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sphenol-S

검색결과 136건 처리시간 0.028초

응집에 의한 Bisphenol A의 제거특성 (A study on the removal characteristics of bisphenol in water by coagulation)

  • 박지현;신대윤;박선구
    • 분석과학
    • /
    • 제19권2호
    • /
    • pp.181-187
    • /
    • 2006
  • 내분비계 장애물질 중 용해도가 커 환경 중에 오염이 될 가능성이 큰 비스페놀-A(BPA)를 정수과정에서 비용 경제적으로 보다 효율적인 제거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표준정수처리과정 중 응집에 의한 BPA와 유기물에 대한 최적의 제거효율을 연구하였다. H강에서 채수한 상수원수에 BPA를 가하고 응집제로서 PAC와 PAHCS를 사용하여 응집제의 주입량, pH 및 교반정도에 따른 제거효율과 활성탄 흡착 응집에 의한 BPA와 유기물의 제거특성 및 그들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PAC 8.7 Al mg/L, PAHCS 6.8 Al mg/L의 적정량 주입시 BPA는 모두 20.4%의 최적의 처리효율을 나타내었으며, BPA의 제거특성은 $UV_{254}$, DOC에 비해 더 낮은 제거율을 보였으나, 비슷한 성향을 나타내었다. PAC에 의한 BPA는 pH 6.5, 교반시간 40분에서, PAHCS에서는 pH 7.0과 교반시간 30분에서 최대의 처리효율을 나타내었으며, $UV_{254}$, DOC와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응집제만 투입하였을 경우와 분말활성탄을 첨가한 경우를 비교한 결과, 탁도와 $KMnO_4$ 소비량은 활성탄 주입량에 관계없이 처리효율이 일정하였고, BPA와 $UV_{254}$, DOC는 주입량 증가시 처리효율이 증가하였고, 특히, BPA는 5 mg/L의 적은 활성탄 주입량으로도 제거율이 크게 증가하였다.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용 Sulfonated Poly(ether sulfone)의 합성 및 특성 평가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Mono-sulfonated Poly(ether sulfone) for a Fuel Cell Application)

  • ;김형준;;조은애;오인환;홍성안;임태훈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35-238
    • /
    • 2005
  • Sulfonated poly(ether sulfone) copolymers (PESs) were synthesized using hydroquinone 2-potassium sulfonate (HPS) with other monomers (bisphenol A and 4-fluorophenyl sulfone). PESs with different $mole\%$ of hydrophilic group were prepared by changing the mole ratio of HPS in the polymerization reaction. The chemical structure and the thermal stability of these polymers were characterized by using $^1H-NMR$, FT-IR and TGA techniques. The PES 60 membrane, which has $60 mole\%$ of HPS unit in the polymer backbone, has a proton conductivity of 0.091 S/cm and good insolubility in boiling water. The TGA showed that PES 60 was stable up to $272^{\circ}C$ with a char yield of about $29\%\;at\;900^{\circ}C\;under\;N_2$ atmosphere. To investigate the single cell performance, the catalyst coated PES 60 membrane was used and a single cell test was carried out using $H_2/O_2$ gases as fuel and oxidant at various temperatures. We observed that the cell performance was enhanced by increasing the cell temperature. A current density of $1400 mA/cm^2$ at 0.60 V was obtained at $70^{\circ}C$.

  • PDF

HPLC-MS/MS를 이용한 Bisphenol A 분석 및 초음파에 의한 분해 특성 조사 (HPLC-MS/MS Detection and Sonodegradation of Bisphenol A in Water)

