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nocular anomalies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8초

한국인의 양안 시기능 이상에 관한 고찰 (Prevalence of binocular anomalies in adult Koreans)

  • 유근창;박현주;성정섭;김재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47-154
    • /
    • 2000
  • 한국인 성인 남자 41명, 여자 60명을 대상으로 굴절이상과 양안시 이상을 검사한 결과 근방 수평사위 46%, 근방내전 이상 52.5%, 근방외전 이상 55.5%, AC/C(Accommodative convergence/Accommodation)이상 50.4%, PRA (Positive relative accommodation) 이상 61.4%, NRA(Negative relative accommodation) 이상 54.5%를 차지했다. 또한 양안 시기능검사 결과를 모간 분석에 의해 분석한 결과 폭주이상 21.7%, 조절이상 29.7%, 조절과 폭주이상 34.6%로 나타났다.

  • PDF

눈의 굴절이상 교정과 사위와의 관계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Refractive Error Correction and Phoria Amount)

  • 서용원;김대년;강인산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39-146
    • /
    • 2000
  • 눈의 굴정이상을 완전교정한 상태에서 양안시기능 알아보기 위해서 maddox rod를 이용하여 안구 편위량을 측정한 결과, 수평방향의 편위가 없는 정위는 10%, 내사위 55%, 외사위 34%로 나타났으며, 안구의 내측 편위가 외측편위보다 11%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4 프리즘 이상의 편위량을 갖고 있는 경우도 내사위 23%, 외사위 9%로 나타나 보다 쾌적한 양안시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안위이상을 고려한 처방이 되어야 한다. 굴절이상 교정별 안위 이상을 측정한 결과 저교정에서 과교정 상태로 감에 따라 안위의 편위는, 외사위는 감소하고, 내사위는 그 정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조절의 영향일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heterophona 법으로 AC/A 비를 측정한 결과, 최저 1.25에서 6.61까지 분포하고 있었으며 굴절이상과는 관련성을 찾아볼 수 없었다.

  • PDF

대학생들의 시기능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binocular function of college students)

  • 조영래;박현주;서지근;성정섭;김재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03-110
    • /
    • 2005
  • 양안시가 국내에서 연구되기 시작한 역사는 길지 않지만 근업이 많아지면서 비교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양안시기능 이상은 굴절이상과 관계가 있으나 외국과 한국은 비정시 분포가 서로 다르므로 한국인의 양안시기능 값을 검사하여 기대값과 비교하였다. 검사대상은 안질환이 없는 만 18세에서 36세까지의 성인남녀 100명에 대해 문진을 실시하고, 양안 완전교정 후 균형을 취한 상태에서 시기능검사(Von Graefe method)를 실시하였고, 기기는 phoropter(Shinnippon VT10)와 visual chart(Shinnippon CT30)를 사용하였다. 검사대상자의 근업시 안정피로도는 두통(28.0%), 잦은 눈깜박임(17.3%), 충혈(15.1%), 안통(10.6%), 유루(10.3%), 쓰림(10.2%), 수명(4.5%), 안구통증(4.0%)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검사대상자 총 100(남 45명/여 55명)명 중 ${\geq}{\pm}0.50$ D의 굴절이상을 가진 자를 비정시로 분류하였는데, 그 중 정시안은 12명(12.0%)이고, 비정시자는 88명(88.0%)이었으며, 원방수평사위는 외사위가 32.0%, 내사위가 12.0%로 나타났으며, 원방 허성상대폭주력은 기대값보다 높은 경우가 43명(43.0%), 낮은 경우가 7명(7.0%)이었으며, 원방 실성상대폭주력의 경우 기대값보다 높은 경우가 15명(15.0%)이고, 낮은 경우가 38명(38.0%)이었다. 근방수평사위는 외사위가 48.0%, 내사위가 20.0%로 나타났으며, 근방 허성상대폭주력은 기대값보다 높은 경우가 23명(23.0%), 낮은 경우가 38명(38.0%)이었으며, 근방 실성상대폭주력의 경우 기대값보다 높은 경우가 29명(29.0%)이고, 낮은 경우가 23명(23.0%)이었다. 근방 허성상대조절력은 기대값보다 높은 경우가 10명(10.0%), 낮은 경우가 14명(14.0%)이었으며, 근방 실성상대조절력의 경우 기대값보다 높은 경우가 69명(69.0%)이고, 낮은 경우가 12명(12.0%)이었다. 결과값은 기대값과 다소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실성상대조절력이 현저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향후 많은 대상자에 의한 한국인 기대값을 제정하는 것이 과제라고 사료된다.

  • PDF

양안시가 정상인 20대 초반 성인의 CA/C비 (CA/C Ratio of Adults in Their Early Twenties with Normal Binocular Vision)

  • 이무혁;유동식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53-158
    • /
    • 2012
  •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양안시가 정상인 20대 초반 성인의 폭주성조절(CA/C, convergence accommodation/convergence ratio)비를 평가하고 나이, 조절력 및 동공간거리(PD, interpupillary distance)와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건강한 눈을 가진 44명(평균나이 $21.75{\pm}1.16$세)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CA/C비는 가우시안의 차(DOG, difference of Gaussian) 시표를 이용하여 검영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측정결과 CA/C비는 평균 $0.052{\pm}0.017$ D/$\Delta$이었다. CA/C비와 나이는 중간 정도의 음의 상관관계(r = -0.50, p = 0.0005)를, CA/C비와 조절력은 강한 양의 상관관계(r = 0.79, p<0.0001)를 보였으며, PD와 CA/C비의 상관관계는 없었다. 결론: 제시된 CA/C비는 19세에서 25세의 건안상태의 20대 초반 성인을 기준으로 측정한 평균값이다. 조절력과 CA/C비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이 자료는 외국의 자료와 연령별, 성별, 양안시이상별 비교에 기본 정보로 활용될 것으로 본다.

