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g data

검색결과 6,114건 처리시간 0.041초

빅데이터 산업 활성화 전략 연구 (Characterizing Business Strategy in a New Ecosystem of Big Data)

  • 유순덕;최광돈;신선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4호
    • /
    • pp.1-9
    • /
    • 2014
  • 본 연구는 빅데이터 생태계의 개념 및 구성요소의 역할과 책임을 파악하여 빅데이터 산업이 활성화되기 위해서 필요한 전략을 도출하였다. 빅데이터 생태계의 구성요소는 거버넌스, 데이터 보유자, 서비스 이용자, 서비스 제공자, 인프라 제공자로 5개 구분하였다. 5개의 구성요소 간 역할과 책임을 통해 총 11개의 활성화 전략을 도출하였다. 또한 빅데이터 산업 활성화를 위해 선행연구자들이 주장한 내용을 요약 정리하여 총 12개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빅데이터 구성요소 간 활성화방안과 선행연구자들이 주장한 내용을 결합하여 본 연구에서 총 13개의 빅데이터 산업의 활성화 전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빅데이터 산업 활성화 전략이 빅데이터 사업 및 정책방향과 계획 수립의 기본자료로 활용되기 위하여 빅데이터 산업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에너지 빅데이터를 수용하는 빅데이터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Big Data System for Energy Big Data)

  • 송민구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24-32
    • /
    • 2018
  • 본 논문은 산업 현장과 민간에서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에너지 빅데이터를 수용하는 빅데이터 시스템을 제안한다. 구축된 빅데이터 시스템은 하둡(Hadoop) 기반이며, 빅데이터 처리에 있어 인메모리(in-memory) 분산처리 컴퓨팅을 지원하는 스파크(Spark) 프레임워크가 동시에 적용되었다. 본문에서는 지역난방에 사용되는 열에너지 형태의 빅데이터에 초점을 두어, 입출력되는 에너지의 특성을 고려하며 실시간 수집되는 빅데이터를 적재, 관리, 처리 및 분석하는 방법을 다룬다. 이 때, 외부에서 유입되는 빅데이터는 시스템 내부에 설계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에 따라 저장하고 관리되며, 저장된 빅데이터는 설정된 목적에 따라 처리하고 분석된다. 제안된 빅데이터 시스템과 더불어 지역난방과 관련한 복수의 실증현장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열에너지 빅데이터에 대해 시스템이 활용된 사례를 기술한다.

The Impact of Big Data Investment on Firm Value

  • Min, Ji-Hong;Bae, Jung-Ho
    • 유통과학연구
    • /
    • 제13권9호
    • /
    • pp.5-11
    • /
    • 2015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insights that can be used for deliberate decision making around challenging big data investments by measuring the economic value of such big data implementation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We perform empirical research through an event study. To this end, we measure actual abnormal returns of companies that are triggered by their investment announcements in big data, or firm size information, during the three-year research period. The research period targets a timeframe after the introduction of big data at Korean firms listed on the Korea stock markets. Results - Our empirical findings discover that on the event day and the day after, the abnormal returns are significantly positive. In addition, our further examination of firm size impacts on the abnormal returns does not show any evidence of an effect. Conclusions - Our research suggests that an event study can be useful as an alternative means to measure the return on investment (ROI) for big data in order to lessen the difficulties or decision making around big data investments.

Big Data Security and Privacy: A Taxonomy with Some HPC and Blockchain Perspectives

  • Alsulbi, Khalil;Khemakhem, Maher;Basuhail, Abdullah;Eassa, Fathy;Jambi, Kamal Mansur;Almarhabi, Khalid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7호
    • /
    • pp.43-55
    • /
    • 2021
  • The amount of Big Data generated from multiple sources is continuously increasing. Traditional storage methods lack the capacity for such massive amounts of data. Consequently, most organizations have shifted to the use of cloud storage as an alternative option to store Big Data. Despite the significant developments in cloud storage, it still faces many challenges, such as privacy and security concerns. This paper discusses Big Data, its challenges, and different classifications of security and privacy challenges. Furthermore, it proposes a new classification of Big Data security and privacy challenges and offers some perspectives to provide solutions to these challenges.

Agriculture Big Data Analysis System Based on Korean Market Information

  • Chuluunsaikhan, Tserenpurev;Song, Jin-Hyun;Yoo, Kwan-Hee;Rah, Hyung-Chul;Nasridinov, Aziz
    •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 /
    • 제6권4호
    • /
    • pp.217-224
    • /
    • 2019
  • As the world's population grows, how to maintain the food supply is becoming a bigger problem. Now and in the future, big data will play a major role in decision making in the agriculture industry. The challenge is how to obtain valuable information to help us make future decisions. Big data helps us to see history clearer, to obtain hidden values, and make the right decisions for the government and farmers. To contribute to solving this challenge, we developed the Agriculture Big Data Analysis System. The system consists of agricultural big data collection, big data analysis, and big data visualization. First, we collected structured data like price, climate, yield, etc., and unstructured data, such as news, blogs, TV programs, etc. Using the data that we collected, we implement prediction algorithms like ARIMA, Decision Tree, LDA, and LSTM to show the results in data visualizations.

