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nding treatment

검색결과 1,250건 처리시간 0.026초

C2C12 근육아세포에서 trichostatin A에 의한 NF-κB DNA 결합 활성과 근육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ichostatin A on NF-κB DNA binding activity and myogenesis in C2Cl2 skeletal muscle Precursor cell)

  • 임운기;김경창;신혜자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5-60
    • /
    • 2002
  • 골격근 세포의 분화는 근육특이 유전자들의 전사적 활성과 근육아세포에서 근육소관으로의 형태적 분화로 특징지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TSA가 근육형성의 일련의 과정에서 NF-kB DNA 결합 활성과 융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대조군과 비교해서 TSA가 처리된 C2C12 myoblast는 융합하여 근육소관을 형성할 수 없었으며 NF-kB DNA 결합 활성은 억제되었다. 이런 현상들이 TSA에 의한 직접적인 것인지 알아보기 위해서 TSA가 처리되지 않고 분화를 유도하기 위해서 사용된 배지를 농축하여 C2C12 myoblast에 TSA와 함께 동시에 처리하였다. 그 결과 세포는 융합하여 근육소관을 형성하였으며 NF-kB DNA 결합 활성이 회복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TSA가 아마도 여러 관련 인자들을 통해 myoblast의 융합과 NF-kB DNA 결합 활성을 억제함으로 근육형성과정에 영향을 미침을 시사한다.

접합자 난관내 이식 환자에 있어서 수정 실패와 항정자 항체와의 관계 및 난자와 정자의 재처리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Detection of Anti-Sperm Antibodies in Zygote Intra Fallopian Transfer (ZIFT) Patients with Fertilization Failure or Low Fertilization Rate and Retreatment of Oocyte and Sperm)

  • 정미경;고정재;도병록;구정진;한세열;차광열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19권2호
    • /
    • pp.169-174
    • /
    • 1992
  • Previous studies have indicated that immunological factor is responsible for the infertility. We have detected sperm antibodies in ZIFT patients which grouped as fertilization failure (A; n=18) and low fertilization rate (${\leq}50%$)(B; n=20). Patients, however, had normal oocytes and sperms. We collected serum from wives and semen from husbands and donors (fertile sperm), if it was needed. We examined class, binding patterns and amounts of antisperm antibodies(ASA) by direct and indirect immunobead binding assay. In group A, 11 husbands were ASA positive showing 62.2% and 61.1% binding with IgA and IgG, respectively, and two wives were ASA positive showing 70.0% and 71.0% binding with IgA and IgG, respectively. Binding sites were mainly at the head of sperms (84%). In group B, 8 husbands were ASA positive showing 37.5% and 40.0% binding with IgA and IgG, respectively, and two wives were ASA positive showing 41.3% and 42.0% binding with IgA and IgG, respectively. Binding sites were also mainly at the head of sperms (78%). For the treatment of ZIFT patients who had fertilization failure at the first trial, we used albumin fractionation method and dilution method with 30% fetal cord serum (FCS) to reduce the titer of ASA. We used partial zona dissection (P.Z.D.) method for wives who have antisperm antibodies in their serum. According to represented method, we could inhance the fertilization rate to 60.0% by albumin fractionation and 20.0% by P.Z.D., respectively. We concluded that the use of micromanipulation like P.Z.D. or the other sperm processing methods is required to increase a chance of fertilization. This result suggested that it should be a prerequisite to test antisperm antibodies prior to entering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ART) programs.

  • PDF

산소대사물에 의한 심장근 Sarcoplasmic reticulum의 칼슘운반 억제 기전에 관한연구 (A Study on the Mechanism of Calcium Binding Inhibition of Cardiac Sarcoplasmic Reticulum by Oxygen Free Radicals)

