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essay has attempted to document the actual behavior patterns and the social networks related to the child delivery in the pre-industrial Korean society. We interviewed 30 women who had given birth to their first child during the 1930s and the 1940s in order to accumulate data related to son-prayer rites, prenatal care and food avoidance, sacred-string culture, and other incantation ritual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relationships with the person who had assisted the delivery and the recovery were also analyzed in terms of kinship network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big gap between knowledge and the actual practices in birth rituals and customs. We assume that this is due to the adverse social-economic conditions at that time which may have restricted the actual performances of these customs. Second, there were almost no differences of the performance of these' birth customs between the urban areas and the rural areas. Third, the people who assisted the delivery were women who were mostly from the husband's family. Help from the wife's family were quite exceptional. Finally, it has been found out that only about half of the women who were interviewed performed the well-known custom of three-week after-birth confinement.
This thesis comparatively looks into folklore faiths, expecially child-birth gods related to child-birth customs and aims to find out both nations' faith in child-birth gods and their features. It looks into birth gods protecting delivering mothers and babies by appearing at the delivery sites at time of delivery and child-rearing gods intervening in growth of babies after they are born. In both nations, many gods are believed in for selection of babies, safe delivery and their healthy growth but those appearing at delivery sites are only birth goddesses called Samsinhalmony and Obugami. What make this phenomenon appear in both nations' folklore faiths? Seeing the reason in the fact that common negative concept regarding childbirth exists in both nations' established faiths, the writer comparatively analyzed various cases of delivery-related defilement in both nations' delivery customs. Its result showed that Japan is stronger in delivery-related defilement concept than Korea is. For instance, Japan regard child birth-related defilement more horrible than that related to funeral. Pursuantly, in Japan stricter regulations on childbirth rooms and stricter taboos for babies have been passed down. Besides, in the process of its comparative study on both nations' divine images and appearances, the writer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unlike Japan's mountain gods and restroom goddesses appearing at delivery sites, they don't get involved in childbirth in Korea and discussed Japan's theory of reincarnation and its mountain goddess' marginal nature working behind the curtain. I also discussed the phenomenon that both nations' childbirth gods are passed down as Three gods, which means that their faith in childbirth gods has to be seen as a result of the faith in childbirth gods interacting with the faith in Three gods or the Three-gods theory, accordingly I indicated that it is worth re-consideration to see the Three-God Theory as the core of the faith in Samsinhalmoni. Lastly, though in both nations' childbirth faith underlies their fear for divine beings, the faith in childbirth gods, strongly coupled with death heritages, is distributed throughout the nation, which is because Japan's childbirth gods intervening in birth and growth of a new life also actually involve themselves deeply in the sphere of death as well.
Dog meat was begun to be edible by the Chinese, Japanese, the French, Belginan, German Philippines Vietnamese, North-Americans African-Indians Canadian-aborigines Alaskan aborigines including Kor-eans. According to the record, Korea has a long history to have eaten dog meat from the era of Sam-kug(three kingdoms BC 57∼AC 668) and so there are numerous languages proverbs, and customs re-lated to the dog meat. Over the long history there have been many records and recipes about the edib-leness of dog meat. But at present time only the way of cooking such as Bosintang(a soup) Suyuk(a boiled meat) Duruchighi(boiled meat added spice and slightly roasted) Muchim(boiled meat added by spice and mixed) Gaesoju(an extract) Jeongol(boiled meat mixed with spices vegetables and water on the pot) remains. Koreans eat dog meat following the traditional customs n the Boknal(hottest day in summer). Also the areas of Buyo. Sochon, Boryong adn Chongyang of Chungnam province and the ad-jacent areas like Kongju, Iksan, and Nonsan have customs to kill the dog and offer dog meat to the gue-sts in time of small or big occasions such as funeral ceremony Hoigap(anniversary of one's 60th birth-day) and one's birthday. This range of customs is expanding larger and larger. These areas are the cen-ter of past Baekche(BC 57∼AC 660). In spite of this it is unreasonable, and excessive action for foreig-ner to fine fault with the dog meat or Korean food culture.
