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tite granite

검색결과 322건 처리시간 0.026초

한국(韓國) 남서부(南西部)의 덕음(德蔭)과 전주(全州)-금은광상(金銀鑛床)에 대(對)한 암석지구화학적(岩石地球化學的) 연구(硏究) (Lithogeochemistry on the Dukum and Jeonjuil gold - silver deposits in Southern - western part of Korea)

  • 윤정한;전용원;전효택
    • 자원환경지질
    • /
    • 제21권4호
    • /
    • pp.389-400
    • /
    • 1988
  • Minor elements such as Ag, As, Au, Bi, Cd, Cu, Co, Ni, Pb, Rb, Sb, Sr and Te were analyzed by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ry and induced coupled plasma spectrophotometry in order to investigate pathfinders for gold in quartz porphyry, granite porphyry and vein materials in Jeonjuil gold - silver mine, and in altered biotite granites and vein materials in Dukum gold - silver mine. In Dukum gold - silver mine, it is observed that Au contents have positive relation with As, Co, and Rb contents, but negative relation with Bi contents in altered biotite granites. Au contents have positive relation with Ag, As, Co and Te contents in vein materials. In Jeonjuil gold - silver mine, it is observed that Cd, Rb, Sr and Te are enriched near ore vein in quartz porphyry and granite porphyry. Au contents have positive relation with As, Cd, Cu, $Fe_2O_3$ and $K_2O$ in vein materials.

  • PDF

포천 - 기산리 일대에 분포하는 쥬라기 대보화강암류의 암석 및 암석화학 (Petrology and petrochemistry of the Jurassic Daebo granites in the Pocheon-Gisanri area)

  • 윤현수;홍세선;이윤수
    • 암석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16
    • /
    • 2002
  • 1/5만 포천-기산리도폭에 넓게 분포하는 쥬라기의 대보화강암류는 선캠브리아기의 편마암 복합체를 관입한다. 이들은 모우드 분석결과 거의가 몬조화강암에 해당하며, 구성광물특성상 흑운모화강암(Gb), 석류석흑운모화강암(Ggb) 그리고 복운모화강암(Gtm)으로 구분된다. 주변지역의 야외조사와 K-Ar 운모류 연령해석에 의하면 Ggb가 Gb를 관입하였으며 Gtm은 가장 후기로 해석된다. 연구대상인 Gb와 Ggb는 서브알카린과 캘크알칼린 계열의 산성암류이다. $SiO_2$ 증가에 따라 주 원소의 대부분이 완만한 부의 경향을 뚜렷히 가지나, $TiO_2$, MgO 및 CaO등은 두 개의 다소 다른 선상분포를 이룬다. 이와 더불어 선상의 분포경향을 이룬 AMF, Sr대 Ba 그리고 Rb-Ba-Sr 관계 등으로 미루어, 이들은 동일마그마에서 기원되었으며 Ggb가 Gb보다 분화후기의 산물로 해석된다. Sr 대 CaO와 Sr 대 $K_2O$는 모두 정의 관계를 이루나, Sr이 알칼리장석보다 사장석의 분별결정작용에 보다 더 관여한 경향을 이룬다. 콘드라이트 값으로 표준화한 변화도에서 이들은 LREE에서 HREE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뚜렷이 결핍된다. 그러나 Ggb의 한 개 시료는 HREE가 점이적 증가경향을 이루며, 이는 석류석의 수반에 의한 것으로 해석된다. Eu 부의 이상으로 미루어 Gb에 비해 Ggb에서 사장석의 분별결정작용이 매우 강하게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Qz+Af) 대 Op의 모우드 상관도에서 Gb는 거의가 자철석 계열에, Ggb는 모두 티탄철석 계열에 속한다. 모우드 분석과 대자율 역산에서 Gb와 Ggb의 대자율은 각각 339.3 ${\mu}SI$와 2.3 ${\mu}SI$로써 뚜렷이 구분되며, 이는 각각 자철석과 흑운모가 주도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Gb와 Ggb의 $SiO_2$는 각각 높은 함량과 좁은 범위값을, $K_2O/Na_2O$는 각각 1.29와 1.27을, 그리고 A/CNK 몰비는 거의가 1.05 이상의 값을 가진다. 그 밖에 ACF도와 대자율값에서도 모두 S-형에 속하는 암석성인적 특성을 보인다.

