양측성 환자들에서는 좌우 차이가 없었다. 편측성 환자들의 증상측과 양측성 환자들과의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증상의 지속기간에 따른 증상측과 무증상측 교합력 차이를 비교했을 때, 1개월을 기준으로 나누었을 때는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6개월을 기준으로 나누었을 때는 두 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p<0.05). 본 연구의 결과는 편측성 TMD 환자에서는 증상측이 무증상측보다 교합력이 저하되어 있으며, 증상이 오래 지속될수록 증상측과 무증상측의 교합력 차이가 감소한다는 것, 즉 무증상측의 교합력이 더욱 저하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교합력, 교근과 두개안면골 형태의 관계 : 두부규격방사선사진과 초음파진단영상 분석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BITE FORCE, MASSETER MUSCLE AND CRANIOFACIAL MORPHOLOGY : CEPHALOMETRIC & ULTRASONOGRAPHIC ANALYSIS)

  • 이미숙;최영철;최성철;김광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399-417
    • /
    • 2008
  • 교합력과 교근의 두께 및 면적 그리고 두개안면골 형태간의 연관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성인 141명의 교합력 측정, 측방 및 후전방 두부규격방사선사진 그리고 교근 표층의 초음파진단영상을 촬영한 후, 이들 간의 관계를 통계분석으로 비교, 평가하였다. 교합력과 두개안면골의 형태간에는 남녀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교합력과 교근 간에는 남녀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그러나 교근은 남자의 두개안면골 형태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특히 교근의 두께 및 면적이 증가할수록 상악너비가 유의하게 감소하게 나타났다. 이는 남자의 교합력은 심층 교근과 관계가 크고, 여자의 교합력은 표층 교근과 관계가 큰 것이 원인으로 판단된다.

  • PDF

실험 교흔 조직의 경과시간에 따른 in vitro 3차원 디지털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Three Dimentional Digital Analysis of Experimental Bite-marks with the Progress of Time)

  • 배은정;홍승표;임중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683-690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돼지피부에 형성된 교흔의 시간 경과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돼지피부에 성인 교합압으로 하중을 가했을 때 생긴 교흔을 시간경과에 따라 3차원으로 분석하였다. 시간은 교흔 발생 직후부터 1시간 간격으로 3시간까지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root mean square(RMS)로 계산하고, 이에 대한 결과값은 1-way ANOVA test를 실시하여 도출하였다(α =.05). 분석 결과 교흔 발생 직후와 1시간이 경과한 이후에는 0.899mm로 나타났고, 1시간에서 2시간 경과에서는 0.717mm, 마지막으로 2시간에서 3시간 경과는 0.506mm로 나타났으며 결과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05). 결론적으로 교흔은 시간 경과에 따라 압박흔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간대별 차이는 교흔직후와 1시간 경과에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교흔의 변화 양상은 줄어드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모든 치연 중에서 특히 전치부가 교흔이 뚜렷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교합안정장치 사용후 교합력 및 교합접촉의 변화양상에 관한 연구 (Changes of bite force and occlusal contacts after stabilization splint therapy)

  • 박형수;김광원;윤영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91-99
    • /
    • 2000
  • 본 연구는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부속치과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환자 중 악태모형을 제작하고 CPI (condylar position indicator) 에 의한 하악과두의 위치를 평가하여 중심위 -중심교합 편위양이 전후방 및 수직적으로 1.0 mm 이내, 측방으로 0.3 mm 이내인 정상 범주를 벗어나는 성인 여자 환자 16명을 대상으로 교합안정장치를 3개월간 장착하고, 이들을 장착 기간에 따라 장착 직전, 장착 1개월 후, 장착 2개월 후, 장착 3개월 후로 분류하여 교합안정장치의 장착에 따른 교합력과 교합접촉점 수의 변화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T-scan system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교합력의 변화는 교합안정장치 장착 직전에서 장착 1개월 후 사이에 유의성 있게 감소되었다 (P<0.05). 2. 교합력의 변화는 교합안정장치 장착 1개월 후부터 장착 3개월 후 까지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05). 3. 전치부 교합접촉점 수의 변화는 장착기간에 관계없이 유의성있는 차이가 없었다 (P>0.05). 4. 구치부 교합접촉점 수의 변화는 교합안정장치 장착 직전에서 장착 1개월 후 사이에 유의성 있게 감소되었다 (P<0.05). 5. 구치부 교합접촉점 수의 변화는 교합안정장치 장착 1개월 후부터 장착 3개월 후 까지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05). 6. 교합접촉점 수의 변화는 전치부에서 보다는 구치부에서 절대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이상을 종합해볼 때, 교합안정장치는 장착 1개월 후면 어느정도 중심위로의 하악골 안정을 기대할 수 있을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