  • 김혜원;정명희;김명석;박찬웅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79-89
    • /
    • 1985
  • 심근 세포의 칼슘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sarcoplasmic reticulum (SR)의 칼슘운반 능력이 허혈 심근에서 현저히 억제됨이 알려져 있다. 이와같은 허혈 심근에서의 SR 칼슘운반승력 저하에 유독성 산소 대사물이 관여할 것으로 생각되고 있으나 그 기전에 관하여는 아직 알려진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그 기전의 일단을 규명하기 위하여 산틴 산화효소계에 의하여 발생된 유독성 산소대사물긴 돼지 심실근에서 추출한 sarcoplasmic reticulum의 칼슘흡수 및 막지질 과산화, sulfhydryl group 그리고 단백질 변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산틴 산화 효소계와 반응시킨 sarcopl smic reticulum의 칼슘흡수는 반응시간 경과에 따라 현저히 억제되었다. 2) sarcoplasmic reticulum 막지질 과산화는 산딘 산화 효소계에 의하여 현저히 증가되었다 3) 항산화제 ${\beta}$-phenylenediamine은 막지질 과산화의 증가는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으나, 칼슘흡수 억제는 부분적으로 회복시켰다. 4) 산틴 산화 효소계에 의하여 SH-group은 현저히 감소되었으며, 항산화제 첨가에 의하여 그 감소가 일부 억제되었다. 5) sarcoplasmic reticulum을 DTNB로 처리하여 SH-group을 산소 대사물에 의한 산화반응으로부터 보호했을 경우 칼슘흡수의 억제가 부분적으로 방지되었다. 6) Sephadex G-200 크로마토그라피 상에서 산틴 산화효소계와 반응시킨 sarcoplasmic reticulum의 단백질분해가 관찰되었다. 7) 단백질의 polymerization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아울러 polymerization을 억제하는 semicarbazide로 칼슘흡수 감소를 방지하지 못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유독성 산소대사물에 의한 sarcoplasmic reticulum의 칼슘흡수 억제는 sarcoplasmic reticulum의 막지질 과산화, SH-group의 산화 및 막 반백절의 분해 등으로 초래되는 복합적인 기전으로 추정되었다.

  • PDF

소금과 Glucono-${\delta}$-Lactone의 첨가 및 초고압 처리가 재구성 돈육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alt, Glucono-${\delta}$-Lactone and High Pressure Treatment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estructured Pork)

  • 홍근표;박성희;김지연;고세희;민상기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04-211
    • /
    • 2006
  • 본 실험은 소금 및 GdL의 첨가가 세척 및 가압 처리된 재구성육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실시되었다. 소금 및 GdL의 첨가는 재구성육의 결착강도를 현저하게 증가시켰고, 저염농도 또는 소금이 무첨가 되어도 소량의 GdL의 첨가에 의한 결착강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었다. 그러나 GdL의 첨가는 색도를 가열처리와 유사하게 변색시켰고, 이러한 변색은 GdL의 증가와 더불어 현저하였다. 그러나 이들 단점은 세척이나 기타 첨가물에 의하여 향상시킬 수 있으리라 판단되었다. 따라서 본 실험의 결과에 의하면 소량의 소금 및 GdL의 조합을 통하여 바람직한 결착강도 및 변색 저하를 기대할 수 있었고, 첨가된 인산염과 carrageenan에 의한 보수력의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초임계 추출 계피오일의 3T3-L1 지방전구세포의 분화 전사인자 억제에 의한 지방대사 조절 (Inhibition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Adipogenesis by Supercritical Fluid Extracts and Marc from Cinnamomum verum)

  • 박성진;이삼빈;이인선;유미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10-51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초임계를 이용한 계피 오일 추출물(SFC)과 오일 추출 후 남은 부산물인 박(SFM), 그리고 80% methanol (ME) 계피추출물을 이용하여 항비만 효과를 비교하고 어떤 계피의 어떤 성질의 성분이 비만에 더 효과적인지 알아보았다. 3T3-L1 preadipocyte의 성숙한 지방세포로 분화시키기 위해 iso-butylmethylanthine (IBMX), dexamathasone, insulin을 SFC, SFM, ME를 처리하고 Real time PCR을 이용하여 전사인자 발현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SFC에서 mRNA 수준에서 peroxisome-proliferators-activated-receptor-${\gamma}$ ($PPAR{\gamma}$), CCAAT enhancer-binding-protein ${\alpha}$ ($C/EBP{\alpha}$)의 저해능이 세 가지 조건 중에서 가장 높았으며, 또한 SFC는 peroxisome-proliferators-activated-receptor-${\gamma}$ ($PPAR{\gamma}$), CCAAT enhancer-binding-protein ${\alpha}$ ($C/EBP{\alpha}$) sterol-regulatory-element-binding protein-1c (SREBP1c)와 acyl-CoA synthetase-1 (ASC1), fatty acid synthesis (FAS), fatty acid transport-1 (FATP1), fatty acid binding protein-4 (FABP4) 그리고 perilipin의 전사인자도 농도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백서 뇌내 Endorphin의 일주기 변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urnal Variation of Endorphin in Rat Brain)