부산지역(釜山地域)의 불국사산성화성암류(佛國寺酸性火成岩類)의 암석학적(岩石學的) 연구(硏究) (Petrological Study on the Bulgugsa Acidic Igneous Rocks in Busan Area)

  • 차문성
    • 자원환경지질
    • /
    • 제9권2호
    • /
    • pp.85-106
    • /
    • 1976
  • The Bulgugsa acidic igneous rocks of the late Cretaceous age are largely distributed in Busan area, which is located in the southeastern corner of the Korean Peninsula. These igneous rocks comprise in ascending order, felsite, dacitic-rhyolitic welded tuffs, granite porphyry and granitic rocks. The former three members represent the early phase of volcanic activities, so that they are named as Jangsan volcanic rocks. The granitic rocks consist of granodiorite, hornblende biotite granite, Kumjongsan granite, fine grained granite, and Daebyen granite, represent the late phase of igneous activities. The Kumjongsan grainte, the largest pluton of the granitic mass, emplaced between two great vertical faults trending NNE. New chemical analyses of 33 rock samples of these acidic rocks are given. Their chemical compositions are generally similar to those of the late Mesozoic acidic igneous rocks of the northern Ashio mountains, and C-Zone granite group of the Ogcheon geosyncline, with their characteristic variation trends of several oxides. Their chemical compositions also show that $Al_2O_3$ is high value, and differentiation index is high, too. Systematically developing joints in Kumjungsan granite are divisible into two types at least. One is the NS-N $20^{\circ}E$ trendirig, $85^{\circ}{\sim}90^{\circ}$ dipping type of joint system which coincides with the trends of distribution of the granite mass and the dikes intruding this granite. Joints of this type may be cooling joints generated as tension cracks. The other is the $N60^{\circ}{\sim}70^{\circ}W$ or $N40^{\circ}{\sim}60^{\circ}E$ trending type of joint systems. It is considered that. joints belonging to this type may be shear joint occurring under the state of south-north tectonic couple acting at the east and west side of the granite mass. Igneous activities of the the Bulgugsa acidic igneous rocks in Busan area was taken place as. follows, formation of the magma reservoir, eruption and intrusion of felsite, consolidation of vents. and increasing vapor pressure in magma reservoir, eruption of pyroclastic flows, caldera collapse, intrusion of granite porphyry, and intrusion of granitic rocks at the latest stage.

  • PDF

보성(寶城)-순천(順天) 지역(地域)에 분포(分布)하는 정편마암류(正片麻岩類)의 지질시대(地質時代)와 성인(成因)에 대(對)한 연구(硏究) (Geochronology and Petrogenesis on Orthogneiss in the Bosung-Suncheon area)

  • 김용준
    • 자원환경지질
    • /
    • 제21권1호
    • /
    • pp.69-83
    • /
    • 1988
  • Orthogneiss of the study area is meta-igneous complex that composed of granite gneiss, porphyroblastic gneiss and migmatitic gneiss. Migmatitic gneiss produced from granite gneiss and porphyroblastic gneiss by strong ductile shearing. These rocks show mostly gneissic and partly mortar textures by strong regional metamorphism and ductile shearing during several orogenies. $^{40}Ar-^{39}Ar$ incremental-release ages of these rocks have been determined for 1 hornblende. 1 biotite and 3 muscovite concentrates separated from orthogneisses in this area. Ages of regional metamorphism and ductile shearing of these rocks are more than 5 stages(1500 Ma, 260 Ma, 190 Ma, 180-170 Ma and 160 Ma) under $300^{\circ}C$ to $500^{\circ}C$. These rocks had not been nearly effected by Daebo orogeny, because this area is far from Daebo granite bodies. The general trend of major chemical composition and mineral composition of these orthogneisses suggest that these rocks are some series of differentiated products from magma.

