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diversity assessment

검색결과 233건 처리시간 0.025초

우리나라 도시 특성을 고려한 도시생물다양성지수 적용성 검토 및 도시의 생태적 건전성 평가지표 개발 (The City Ecological Soundness Index Development Based on the City Biodiversity Index (CBI) and Korean City Characteristics)

  • 윤형두;이장호;최인태;박석철;한봉호;김명진
    • 환경영향평가
    • /
    • 제25권6호
    • /
    • pp.442-456
    • /
    • 2016
  • 생물다양성협약 사무국(SCBD)은 도시생물다양성지수(CBI)를 지방자치단체에서 도시생물다양성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 권장하고 있으며,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해 해외 여러 도시에 시범적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생태적 측면에서 도시의 객관적 평가를 위해 도시생물다양성지수를 중심으로 국내 도시 특성을 고려, 도시단위로 구축된 자료를 활용하여 현재의 자료구축 상황에 적합한 지표를 도출하고 시범 적용하였다. 도시의 생태적 건전성 평가지표(CESI)를 생물다양성, 생태계서비스, 행정 및 관리의 3개 영역 12개 지표로 구성하고, 그 계산방식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추후 모든 도시에 적용될 시 용이한 도시간 비교평가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목을 활용해 85개 도시의 유형을 분류하고, 도시생태현황지도의 활용이 용이한 18개 도시에 시범적으로 적용해 보았다. 도시의 생태적 건전성 평가지표는 생물다양성과 관련된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수집 관리하고, 생물다양성을 증진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유해해양생물 위해성평가 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risk assessment system for the harmful marine species: the legal problems and solutions)

  • 이창수;모영동
    • 환경생물
    • /
    • 제38권4호
    • /
    • pp.691-704
    • /
    • 2020
  • 해양수산부는 사람의 건강과 재산을 위협하는 유해해양생물을 관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17종의 유해해양생물을 지정했다. 유해해양생물의 지정 및 관리에 있어 2015년 11월 고시를 제정하고, 2019년 '해양생태계 교란종 및 유해해양생물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지침(이하, 훈령)'을 개정하였다. 이 연구는 두 가지 목적을 가지고 있다. 첫째, 해양수산부가 운영하는 유해해양생물의 위해성평가제도의 도입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둘째, 현행 유해해양생물 지정 및 관리체계를 검토하여 현행 제도를 개선하고 정책제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유해해양생물의 위해성 위험 평가 제도'를 '위험'과 '평가'의 두 가지 정의로 검토하였다. 현 위해성평가 절차에 대한 본고의 검토 결과는 정성적 위해성평가 요소의 보완이다. 비록 정성적 평가기준이 가미되어 있지만, 현 위해성평가 절차는 정량적 위해성평가에 충실한 제도로 정성적 위해성평가 요소가 보완되었을 때 정량적 위해성 평가가 가지는 단점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검색엔진 Elsevier를 활용한 해양생물다양성 국제연구협력방안 고찰 (A Study of International Research Cooperation based on Elsevier Papers of Marine Biodiversity)

  • 오현택;김혜진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1호
    • /
    • pp.248-257
    • /
    • 2016
  • The international collaboration on marine biodiversity increases in the proportion of the world's scientific papers produced with more than one international author, 2006-2010. The number of scientific papers from 2006 to 2010 describing "marine new species (or spec. nov., n. sp.)" published 401 (international ranking : $13^{th}$) by S. Korea, 824 ($7^{th}$) by China, 1,249($5^{th}$) by Japan, 1,282($3^{rd}$) by Austrailia, and 3,679 ($1^{st}$) by United States. The papers having an international co-authorship account for 52.0% by S. Korea, 79.0% by China, 67.0% by Japan, 81.0% by Australia at the same period. The proportion of national publication output produced in collaboration with other countries differs proportionately between countries. In S. Korea, the overall numbers of international collaboration were not growing significantly. Both in Japan and China, an overall numbers of international collaboration increased well in accordance with the proportion of national output with international collaboration.

Thermal and Organic Chemical Stress Responsive Genes in Soft Coral, Scleronephthya gracillimum

  • Woo, Seon-Ock;Yum, Seung-Shic;Kim, Yong-Tae;Suh, Seung-Jik;Kim, Hack-Cheul;Lee, Jong-Rak;Kim, Sa-Heung;Lee, Taek-Kyun
    • Molecular & Cellular Toxicology
    • /
    • 제2권3호
    • /
    • pp.170-175
    • /
    • 2006
  • The extensive isolation of genes responsive to stressful conditions from a soft coral Scleronephthya gracillimum was described. Soft coral colonies were exposed to thermal and chemical stressors to induce the expression of stress related genes.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by natural or anthropogenic stressors were identified by construction of standard and stress exposed-paired subtractive cDNA library. Thirty-two and thirty-seven kinds of candidate genes were identified from thermal or benzo[a]pyrene stress exposed group, respectively, which are associated with cell cycle, cell signaling, transcription, translation, protein metabolism, and other cellular functions. The expected function of each gene was described. The isolated and identified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have a great potential to identify environmental stressors in global environmental changes and could act as molecular biomarkers for biological responses against environmental changes. Finally, it may open a new paradigm on soft coral health assessment.