The traditional ritual foods of Korea have developed with for many years, and differ by locality, family customs and religious characteristics. In an efforts to establish the database on that addresses the difficult issue of a classification system for traditional Korean foods, we have conducted a survey of a traditional Korean ritual foods. In the database, typical 10 rites are represented, covering birth to death, these are birth, the hundredth day after birth, the first birthday, the commemoration of finishing books(graduation), the coming of age ceremony, marriage, the birthday feast for an old man, the 60th wedding anniversary, the funeral, and the memorial service. For each rite, the appropriate traditional Korean foods are classified into 6 categories-main dishes, side dishes, tteok lyou, hangwa lyou, eumchung lyou and the others. Some of these have varied considerably with the passage of time, and some have since disappeared. This database provides a basis for generational transmission,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Korean ritual foods as one of the components traditional Korean culture.
Kyu-Soo Park wrote the book "Gur Ga Jap Bok Ko" (Proposition for Household Casuals) around A.D. 1865. He was a widely-learned man and a proponent of Korean self-consciou-seness like his fellow Pragmafist against then prevailing Chinese influence, which had already penetrated deeply into ordinary life style. According to this fact we can see not only the general dress-cystoms but the new customs of some high-birth People with evident self-consciouseness like him at that time. For example, they wore "Sim Eui" and "Bok Gun" as the dress of their ordinary life in spite of the general dress custom wearing the "Do Po" (Traditional Korean full-dress attire) and "Gat" (Traditional cylindrical Korean hat) as an ordinary or a ceremonial dress irrespective of rank at that time. Women wore an overcoat with "Chima" and "Jur. Go Ri" instead of the shortened "Jur, Go Ri" and buttock exagerating "Chima" largely popular at that time too. And also wore "So Eui" instead of "won Sam" or "Dang Eui" prevailing for the psychological resemblance of higher ranking group. Male yougnsters wore "Sa Gyu Sam" as an ordinary life dress and Girls wore "Chima and Jur Go Ri".