  • PDF

대화(大華) 및 돈산(敦山) 중석(重石)·모리브덴 광상(鑛床)의 광석(鑛石)과 광물공생관계(鑛物共生關係) (Ore and Mineral Paragenesis of Daehwa and Donsan Tungsten-Molybdenum Deposits)

  • 박희인;최석원;김덕래
    • 자원환경지질
    • /
    • 제18권1호
    • /
    • pp.11-22
    • /
    • 1985
  • The Daehwa and Donsan tungsten-molybdenum deposits are composed of numerous fissure-filling veins developed in Precambrian gneiss and Cretaceous granite and quartz porphyry. K-Ar age of biotite in granite and that of muscovite in ore veins are $105{\pm}5\;Ma$ and 88.2~88.6 Ma respectively. Occurrence of ore deposits shows that relevant igneous rock is possibly quartz porphyry rather than above mentioned granite in temporal view point. Vein structure and mineralogy suggest that ore veins were formed by continuous vein filling, not by repeated mineralization. Three distinct depositional stages with decreasing age can be devided on the basis of mineral paragenesis and fluid inclusion studies: Stage I, deposition of oxides and silicates; stage II, deposition of base-metal sulfides and sulfosalts with carbonates; stage III, deposition of barren calcite and fluorite. Tungsten, molybdenum and tin mineralization occurred in stage I.

  • PDF

대현광산 견운모의 생성과정과 화학조성 및 폴리타잎 (Mineralogical Study of Sericite in the Daehyun Mine: Formation, Chemistry and Polytype)

  • 이병임;김수진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69-84
    • /
    • 1998
  • The Daehyun sericite deposit in socheon-myun, Bongwha-gun, Kyungsangbuk-do, Korea, has been formed by the hydrothermal alteration of the Hongjesa granite of Precambrian age, leaving the muscovite granite between ore body and the Hongjesa granite as the wall rock alteration zone. The process of sericitization of granitic rock as well as chemistry and structures of sericites were studied using polarizing microscope, X-ray diffractometer (XRD), electron probe microanalyzer (EPMA) and high 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HRTEM). There are two genetic types of sericites having different chemistry and structure. The early sericite is of 2M1 polytype and has octahedral composition close to muscovite. It has been formed from the primary muscovite, tourmaline and quartz under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The late sericite is of 1M, 2M1 and 3T polytypes and has phengitic composition. It has been formed form feldspar, biotite, muscovite and tourmaline under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Chemical analyses show t, the early sericite has less Mg+FeT content and lower Si/AlIV ratio in tetrahedral site than the late sericite.

  • PDF

에오세 경주 A-형 화강암의 기원: 높은 불소 함량에 대한 고찰 (Origin of the Eocene Gyeongju A-type Granite, SE Korea: Implication for the High Fluorine Contents)

  • 명보라;김정훈;우현동;장윤득
    • 자원환경지질
    • /
    • 제51권5호
    • /
    • pp.439-453
    • /
    • 2018
  • 한반도 남동부에 분포하는 에오세 경주 화강암체들은 양산단층과 울산단층을 따라 분포하며, 알칼리장석화강암(AGR), 흑운모화강암(BTGR), 각섬석흑운모화강섬록암으로 분류된다. 지화학적 특성에 따라 이들은 A-형 화강암 (AGR)과 I-형 화강암 (BTGR)로 분류되며, 상부맨틀 내의 같은 모마그마로부터 유래한 것으로 생각된다. AGR의 경우, 유색광물들 (각섬석, 흑운모)이 간극상으로 관찰되는데 이는 AGR 마그마의 결정화 동안 Fluorine (F)이 풍부한 유체가 유입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AGR은 친석원소와 (Sr, Ba 제외) 경희토류원소의 함량이 높으며, 이는 섭입대에서 유래한 유체의 영향으로 생각된다. 에오세 경주 화강암체 중 AGR의 가장 높은 고장력원소 함량과 저어콘포화온도는 마그마 결정분화보다는 부분용융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이들 특징들은 AGR의 높은 F 함량이 섭입슬랩에서 유래한 F이 풍부한 유체와 부분 용융의 영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이 연구에서 수행한 희토류원소와 Ba/Th 모델링과도 일치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AGR은 BTGR의 부분용융과 섭입슬랩에서 유래한 F이 풍부한 유체의 유입의 영향이 합쳐져 형성된 것으로 판단하였다.