산림 생태계 서비스를 고려한 산림 보전가치 평가 - 가평군을 대상으로 - (Assessment on the Forest Conservation Value Considering Forest Ecosystem Services - The case of Gapyung-gun -)

  • 김예화;정승규;정슬기;이동근
    • 환경영향평가
    • /
    • 제24권5호
    • /
    • pp.420-431
    • /
    • 2015
  • 최근 생물다양성, 기후변화 등에 대한 관심이 늘어남에 따라 산림 생태계의 보전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산림 생태계의 지속가능성을 위하여 생태계 서비스를 고려한 산림 보전가치평가를 하는데 목적이 있다. 산림생태계는 생물다양성 유지, 기후조절, 물 조절 등에서 생태적 가치를 나타 내며 평가를 위한 지표로 선정하였다. 생물다양성 유지는 생물의 보전을 위한 서식지의 구조적인 특성과 생물종의 분포 특징을 같이 고려하여 평가하였다. 기후조절은 탄소흡수량으로 계산하였고 물 조절은 물저장량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가평군 산림의 50.1%가 보전가치가 높은 산림으로 나타났고, 국내 산림의 보전가치가 평가되고 있는 국내 환경지도와 비교한 결과 유사한 분포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가평군에 특화된 도면이나 평가 방법은 전국 산림의 보전가치 평가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생태계 보호지역의 생물다양성 평가지표 선정 및 적용 연구 - 지리산 및 북한산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 (Evaluation Criteria of Biodiversity in Ecosystem Protected Areas - In Mt. Jiri and Mt. Bukhan National Parks -)

  • 강혜인;강규석
    • 환경영향평가
    • /
    • 제27권2호
    • /
    • pp.114-123
    • /
    • 2018
  •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기 위하여 생물의 서식처가 되는 주요 지역을 생태계 보호지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보호지역의 생물다양성의 보존 및 확보 전략 수립에 타당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보호지역간 생물다양성을 상대적으로 평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림생태계에 해당하는 보호지역의 생물다양성을 객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선정하였고, 이를 지리산 국립공원과 북한산 국립공원의 생물다양성 비교에 적용하였다. 평가지표를 선정하기 위해서 문헌 조사를 실시하였다. 언급된 빈도가 높은 지표들과 산림 생물다양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산림구조를 평가지표로 선정하였다. 이를 통해 선정된 평가지표는 총 7개로 종다양도, 종풍부도, 균등도, 희귀성, 교란종, 고유생물자원 및 산림구조이다. 지리산 국립공원과 북한산 국립공원에서 종다양도는 3.492와 2.943, 종풍부도는 8.998과 9.793, 균등도는 0.849와 0.680, 희귀성지수는 11.976과 10.783, 교란종지수는 0.214과 0.357으로 나타났다. 두 국립공원 모두에서 고유생물자원은 풍부하게 나타났다. 산림구조는 다양한 임상을 보이고 안정적인 4층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수관울폐도는 지리산 국립공원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평가지표에서 지리산 국립공원의 생물다양성이 북한산 국립공원보다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자연기반해법의 탄소저장과 생물다양성의 공동·상쇄 효과 평가 (Assessment of Co-benefit and Trade-off Effects of Nature-based Solutions on Carbon Storage Capacity and Biodiversity)

  • 김다슬;이동근;황혜미;허수정;윤석환;김은섭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5-54
    • /
    • 2024
  • This study developed a model to evaluate the co-benefits and trade-off effects between biodiversity and carbon storage capacity based on the implementation locations of nature-based solutions. The model aims to propose optimal implementation locations by using the conceptual idea of edge effects for carbon storage and connectivity for biodiversity. The co-benefits were considered by simultaneously taking into account two effects rather than a single effect. Trade-off effects were observed among optimal plans through a comparison of benefits. The NSGA-II multi-objective optimization algorithm was utilized, confirming the identification of Pareto-optimal solutions. The implementation patterns of Pareto-optimal solutions for green areas were examined.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proposing optimal locations by evaluating various co-benefits and trade-off effects of nature-based solutions. By advancing models based on this evaluation framework, it is anticipated that the assessment of co-benefits and trade-off effects among various benefits of nature-based solutions, such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enhancement of biodiversity, and provision of ecosystem services, can be accomplished.