유목문화를 근간으로 하는 몽골에서 말은 중요한 이동수단으로서 목축민들의 특별한 애정과 존중을 받아온 몽골을 대표하는 가축이다. 몽골에서 말은 가축을 흩어짐 없이 사육하고 새로운 초지를 찾아 유목하거나 장거리 이동시 주요한 교통수단으로 사용 되였다. 따라서 말은 몽골의 목축생활 양식과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국의 전통사회에서도 말은 교통수단과 군사용 등으로 사용된 중요한 가축이었다. 한국과 몽골의 문화에 등장하는 말은 신승물, 신성성, 의리를 지키고, 충성을 다하는 존재, 재앙을 예시하는 존재, 민중의 이상과 꿈을 실현시켜 줄 수 있는 존재, 정력과 지혜로움, 도약 등의 상징성을 지닌 동물로 묘사되어 있다. 또한 말은 신과 교감하는 천마이며, 신에게 바쳐지는 성물인 헌마로서 존중되었고, 그리고 신성한 존재인 마신으로까지 추앙받는 존재였음을 알 수 있다. 몽골에서 말과 관련된 세시풍속은 말이 출산하는 여름의 첫 달인 인일 '암말의 씨를 내는 의례'에서 시작해서 가을 술일에 '암말을 놓는 의례'로 끝이 난다. 암말의 씨를 내는 의례에서 암말을 놓는 의례에 이르기까지 말과 관련된 몽골의 세시풍속은 가축의 젖과 연관되어 있다. 암말의 씨를 내는 의례는 말이 새끼를 얻는 것을 기념하는 축제로서 이때는 각종 가축의 젖과 유제품이 흔해지는 풍요로운 시기이다. 몽골인들은 가축의 출산을 알리고 축원할 때 주로 가축의 젖을 바치는 풍속을 행한다. 즉, 말이 새끼를 낳는 초여름 새끼가 건강하게 자라서 수가 증가하기를 기원하고, 이와 더불어 유제품이 더 풍부해지기를 기원하면서 길상을 의미하는 흰색 젖의 특상품을 하늘, 대지 그리고 물의 신에게 뿌리는 차찰의식을 거행한다. 차찰의식을 통해 몽골인들은 초원의 풀이 잘 자라고 가축의 수가 증가하여 삶이 풍요로워 지기를 기원하였다. 가을의 '암말을 놓는 의례' 역시 말 젖짜기를 그치면서 다음 해 새끼말들이 많이 태어나서 더 많은 젖과 아이락을 얻기를 기원하는 축제임을 알 수 있다. 한국에서는 통일신라시대 이래로 국가가 주도하는 마제가 개최되었는데, 마조제는 중춘, 선목제는, 중하, 마사제는 중추 등 각각 길일을 택하여 말에게 제사하였다. 이들 제사는 말의 무병과 성장 번식을 기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제주도의 대표적인 목축의례인 백중제 역시 그 해의 목축이 잘되기를 기원하는 제의의 형태로 나타난다. 또한 정월의 첫 말일인 상오일에 장을 담그면 맛이 좋다고 전해진다. 첫 말날 장을 담그면 장맛이 좋다고 하는 것은 말이 콩을 좋아하므로 콩을 원료로 하는 장을 담그는 것이고, 말날에 담근 장은 말피처럼 빛깔이 진하고 맛이 있다는 것이다. 말은 기가 왕성하므로 말날은 먼 길을 나서기에 좋은 날로 믿고 있다. 한국과 몽골의 말과 관련된 세시풍속은 말의 출산과 관련하여 다산과 풍요를 바라는 마음에서 신에게 기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몽골인들이 말 젖을 하늘과 땅에 뿌리는 차찰 의식을 통해 말의 번식과 흰색의 유제품이 풍부해지길 기원하였다면, 한국의 세시풍속은 제천의식을 통해 말의 번식과 무병을 기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같은 북아시아 유목적 태반을 공유하고 있는 몽골과 한국의 목축 관행의 상사 및 상이점, 스텝과 농경지대라는 목축 환경의 상이성과 그를 기반으로 전개되어 온 목축 관행의 역사적인 변용들을 구체적으로 조목조목 따져 밝혀가는 본격적인 연구과제는 시론 차원의 이 논문에서는 일단 문제로만 제기해 두려 한다.
중국(中國) 광서성(廣西省) 전주현(全州縣) 동산요족(東山瑤族)은 한족(漢族)과의 교류가 일찍부터 활발했던 이유로 그 기층을 이루는 민속문화(세시풍속 통과의례 민간신앙 주거민속 농업과 농기구 등)가 대체적으로 한족(漢族)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러나 그 기저에는 요족(瑤族)의 전통적인 문화형태를 보존해 오고 있다. 세시풍속 중 모든 요족(瑤族)의 시조인 반고(盤古)의 탄생을 기념하는 명절, 여러 의례 중에 혼례 때 이루어지는 곡가(哭嫁) 같은 노래들, 상례(喪禮)에서의 의례형식, 요족(瑤族)의 신앙생활을 주재하는 사공(師公) 등이 있는 것들이 그러하 다. 또한 주거에 있어서 환경적인 요인과 생활습관에 의해 한족(漢族)의 것과는 부분적으로 다른 차이도 발견된다. 예를 들어 주택이 기본적으로 2층 구조라든가, 상량의식에 사용하는 도구가 틀리다는 점 등이다. 농업과 농기구는 기본적으로 한족(漢族)의 그것과 비슷하며 단지 지역적 차이로 인한 약간의 변형이 있는 정도이다.