  • 정창영;김기원;조규박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5-47
    • /
    • 1984
  • 실험적으로 L:D, 12:12또는 D:D, 12:12에 적응시킨 흰쥐의 간뇌에서 beta-endorphin함량의 일중변동과 이에 대한 수종 중추성 약물의 효과를 검토하고 beta-endorphin함량의 생리 및 약리학적 의의를 추구코저 $^3H-morphine$ binding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L:D, 12:12 cycle에 적응시킨 대조군에서 뇌내 beta-endorphin함량은 06 : 00시 에 최고에 달하고 18 : 00시에 최저인 대단히 유의한 일중변동을 일으켰고 24시간 평균 beta-endorphin함량은 $46.7{\pm}3.6$ fmole/mg protein 이었다. 2) D:D, 12:12에 적응시친 표본에서 beta-endorphin 함량은 대조군에서와는 달리 14 : 00시에 최고에 이르고 02 : 00시에 최저에 이르는 일중변동을 보였으며 24시간 평균 beta-endorphin함량도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되었다. 3) 뇌내 beta-endorphin함량 일중별동은 reserpine. pargyline, imipramine, amphetamine. 또는 chlorpromazine처리로써 변동되었다. 4) 대조군에서 $^3H-morphine$ binding은 22 : 00시에 최고에 달하는 일중변동을 보였으며, 지속적인 암적응군에서의 binding은 02 : 00최고, 그리고 14 : 00시에 최하에 이르는 일중변동을 보였다. 5) 대조군과 지속적인 암적응군에서 함량과 maximum $^3H-morphine$ binding간에는 유의한 역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상의 실험성적으로 흰쥐 뇌내 beta-endorphin함량과 수용체는 유의란 일중변동을 일으키고 opiate receptor binding의 일중변동은 beta-·endorphin함량변동에 따른 receptor regulation에 의함을 시사하며 또한 지속적인 암적응을 포함하여 수종 중추에 작용하는 약물들이 endorphin함량 일중변동을 변동시킬 수 있음을 보여 준다.

  • PDF

흰쥐의 난소제거로 유발한 골다공증에 대한 홍화씨의 IGFs, IGF binding protein-3 그리고 BALP에 대한 혈청내 효과 (Effects of Safflower Seeds on the Serum Levels of Insulin-like Growth Factors,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3 and BALP in Osteoporosis Induced-ovariectomized Rats)

  • Kim, Soo-mi;Park, In-hyuk;Kim, Nam-soo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63-273
    • /
    • 2003
  • 본 연구는 흰쥐의 난소제거로 유발한 골다공증에 대한 흥화씨(Carhamus inctorius L)의 투여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혈청내 호르몬과 골소주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동물은 4개월 령의 흰쥐를 난소절제를 실시하여 골다공증을 유발 시킨 후 실험에 이용하였으며 30일간 격일 간격으로 0.03g/kg의 용량을 투여 하였다. 혈청 내에서 Insulin-like Growth Factors,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3 (IGFBP-3), Estrogen, Bone-specific alkaline phosphotase, Calcium, and Phospotase를 매 10일 간격으로 측정하였으며 비골의 골간을 채취하여 조직 형태학적인 검사를 실시하였고 체중에 대한 대퇴골 무게를 측정하였다. 홍화씨 투여 10일과 20일에서는 혈청내 IGF-I, IGF-II그리고 IGFBP-3의 변화는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는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으나 홍화씨 투여 30일에 있어서는 IGF-I, IGF-II그리고 IGFBP-3의 변화가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높은 유의서 있는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p<0.05). Bone alkaline phosphatase(BALP)에 있어서도 홍화씨 투여 30일 에 가장 많은 변화가 있었으나 estrogen과 체중에 대한 대퇴골의 무게에 있어서는 유의성 있는 변화를 관찰하지 못했다. 오히려 이시기에 난소를 절제하지 않는 대조군의 estrogen치가 높게 나타났다. 난소절제로 골다공증을 유발시킨 흰쥐에 있어서 흥화씨의 투여는 혈청내 IGFs, IGFBP-3 and BALP을 높임으로서 골다공증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됩니다.

암종양유전자 SETDB1과 FosB 발현에 대한 p53의 음성 조절기작 (Negative Regulation of Tumor Suppressor p53 at the Promoter Regions of Oncogenic SETDB1 and FosB Genes)

  • 윤현지;나한흠;김근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12호
    • /
    • pp.1070-1077
    • /
    • 2020
  • 암세포에 항암제를 처리하게 되면, 세포증식, 이동성 또는 약물 내성과 관련된 많은 유전자들의 발현 변화가 발생하며, 유전자 발현 변화는 상호간의 조절 네트워크에 의해 밀접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고 추측된다. 본 연구에서 p53 유전자 유무가 다른 A549와 H1299 인간 폐암세포에 독소루비신을 처리하면, 원종양유전자인 FosB의 발현은 증가하지만, 원종양유전자인 SETDB1의 발현은 감소하지만, 단백질 발현의 양적인 차이가 발생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TF motif binding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SETDB1과 FosB 프로모터지역에서의 p53단백질의 결합가능성을 분석한 결과, SETDB1의 경우 18부위, FosB의 경우 21 부위의 p53 결합부위를 예측할 수 있었다. SETDB1과 FosB 프로모터의 subcloning하여 luciferase 분석을 수행한 결과, p53은 SETDB1과 FosB을 음성적으로 조절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H1299 세포에 p53의 과발현은 SETDB1 과 FosB의 발현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RT-PCR, western blot, qPCR, 면역염색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본다면, p53에 의한 SETDB1과 FosB 유전자 발현 조절은 항암제 처리과정에서 나타나는 암세포의 사멸과 생존에 대한 기능적 조절 네트워크로 사료된다.