  • 박종성;윤여민;허남국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639-648
    • /
    • 2010
  • 본 연구는 극미량의 BPA 분석법을 정립하기 위하여 HPLC-MS/MS를 이용한 BPA 분석 조건을 개발하였고, 초음파를 이용한 BPA의 분해 특성을 조사하였다. HPLC-MS/MS에 의한 BPA의 MDL과 LOQ는 각각 0.13 nM과 1.3 nM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기존의 HPLC-UV (MDL: 81.1 nM, LOQ: 811 nM) 및 FLD (MDL: 4.6 nM, LOQ: 46 nM) 보다 약 620배 및 35배 우수하였으며, U.S. EPA의 음용수 권고기준(1.53 ${\mu}M$ 혹은 350 ${\mu}g/{\ell}$)의 약 1,180배 이하까지 정량분석이 가능하였다. 초음파 조사에 따른 BPA의 분해효율은 저주파(28 kHz)를 제외한 중?고주파 조건(580 and 1000 kHz)에서 반응 30분 이내에 95%이상 제거되었다. 특히 BPA의 분해효율 및 k1의 결과는 580 kHz에서 가장 우수하였는데, 이는 580 kHz 근처의 주파수 영역에서 최적의 초음파 공동현상 및 열분해/산화분해가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0.01 mM의 $CCl_4$를 첨가하여 분해효율을 측정한 결과 30분 이내에 BPA 초기농도(1 ${\mu}M$)의 98% 이상까지 제거되었으며, 반응 초기(5분)와 후기(30분)의 $k_1$값은 무첨가 반응에 비해 각각 1.4배 및 1.1배씩 증가하였다. 10 mM의 t-BuOH이 첨가된 결과 무첨가 반응에 비해 약 60% 이상 BPA 분해효율이 감소한 것을 감안할 때 BPA의 주된 초음파 기전은 OH 라디칼에 의한 산화분해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t-BuOH이 첨가된 반응시간 동안(30분) 약 33%의 BPA가 분해가 일어난 것은 OH 라디칼 뿐 아니라 열분해 및 기타 라디칼 등에 의한 분해가 진행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어린이 건강관련 유해물질 연구방향 (Chemical Risk Factors for Children's Health and Research Strategy)

  • 이효민;정기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76-283
    • /
    • 2008
  • 국내 외 선행연구결과에 의한 어린이 출생 전 후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유해물질은 inorganic arsenic, BPA, 2,4-D, dichlorvos, methylmercury, PCBs, pesticide, phthalate, PFOA/PFOS, vinyl chloride 등으로서 국내에서도 이들을 포함한 확인 연구가 수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어린이들의 행동발달과 연관된 생활환경에서의 다양한 인체노출이 확인됨에 따라 탁아소, 유치원과 같은 경우 어린이 활동공간을 대상으로 환경모니터링 및 위해관리활동도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어린이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유해물질을 중심으로 독성평가, 인체영향연구, 환경 및 인체모니터링과 위해평가를 수행하므로 유해물질의 원인-상관관계를 확인하고 사실자료에 근거한 관리정책을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感光性 樹脂에 關한 硏究 (第10報). Naphthoquinone-1,2-diazide-5-sulfonyl Esters의 感光性과 分光感度 (Studies on Photosensitive Polymers (X). Studies on Photosensitivity and Spectral Sensitivity of Naphthoquinone-1,2-diazide-5-sulfonyl Esters)

  • 심정섭;강두환
    • 대한화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69-279
    • /
    • 1975
  • 合成한 pllyglyceryl phthalate, bisphenol A-epichlorohydrin 축중합물과 polyvinyl alcohol의 naphthoquinone-1,2-diazide-5-sulfonyl esters(PGND, BEND 및 PVAND)의 感光特性을 지배하는 諸因子를 이들에 대한 光照射前後의 溶解度 차이에 의하여 檢討하였다. 유리 또는 石英支持薄板上에 塗布한 各試料를 各種條件下에서 露光하고 알카리 水溶液에 침지시킨 다음 塗布된 필림의 殘膜收率(W/W0)을 計算하였다. 필름의 感光度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殘膜收率은 母體樹脂의 重合度, 增感劑의 種類 및 添加濃度에 따라 영향이 있었다. 母體樹脂의 重合度가 크면 클수록 感光性이 더 우수하였으며, 增感劑의 添加濃度는 5%일때가 가장 좋은 效果를 나타내었다. PGND, BEND 및 PVAND에 대해 본실험에서 사용한 各種 增感制 중에서 가장 效果的인 것은 benzanthrone, 5-nitroacenaphthene, picramide이였다. 이들 樹脂와 增感劑를 添加한 경우의 固相에 있어서의 紫外線吸收스펙트럼과 感色性 寫眞을 각각 비교 검토하여 그 增感과 分光感度的 特性을 糾明하였다. PGND, BEND 및 PVAND는 使用한 增感制에 의하여 光學增感하였으며 增感效果가 현저한 것일수록 그 感光波長城이 長波長쪽으로 伸張하였다. 未增感, 增感試料에 있어서 分光吸收 極大 波長城과 分光感光極大波長城이 거의 一致하고 있는 점으로 보아 試料 樹脂들에 의해서 吸收된 波長城의 光은 그 分野에 有效하게 使用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PPG계 Polyurenthane Methacrylates의 합성과 경화특성 (A Study on the Synthesis and Curing Characteristics of PPG-type Polyurethane Methacrylates)