삼성광산 일대의 견운모광화작용에 대한 광물학적 및 성인적 연구 (Mineraloty and Genesis of the Sericite Ore from the Samsung Mine Area)

  • 김원사;최준규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6권7호
    • /
    • pp.674-682
    • /
    • 2005
  • 충남 청양군 정산면에 위치한 삼성광산은 견운모를 생산하고 있는 광산으로서, 이 광산 및 주변지역에서 산출되는 견운모에 대한 지질학적 및 광물학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야외지질조사 및 편광현미경 관찰, X선회절분석, 전자현미분석, X선형광분석, 시차열분석, K/Ar 동위원소분석 등의 실내연구를 실시하였다. 삼성광산 지역은 선캠브리아기의 화강편마암이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같은 시기의 운모편암이 발달하고 있다. 견운모는 화강편마암의 열수변질 작용에 의해 생성된 것으로 사료되며, 원암의 주요 구성광물인 정장석 $\to$사장석$\to$흑운모의 순서로 변질된다. 견운모화가 진행되어 감에 따라 석영의 외곽부분에서 용해작용에 의한 만곡현상이 심화되다가 점차 사라진다. 견운모로의 변질작용이 진행됨에 따라 모암의 화학성분은 $SiO_2\;and\;Na_2O$ 함량은 감소하는 반면, $Al_2O_3\;and\;K_2O$는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낸다. 견운모의 생성시기는 중생대 쥬라기이며, 이 시기는 화강편마암을 관입한 흑운모화강암의 관입시기와 잘 일치한다.

나주동문외석당간 구성암석의 암석학적 특징과 훼손양상 (Petr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eterioration phenomena of the rocks consisting the Naju-Dongmunoi-Seogdanggan(Stone Stele))

  • 이상헌
    • 보존과학회지
    • /
    • 제19권
    • /
    • pp.57-66
    • /
    • 2006
  • 나주동문외석당간(보물 제49호)은 심한 풍화에 의해 많이 훼손되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풍화양상을 분석하여 그 요인을 파악하여 보존대책 수립의 기본 자료를 구축하는데 있다. 이 석당간을 이루고 있는 암석은 중립 내지 조립질의 흑운모화강암이며, 이 암석은 주위에 비교적 넓게 분포하고 있는 중생대의 흑운모화강암체로부터 채취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 암석을 이루고 있는 주 구성광물은 석영, 사장석, 알칼리 장석 및 흑운모 등이다. 이 암석의 표면은 심한 풍화에 의해 전체적으로 입자박락과 표면박리가 잘 발달되어 있다. 또한 풍화, 오염물 그리고 철띠의 산화물 등의 영향에 의해 붉게 또는 검게 변색되어 있는 곳이 많다. 암석 표면은 전체적으로 유기물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띠로 사용된 철의 부식물은 부분적으로 산화철 또는 수산화철로 재침전되어 표면을 피복하기도 한다. 훼손양상으로 중요한 것들은 입자박락, 표면박리, 균열, 흑화현상 및 부재들의 모서리 부분의 파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주로 풍화, 철 부식물의 영향, 유기물의 피복, 구조적 불안정 및 충격 등의 요인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전체적으로 볼 때 구조적으로 약간 불안정하며 풍화에 의한 균열이 계속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서부 경기육괴에 위치한 덕적도의 암상과 지질 (Lithology and Geology of Deokjeok Island, Western Gyeonggi Massif, Central Korea)

  • 엄현우;김윤섭;정원석
    • 암석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63-272
    • /
    • 2013
  • 우리는 서부 경기육괴의 연변부에 위치한 덕적도에서 야외 지질조사와 암석기재학적 연구를 실시하여, 덕적도에 산출하는 암상을 (1) 흑운모 화강암, (2) 반상 화강암, (3) 압쇄 규암-편암, 그리고 (4) 저변성퇴적암류로 분류하였다. 흑운모 화강암은 섬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른 암상들을 관입하고 있다. 덕적도의 동쪽 연변부를 따라 압쇄화된 반상화강암이 소규모로 산출한다. 섬의 북쪽에는 변성퇴적암이 산출하는데, 동쪽 해안가로 압쇄 규암과 편암이 호층구조를 이루고 서쪽으로는 상대적으로 변형의 강도가 약한 저변성퇴적암이 산출한다. 압쇄 규암-편암에서는 강한 파동소광과 아결정화된 석영과 함께 다량의 백운모와 소량의 녹니석 및 흑운모를 관찰할 수 있다. 이러한 광물조합은 변성도가 녹색편암상 또는 흑운모 분대에 해당함을 지시한다. 저변성퇴적암류에는 변성역암, 변성사암, 변성이암, 흑색점판암 등의 다양한 암상이 존재한다. 덕적도는 동쪽 해안으로 갈수록 암석의 종류에 관계없이 파쇄의 정도가 심해지고 일부에서는 석영이 연성전단작용에 의해 유동띠의 형태를 가지는 전단대가 발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