蜈蚣(오공) 약침액(藥鍼液)이 LPS로 처리된 RAW 세포주(細胞柱)의 유전자(遺傳子) 발현(發顯)에 미치는 영향(影響) (Microarray analysis of gene expression in raw cells treated with scolopendrae corpus herbal-acupuncture solution)

  • 배은희;이경민;이봉효;임성철;정태영;서정철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3권3호
    • /
    • pp.133-160
    • /
    • 2006
  • Objectives : Scolopendrae Corpus has a broad array of clinical applications in Korean medicine, including treatment of inflammatory conditions such as arthritis. To explore the global gene expression profiles in human Raw cell lines treated with Scolopendrae Corpus herbal-acupuncture solution (SCHAS), cDNA microarray analysis was performed. Methods : The Raw 264.7 cells were treated with lipopolysaccharide (LPS), SCHAS, or both. The primary data was normalized by the total spots of intensity between two groups, and then normalized by the intensity ratio of reference genes such as housekeeping genes in both groups. The expression ratio was converted to log2 ratio. Normalized spot intensities were calculated into gene expression ratios between the control and treatment groups. Greater than 2 fold changes between two groups were considered to be of significance. Results : Of the 8 K genes profiled in this study, with a cut-off level of two-fold change in the expression, 20 genes (BCL2-related protein A1, MARCKS-like 1, etc.) were upregulated and 5 genes (activated RNA polymerase II transcription cofactor 4, calcium binding atopy-related autoantigen 1, etc.) downregulated following LPS treatment. 139 genes (kell blood group precursor (McLeod phenotype), ribosomal protein S7, etc.) were upregulated and 42 genes (anterior gradient 2 homolog (xenopus laevis), phosphodiesterase 8B, etc.) were downregulated following SCHAS treatment. And 10 genes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intergeneic sequence 4-1,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1, etc.) were upregulated and 8 genes (spermatid perinuclear RNA binding protein, nuclear receptor binding protein 2, etc.) were downregulated following co-stimulation of SCHAS and LPS. Discussions : It is thought that microarrays will play an ever-growing role in the advance of our understanding of the pharmacological actions of SCHAS in the treatment of arthritis. But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concretely prove the effectiveness of SCHAS.

  • PDF

백서에서 동통에 미치는 Phenobarbital 효과의 재평가 (Reevaluation of the Effect of Phenobarbital on the Response to Pain in Rat)

  • 소병겸;김기원;고명규;양원모;조규박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88-95
    • /
    • 1986
  • 백서에서 열판법을 이용하여 과민동통을 일으키는 약물로 알려진 phenobarbital의 동통에 대한 효과를 재검토하고 그 기전을 알고저 phenobarbital 단기 또는 장기처리에 의한 뇌내 ${\beta}-endorphin$함량, opiate 수용체 및 시험관내 실험으로 functional opiate 수용체의 변동유무를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마취에 미달하는 용량의 phenobarbital 1회 복강내 투여는 일시적인 HPL단축에 이어 이를 지연시켰고 phenobarbital 장기 처리는 HPL을 현저히 지연시켰다. 2) Naloxone 자체는 HPL을 현저히 단축시켰고, naloxone처리는 phenobarbital의 HPL 지연 효과를 억제하였다. 3) Phenobarbital 1회 복강내 투여는 뇌내 ${\beta}-endorphin$ 함량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phenobarbital 장기처리는 이를 현저히 증가시켰다. 4) Phenobarbital 1회 복강내 투여는 [3H]-morphine binding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phenobarbital 장기처리는 Kd치와는 달리 Bmax를 현저히 감소시켰다. 5) Phenobarbital 장기처리에 의한 HPL변동, 뇌내 ${\beta}-endorphin$함량변동 그리고 opiate receptor Bmax변동 삼자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6) 적출vas deferens 표본에서 phenobarbital 장기처리는 morphine의 ID50은 증가시키고 maximum effect는 감소시키나 naloxone에 대한 $pA_2 $치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상의 실험성적은 phenobarbital이 일시적인 과민동통 효과에 이어 진통효과를 갖고 있으며, phenobarbital의 진통효과는 뇌내 ${\beta}-endorphin$함량 증가와 이로 인한 functional opiate 수용체의 숫적 변동에 기인함을 시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