  • 김주영;서경도
    • 공업화학
    • /
    • 제3권4호
    • /
    • pp.627-638
    • /
    • 1992
  • 분자량과 관능기수가 각각 다른 4가지의 polypropylene glycol(PPG)과 toluene-2, 4-diisocyanate(2, 4-TDI)를 이용하여 polyurethane prepolymer(NCO terminated)를 합성한 후 NCO기 말단에 2-hydroxyethyl methacrylate(2-HEMA)를 반응시켜 PPG계 polyurethane methacrylates 수지를, PPG대신에 bisphenol A(BPA)를 이용하여 BPA계 polyurethane dimethacrylate 수지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PPG계 polyurethane dimethacrylate 수지에 반응성희석제인 tr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TEGDMA), 중합개시제인 cumene hydroperoxide(CHP) 중합금지제인 hydroquinone(HQ)를 첨가하였을 때, 첨가량변화에 따른 토오크강도의 변화를 고찰하였고, BPA계 polyurethane dimethacrylate 수지와 블렌드하였을때의 조성비에 따른 토오크강도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토오크 측정결과, TEGDMA 40wt%, cumene hydroperoxide 4wt%, hydroquinone 200 ppm이 첨가되었을 때, 가장 큰 토오크강도를 나타내었으며, PPG계와 BPA계를 블렌딩하였을 때는 PPG/BPA가 4/6일 때 가장 큰 토오크강도를 나타내었다. 반응성희석제인 tr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TEGDMA), 중합개시제인 cume hydroperoxide(CHP), 중합금지제인 hydroquinone(HQ)를 동일하게 첨가한 후, 분자량과 관능기수가 다른 PPG계 polyurethane dimethacrylate 수지들의 열경화시의 토오크강도를 측정한 결과, 관능기수가 같은 수지들(PD750, PD1000, PD2000)의 경우에는 분자량이 적은 수지(PD750)일수록 큰 토오크강도를 나타내었고, 관능기수가 많을수록(PT 700) 큰 토오크강도를 나타내었다. 개시제만을 첨가한 후, 열경화를 통해서 얻어진 PPG계 수지들의 겔들을 DSC분석을 통해서 Tg변화를 측정하여 본 결과, 경화시 분자량이 가장 적고, 관능기수가 가장 많은 PT 700이 가장 큰 폭의 Tg증가를 나타내었으며, 분자량이 가장 큰 수지인 PD 2000이 가장 적은 폭의 Tg증가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Tg를 통해서 가교점간 분자량 Mc를 측정한 결과, 가장 큰 폭의 Tg를 보인 PT 700가 가장 적은 Mc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PT 700이 경화시 가장 조밀한 망목구조를 형성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내분비교란 물질에 노출된 C. plumosus (장수깔따구)의 하순기절 기형성 (The Mentum Deformity of C. plumosus Following Exposure to Endocrine Disruption Chemicals)

  • 이원철;곽인실
    • 생태와환경
    • /
    • 제38권1호통권110호
    • /
    • pp.11-17
    • /
    • 2005
  • 야외에서 채집한 C. plumosus를 대상으로 잠재적 내 분비계 교란물질인 DEHP, BPA 및 Tebufenozide를 처리물질로 하여 형태적인 교란 효과를 살펴보았다. 약제에 노출된 개체의 하순기절은 부드러워지거나(smooth) 손실(loss)이 가장 많았으며 엷은 갈색을 보였다. 처리 물질에 따른 기형의 정도를 살펴보면, DEHP는 46.2 ${\sim}$ 85.7%, BPA는 73.7 ${\sim}$ 90.9% 그리고 tebufenozide는 57.6 ${\sim}$ 78.9%가 기형을 입어 BPA>tebufenozide>DEHP 순으로 기형이 크게 나타났다. 처리 물질별 기형 부위를 살펴보면, MIX (32 ${\sim}$ 46%)>MLT (25 ${\sim}$ 34%)>LT (3 ${\sim}$ 7%)로 두 부분이 함께 기형을 입는 형태가 가장 많았으며 LT 단독의 기형이 가장 적었다. MIX 형태로 기형이 가장 높은 물질은 BPA (46%)>DEHP (33%)>tebufenozide (32%)이고, MLT에 가장 높은 기형을 보인 것은 DEHP (34%)>tebufenozide (31%)>BPA (25%)로 나타났다. Tebufenozide 처리에 따른 하순기절의 색은 처리 농도가 높아지면 엷은 갈색 하순기절의 발생 빈도가 증가되었다 (27.8 ${\sim}$ 84.2%). 반면, BPA (8.7%)와 DEHP (18.2%)는 $1\;{\mu}g\;L^{-1}$에서 가장 낮은 엷은 갈색의 하순기절의 발생 빈도를 보였으나 $0.3\;{\mu}g\;L^{-1}$처리에서는 매우 높은 엷은 갈색의 하순기절이 다수 발생하였다 (BPA 52.6%; DEHP 30.8%).