Congenital Anomalies of Lower Lacrimal Puncta and Nasolacrimal Duct Atresia in a Labrador Retriever Dog

  • Park, Eun-Jin;Kang, Seon-Mi;Park, Sang-Wan;Kwak, Ji-Yoon;Lim, Jae-Gook;Nam, Taek-Jin;Jeong, Seo-Woo;Seo, Kangmoon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28-230
    • /
    • 2016
  • An 1-year-old, spayed, female Labrador Retriever was presented for bilateral epiphora. A complete ophthalmic examination was conducted, including Schirmer tear test, rebound tonometry, fluorescein staining, slit lamp biomicroscopy, and binocular indirect ophthalmoscopy. To determine the patency of the nasolacrimal duct system, a nasolacrimal flush and dacryocystorhinography were also performed. Although the nasolacrimal flush showed patency in the upper and lower lacrimal puncta in both eyes (OU), the lower lacrimal puncta were not found in the original palpebral conjunctiva, but on medial canthal skin with very small opening. Moreover, the nasolacrimal ducts in OU were not patent with flushing. Bilateral nasolacrimal duct atresia was confirmed by dacryocystorhinography. No other abnormalities of the eyes were found on complete ophthalmic examinations. Bilateral congenital anomalies of the lower lacrimal puncta and nasolacrimal duct atresia were diagnosed in this dog.

젊은 성인의 조절 및 이향운동 기능장애 분석을 위한 표준 값 (Expected Values for the Analysis of Accommodation and Vergence Dysfunction of Young Adluts)

  • 박상배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27-134
    • /
    • 2008
  • 본 연구는 조절 및 이향운동 기능장애 분석을 위한 표준 값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방법: 안질환이 없고 현성사시 및 간헐 사시가 없으며 조절 및 이향운동 기능장애가 없는 54명(평균연령 25.3${\pm}$2.7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객관적 편위각을 기준으로 하여 폭주근점, 원거리 및 근거리 사위량을 측정하였고 이후 AC/A비, 상대조절력 및 이향운동 기능을 측정한 후 이 값들을 Morgan의 표준값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원거리 및 근거리 사위량은 각각 1.24${\pm}$2.72${\Delta}$, 2.70${\pm}$4.91${\Delta}$이었고 렌즈차 이용법에 의한 AC/A비는 3.92${\pm}$2.17${\Delta}$/D로 Morgan의 표준값과 거의 같은 값을 보였다. 원거리 음성융합성폭주량은 동일한 값을 보인반면, 양성융합성폭주량은 Morgan의 표준값에 비해 7${\Delta}$ 높은 값을 보였다. 근거리의 전체 이향운동의 범위는 Morgan 값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원거리의 전체 이향운동의 범위는 양성융합성폭주여력이 상대적으로 더 넓은 범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성상대조절력은 +0.37D 높은 값이었고, 음성상대조절력은 -0.63D 더 높은 값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에 의한 양안시 분석 값들은 Morgan의 표준값이 상당한 근접성 폭주를 포함하고 있을 가능성을 나타낸다. Morgan 표준값과 비교하여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원거리 및 근거리 이향운동량과 근접성 폭주량은, 특히 BO limit 값에서 매우 다른 값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만약 Morgan 값을 한국인의 양안시 분석에 그대로 적용한다면 부정확한 양안시 진단으로 유도될 수도 있다. 본 연구의 측정값은 한국인 정상 젊은 성인의 양안시 분석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PDF

양안시 기능 이상의 시훈련(Visual Training)의 효과 (The Effects of Visual Training on Binocular Anomalies)

  • 김인숙;홍동균;김정희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3-61
    • /
    • 2005
  • 본 연구는 V.T.(vision training)를 통해 융합 버전스의 개선이 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8세 이상 45세 이하의 남자 138명, 여자 162명 총 300명을 대상으로 폭주 근점검사 (N.P.C), Von Graefe법을 이용한 사위검사와 원거리, 근거리 상대폭주력 검사를 측정하였다. 1. 폭주근점 검사의 결과에 의하면 7cm 이하의 근점을 가진 사람이 57명(19%), 7cm 또는 그 이상의 근점을 가진 사람이 243명(81%) 으로 나타났다. V.T후 폭주근점 검사에서는 7cm 이하였던 피검자가 57명에서 111명(37%) 으로 증가 하였으며, 7cm 이상 피검자는 243명에서 189명(63%)으로 현저히 줄었다. 2. Von Graefe 법에 의해 측정된 원거리 수평사위 검사값의 분포를 살펴보면 정위 18명(6%), 외사 198명(66%), 내사위 84명(28%)로 나타났다. 사위 측정후 N.R.C, P.R.C 검사를 실시하였고 V.T. 방법으로 B.I., B.O 카드 훈련을 통하여 기대치가 향상됨을 나타내었다. 3. Von Graefe 법에 의해 측정된 근거리 수평사위 검사값의 분포를 살펴보면 정위 6명(2%), 외사위 222명 (74%), 내사위 72명 (24%)로 나타났다. 원거리에서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실시하여 V.T.후 기대치가 향상됨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