정량적 분석에 의한 전남바다목장의 생태계 기반 어업평가 (A study on the ecosystem-based fisheries assessment by quality analysis in Jeonnam marine ranching ecosystem)

  • 박희원;최광호;장창익;서영일;김희용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9권4호
    • /
    • pp.459-468
    • /
    • 2013
  • In the application of the ecosystem-based fisheries assessment Jeonnam marine ranching ecosystem, two fisheries, funnel fishery and trap fishery, were selected as target fisheries. Black seabream, Acanthopagru schlegelii, rock bream, Sebastes inermis, gray mullet, Mugil cephalus, were selected as target species for the funnel fishery, and conger eel, Conger myriaster, was target species for the trap fishery. For assessing indicators of four management objectives, that is the maintenance of sustainability, biodiversity, habitat quality and socio-economic benefits, indicators were selected considering the availability of data, which were 5 indicators for sustainability, 3 indicators for biodiversity, 4 indicators for habitat, 2 indicators for socio-economic benefit. The Objective risk indices for sustainability and biodiversity of two fisheries were estimated at yellow zone, medium risk level. The objective risk indices for habitat and socio-economic benefit were estimated at green zone, safe level. The species risk indices (SRI) were estimated at yellow zone. The fishery risk indices (FRIs) were estimated at 1.143 and 1.400 for funnel net fishery and trap fishery, respectively. Finally the ecosystem risk index estimated at 1.184.

일본과 유럽의 침입외래생물 생태계위해성평가 기법 (Risk Assessment Tools for Invasive Alien Species in Japan and Europe)

  • 길지현;문새로미;김창기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2권3호
    • /
    • pp.191-197
    • /
    • 2015
  • 외래생물은 생물다양성을 감소시키는 주요 요인들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도입된 외래생물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위해성평가를 통한 관리방안 수립은 외래생물 관리정책의 핵심을 이룬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 독일-오스트리아, 벨기에 등의 생태계 위해성평가 기법 및 적용 사례를 제시하여 합리적인 외래생물 관리 도구를 소개하고자 하였다. 일본은 생태계 등에 외래생물이 미칠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을 방지하고자 특정외래생물을 지정하여 수입과 사육 등을 금지하고 있다. 지정 기준은 토착생물에 대한 포식, 경합 및 구축, 환경의 교란 및 유전적 교란 등의 생태계의 피해, 인간의 생명 또는 신체와 관련한 피해, 농림수산업에 대한 피해 정도이다. 독일-오스트리아 블랙 리스트 정보시스템은 외래생물의 생물다양성에 대한 위해성, 분포 정도와 박멸 방안을 평가하여 블랙 리스트, 화이트 리스트 및 그레이 리스트로 구분하고 있다. 주로 외래생물의 생물다양성과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영향을 중점적으로 고려하며 인체 건강에 대한 피해나 농림수산업 등에 대한 경제적인 피해는 고려하지 않는다. 벨기에의 하모니아 정보시스템에서는 외래생물의 환경에 대한 영향과 국내에서의 침입 단계를 평가하여 블랙 리스트, 감시 리스트, 경계 리스트로 구분한다. 생태계위해성 평가를 위한 주요 항목은 잠재적 분산능력 또는 침입성, 보존가치가 높은 서식지로의 침입, 토착종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 생태계 기능의 변화, 국내에서의 침입 단계 등이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국내 외래생물의 관리우선순위를 부여하기 위한 생태계위해성 평가 프로토콜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Assessment of the Distribution of the Street Trees of Suwon City for Biodiversity

  • Choi, Sun A;Kim, Shin Won
    • KIEAE Journal
    • /
    • 제14권5호
    • /
    • pp.49-57
    • /
    • 2014
  • This research is about analysis and evaluation of biodiversity of Suwon's street tree, then understanding the problem of it and finally finding a solution. Because the increasing damage of the street trees by disease and insects, insecticide is applied to prevent further damage. However, this insecticide is found to be cancer genic and causing hygienic threat to civilians. Therefore, by gathering Suwon's internal statistics about Suwon's street tree, the trees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all evergreen trees, deciduous trees, shrubs following Frank's 30-20-10 theory(1990). Also, according to species diversity index, the problem of disease and insect is researched in terms of biodiversity, and here we suggests solutions to counter such problem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trees planted in Suwon was found to be 31 families, 43 genus and 58 species. The most used kinds, almost 85% of the whole species, are found to be Rhododendron indicum (L.) Sweet, Buxus koreana Nakai ex Chung & al, Euonymus japonicus Thunb, Ligustrum obtusifolium Siebold & Zucc. Besides these, the rest of 15% of street trees had little varie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lant tree variously and equally in terms of biodiversity. If this Frank's 10-20-30 solution is not enough to completely solve coulure problem, then further research will be done on soil properties, and local features for improvement of Suwon street t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