꼬시래기 산추출물의 primary 인체 전립선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Acid Extract of Gracilaria Verrucosa on Primary Human Prostate Cancer Cells)

  • 홍성민;조현동;김정호;이주혜;송우시;이성태;이미경;서권일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0호
    • /
    • pp.1130-113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꼬시래기 산추출물(acid extraction of Gracilaria verrucosa, AEG)을 이용하여 RC-58T/h/SA#4 primary 인체 전립선 암세포에 대한 증식억제 및 apoptosis 유도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AEG의 처리는 전립선 암세포에서 24시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증식 억제능을 보이는 반면 정상세포에서는 독성을 나타내지 않아 암세포의 증식만을 선택적으로 억제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RC-58T/h/SA#4 세포에서 AEG의 처리는 apoptotic body 형성 및 핵의 형태 변화를 유도하였으며, anti-apoptotic 인자인 Bcl-2 단백질은 감소시키고 pro-apoptotic 인자인 Bax 단백질은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Apoptosis의 유발과 관련된 주요인자인 caspase-3 단백질의 발현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AEG를 처리한 군에서 caspase-3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bisphenol A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증식된 전립선 암세포에서 AEG의 처리는 유의적인 전립선암세포 성장억제효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AEG가 RC-58T/h/SA#4 전립선암 세포에서 암세포 성장억제효과 및 apoptosis 유도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환경호르몬에 의해 증식된 암에 대해서도 성장을 억제할 수 있는 효능을 가지고 있음을 증명하였다.

전기설비용 에폭시-$SiO_2$ 복합재료의 절연파괴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electric Breakdown Strength Characteristics of Epoxy-$SiO_2$ Compound Material for Electric Installation)

  • 김재환;박창옥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지:조명전기설비
    • /
    • 제5권2호
    • /
    • pp.77-83
    • /
    • 1991
  •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에 $SiO_2$를 충진한 에폭시 복합재료의 단시간 절연파괴 특성을 충진제 첨가 함량의 변화, 주위온도(상온~[$190^{\circ}C$])의 변화 및 인가 전원의 종류별로 연구,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절연파괴강도는 충진제 함량의 증가에 대해 일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입자간 중심거리 d가 충진제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여 평균입자간격이 [$7.5\mu\textrm{m}$]이하가 되면 절연파괴 강도가 거의 일정한 값이 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류전압을 인가하는 경우는 고온영역 ([$130^{\circ}C$]) 이상에서 충진된 에폭시수지가 무충진 에폭시수지보다 절연파괴강도가 증가하였다.

  • PDF

새로운 Hyperbranchedpolyimidesandpolyamides: 합성, 말단기 변형, 경화 연구, 그리고 물리적 성질 (New Hyperbranched Polyimides and Polyamides: Synthesis, Chain-End Functionalizations, Curing Studies, and Some Physical Properties)

  • Baek, Jong-Beom;Chris B. Lyon;Tan, Loon-Seng
    • 한국복합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합재료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2
    • /
    • 2003
  • While aromatic polyimides and polyamides have found widespread use as high performance polymers, the present work addressed the need for organosoluble materials through the use of a hyperbranching scheme. The $AB_2$ monomers were prepared. The $AB_2$ monomers were then polymerized via aromatic fluoride-displacement and Yamazaki reactions to afford the corresponding hydroxyl-terminated hyperbranched polyimides (HT-PAEKI) and amine-terminated hyperbranched polyamides, respectively. HT-FAEKI was then functionalized with allyl and propargyl bromides as well as epichlorohydrin to afford allyl-terminated AT-PAEKI, propargyl-terminated PT-PAEKI, and epoxy (glycidyl)-terminated ET-PAEKI, in that order. All hyperbranched poly(ether-ketone-imide)s were soluble in common organic solvents. AT-PAEKI was blended with a bisphenol-A-based bismaleimide (BFA-BMI) in various weight ratios. Thermal, rheolog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se blend systems were evaluated. Two characteristic hyperbranched polyamides, which the one has para-electron donating groups to the surface amine groups and the other has para-electron withdrawing groups to the surface amine groups, were selected to compare BMI curing behaviors. The electron rich polymer displayed ordinary Michael addition type exothermic reaction, while electron deficient polymer did display unusual curing behaviors. Based on analytical data, the later system provided the strong evidences to support room temperature curing of BMI by reactive intermediates instead of reactive primary amine groups on the macromolecule surfa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