Dolbok, the first birthday suit, is a formal suit a person puts on for the first time after birth. It not only a symbolizes of Korean customs or traditions, but also represents transmitted ideas, values and lifestyles of Koreans. In this nation where strong preferences for son prevailed, dolbok for boy was specially important. 1.Styles of weaing Dolbok are classfied into trousers and jeogori, baeja, magoja, durumagi, jeonbok, sagyusam and yongpo styles in accordance with what kind of clothes was finally worn. 2. Accessories of dolbok for boys included dolddi, dol jumeoni, gulre, bokgeon, hogeon and tarae baeseon. 3. Dolbok of trousers and jeogori, baeja or magoja style simply consisted of 2 to 4 units of clothes. It was usually worn by ordinary people, and strongly imaged as common. Dolbok of durumagi or jeonbok style was a combination of 5 to 6 units of clothes and mainly worn by noble and royal families. It was remarkably formal, but quite brilliant. The suit for first birth anniversary which was sagyusam or yongpo was made in accordance with court rules and used by the royal family, It consisted of 7 to 8 units of clothes. Dolbok of sagyusam or yongpo style used invariable, simple patterns and colors, but had strong images of courtesy and dignity. 4. Regarding accessories of dolbok, the long-hanged goreum was a symbol of parental wishes for the $baby^{\circ}{\emptyset}s$ health and longevity and dolddi was joined by dol jumeonisymbolizing the wealth and prosperity of the baby. In addition, hogeon was a hat whose shape was the head of tiger symbolizing wishes for bravery and health and tarae beoseon was childlen's socks that had seams, symbolizing prosperity, on the fore edge. Seon for sagyusam was used as a symbol of preventing diseases or evil spirits to protect the health of the baby.
최근 몇 년 동안 한국 영화는 세인이 다 알고 있는 성취를 거두었다. 예술적으로는 국제영화제에서 빈번하게 수상을 하였고 상업적으로는 아시아는 물론 전세계의 영화시장을 신속하게 점령하였다. 높은 입소문과 함께 흥행가작들이 쏟아져 나와 영화 관람 붐을 일으키고 문화 현상을 형성하여 "한류"문화의 중요한 힘이 되었다. 이런 상황은 한국 정부의 문화정책이 대대적으로 뒷받침한 덕분이기도 하지만, 한국 영화인들의 높은 문화적 자각에도 관계된다. 바로 한국 영화가 보여주는 한국 문화가 동양의 문화적 정취를 담아 관중들의 사랑을 받고 세계의 인정을 받고 있다. 홍창표 감독이 연출하고 심은경, 이승기 주연의 한국 로맨스 코미디 <궁합>은 2018년 개봉하였다. 영화는 조선시대 최고의 기예를 가진 역술가 서도윤이 궁합풀이를 통해 송화옹주를 위해 부마를 선택하여 혼인을 해결하고 연이는 가뭄으로 인한 민원을 회복하여 나라 위기를 해결하는 이야기를 썼다. 이 논문은 궁합의 예를 들어, 문화의 물질적 측면과 제도적, 행위적 측면, 심리상태적 측면에서 영화 속 표현의 "팔자", "합혼(閤婚)"등의 전통풍속과 이런 풍속 뒤에 내포된 음향오행문화의 관념을 분석하고 전통문화가 영화라는 현대 문화 예술 형식에서 보여 지는 방식, 방법, 규율을 탐구함으로써 더 나아가 세계화 시대에 어떻게 하면 더욱 자각적이고 자신 있게 서로 다른 인류문명에 대해 파악 할지에 대해 탐구하였다.
De Palo, P.;Maggiolino, A.;Centoducati, P.;Tateo, A.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제26권11호
/
pp.1637-1643
/
2013
The present work describes the effect of slaughtering age on horse carcass traits and on meat quality. Eighteen male Italian heavy draught horse (IHDH) breed foals were employed in the study. Soon after foaling they were randomly subdivided in 3 groups according to 3 age at slaughtering classes: 6 months old, 11 months old and 18 months old. Live weight, hot carcass weight and dressing percentage of each animal were recorded. After slaughtering, meat samples were collected from Longissimus Dorsi muscle between 13th and 18th thoracic vertebra of each animal and then analyzed. The right half carcass of each animal was then divided in cuts. Each one was subdivided into lean, fat and bones. Then, the classification of the lean meat in first and second quality cuts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butchers' customs. Older animals were characterized by a lower incidence of first quality cuts (p<0.01) on carcass. Younger animals showed greater content in protein (p<0.01). Fatty acid profile showed an increasing trend of PUFA connected to the increasing of slaughtering age (p<0.05). The unsaturation index of intramuscular fatty acids was not affected by slaughtering age, confirming that horse meat, if compared to beef, is more suitable from a nutritional point of view. Season influenced reproduction, birth as well as production aspects of this species. The different slaughtering age could represent the way to produce meat of IHDH foals during the entire year without change in the qualitative standard expected by consumers.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