데이터 경제 활성화를 위한 빅데이터 플랫폼 사례 분석 및 구축 전략 (Big Data Platform Case Analysis and Deployment Strategies to Revitalize the Data Economy)

  • 김배현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73-78
    • /
    • 2021
  • 빅데이터는 초연결·초지능·초융합으로 대표되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동력으로 이노베이션 창출, 비즈니스 모델 발굴을 위한 데이터 공유, 연계·활용이 중요하다. 그러나 빅데이터 플럇폼이 공유·연계를 고려하지 않고 폐쇄적으로 구축될 경우 양질의 풍부한 데이터 확보 및 활용이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은 데이터 생산·구축 및 연계·유통을 활성화 할 수 있도록 빅데이터 플랫폼의 다양한 사례를 비교·분석하여 빅데이터 플랫폼 인프라의 발전 방향을 제시한다.

A Keyword-Based Big Data Analysis for Individualized Health Activity: Focusing on Methodological Approach

  • 김한별;배근표;허준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540-543
    • /
    • 2017
  • It will be possible to solve some of the major issues in our society and economy with the emerging Big Data used across 21st century global digital economy. One of the main areas where big data can be quite useful is the medical and health area. IT technology is being used extensively in this area and expected to expand its application field further. However, there is still room for improvement in the usage of Big Data as it is difficult to search unstructured data contained in Big Data and collect statistics for them. This limits wider application of Big Data. Depending on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method, the results from a Big Data can be varied. Some of them could be positive or negative so that it is essential that Big Data should be handled adequately and appropriately adapting to a purpose. Therefore, a Big Data has been constructed in this study to applying Crawling technique for data mining and analyzed with R. Also, the data were visualized for easier recognition and this was effective in developing an individualized health plan from different angles.

기업의 빅데이터 활용 수준 진단지표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dicator for the Level Diagnosis of Big Data-Utilizing companies)

  • 추동균;한창희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1권1호
    • /
    • pp.53-67
    • /
    • 2014
  • In recent years, more data is being generated for the activation of the SNS, the spread of Smartphones and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Therefore, it is to collect large amounts of data, analyze and ensure meaningful information has become important. The use of these data are formed on the global trend. Big data so-called, has attracted attention as a source of new business. Big Data can then give us the opportunity to be able to create a new customer and diversify the business. So, many companies have investment and effort for big data utilization. However, technology, infrastructure, human resources is different for each of the compan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agnose the level of big data utilization companies. In this study, through a literature review of existing, we derived the success factors for the big data utilization. And developed a diagnostic indicator that allows success factors derived, can be used to determine levels of big data utilization of the company. In addition, as a development of diagnostic indicators, were carried out case studies to diagnose company. Through this study,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be able to be reflected in the strategy of big data utilization company.

기업의 빅데이터 투자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effect of Big-data investment on the Market value of Firm)

  • 권영진;정우진
    • 지능정보연구
    • /
    • 제25권2호
    • /
    • pp.99-122
    • /
    • 2019
  • IDC(International Data Corporation) 사(社)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에는 2016년에 생성된 데이터의 10배에 달하는 163제타바이트의 데이터가 생성될 것이고 그 주체의 비중은 소비자에서 기업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한다. 이러한 소위 '빅데이터의 물결'은 도래하고 있고 그 파장은 산업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따라서, 방대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기업의 관점에서 그 어느 때보다 더 중요하다. 하지만, IT 투자에 대한 효과를 측정한 선행 연구는 다수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빅데이터 투자 효과를 측정한 선행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해당 투자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한다면 기업의 의사 결정을 도울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효율적 시장 가설을 이론적 바탕으로 둔 사건연구방법론(Event Study Methodology)을 적용하여, 기업의 빅데이터 투자가 시장 투자자들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또한, 보다 심층적으로 이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5가지 하위 변수를 설정했고 그 내용은 기업 크기 구분, 산업 구분(Finance와 ICT), 투자 구축 완료 구분, 벤더 유무 구분이다. 분석 결과, 91개 기업은 빅데이터 투자 공시 이후 시장 가치가 평균 0.92% 상승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특히 Finance 기업, non-ICT 기업, 시가 총액이 작은 기업, 빅데이터 전문 벤더 기업을 통해 투자한 기업, 그리고 빅데이터 시스템이 구축 완료됐다는 공시에 해당하는 기업의 시장 가치가 두드러지게 상승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빅데이터 투자 효과를 측정한 선행 연구가 거의 전무하다는 점에서 학문적인 의의를 지니고, 빅데이터 투자를 고려 중인 기업 의사 결정자들에게 실질적인 참고 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실무적인 시사점을 갖는다.

공간빅데이터 연구 동향 파악을 위한 토픽모형 분석 (Topic Model Analysis of Research Trend on Spatial Big Data)

  • 이원상;손소영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64-73
    • /
    • 2015
  • Recent emergence of spatial big data attracts the attention of various research groups. This paper analyzes the research trend on spatial big data by text mining the related Scopus DB. We apply topic model and network analysis to the extracted abstracts of articles related to spatial big data. It was observed that optics, astronomy, and computer science are the major areas of spatial big data analysis. The major topics discovered from the articles are related to mobile/cloud/smart service of spatial big data in urban setting. Trends of discovered topics are provided over periods along with the results of topic network. We expect that uncovered areas of spatial big data research can be further explo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