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es

검색결과 166건 처리시간 0.025초

A study on the Beehive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using a Hornet Sound Analysis

  • Kim, Joon Ho;Han, Wook;Chung, Wonki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3호
    • /
    • pp.393-396
    • /
    • 2022
  • Recently, rapid climate change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ecosystem of honeybees. In addition, the problem of Vespa Hornets invasion of colonies has a fatal impact on the bee ecosystem, independent of climate change. Especially in late summer. This study relates to a method for preventing Vespa Hornets attack.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Vespa Hornets sound detection device was developed by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sound of a Vespa Hornets and applying IoT technology. The developed device detects the sound of a Vespa Hornets when Vespa Hornets appears around the hive of the bees and sends a signal to automatically close the door of the beehive. The device that receives the signal drives the motor that controls the honeycomb door to close the beehive door. The Vespa Hornets sound detection device operates until no Vespa Hornets sound is detected. The system developed by us is expected to be installed in the beehives of actual beekeeping farms to dramatically reduce the damage caused by by Vespa Hornets.

Honey bees and their brood: a potentially valuable resource of food, worthy of greater appreciation and scientific attention

  • Ghosh, Sampat;Meyer-Rochow, Victor Benno;Jung, Chuleui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5권4호
    • /
    • pp.293-304
    • /
    • 2021
  • Despite the consumption of bee brood in several parts of the world, particularly in the tropical areas, the practice has received comparatively little attention. We have reviewed all the available information on the nutrient composition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of honey bee workers belonging to different species and subspecies. Noticing the competent nutrient composition of, in particular, honey bee brood, pupae, and prepupae, we suggest that they could be a potential source of human nutrition as well as animal feed. Moreover, drone brood is an ideal candidate for use as a food or as food ingredient. However, to analyze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different honey bee species remains a task for further analysis.

말벌 집 제거용 초경량 비행장치의 개발 (Development of an Ultra Light Flying Device for Remove the Vespiary)

  • 이근출;박경진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6권3호
    • /
    • pp.395-400
    • /
    • 2023
  • Recently, the number of hornet is rapidly increasing because of change in the ecological climate. It gives a sense of threat to the people and damages the beekeeping industry as a predator of honey bees. Firefighters are working to remove hornet and vespiary, but it has been reported that it is difficult to remove at high altitudes. In this study, an ultra-light flying device was developed to remove vespiary. It has been developed in four types: Drug spray type, Clamp type, Cutter type, and Scraper type, which can be used as field-customized equipment. Therefore, the developed equipmen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safe field activities of firefighters.

중국회도문(中國會道門) 소고(小考)

  • 한용수
    • 대순사상논총
    • /
    • 제16권
    • /
    • pp.167-182
    • /
    • 2003
  • The societies of HuiDaoMen, appeared upon the scene of history in the later feudal age of china, were religious secret organizations whose adherents resisted their government or powerful families. Generally, HuiDaoMens are grouped into political ones and religious ones. This distinction, however, comes from on which characteristics they laid emphasis, because both of regional and political goal appear in most of HuiDaoMens. Although those contemporary governments ordinarily called them Dow-Bees, which were groups of burglars without any political goal or regional ideal, HuiDaoMens are quite distinguishable from them. So, it is possible to say that the requisites of HuiDaoMen were to be a secret society, to be popular, to be religious, to be political. That is, HuiDaoMens should not be understood as mere superstitious secret group, but religious societies giving comforts to people as popular societies in feudal age. It is very important to have correct understandings on these HuiDaoMens, because they firstly appeard in the middle years of Ming(明) dynasty, and considerably affected the progress of Chinese history. Now I expect upcoming researches on them to bring into focus various aspects related to contemporary and social circumstances.

  • PDF

한국산 미기록 벌 Halictus hedini hedini (벌목: 꼬마꽃벌과)에 대한 보고 (A New Record of Bee Halictus hedini hedini (Hymenoptera: Halictidae) from South Korea)

  • 유영혁;김효중;이흥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3권1호
    • /
    • pp.63-66
    • /
    • 2024
  • Halictidae 전 세계적으로 3,500종 이상 발견된 큰 그룹이며 사람들의 땀에 이끌리는 특성을 보여 Sweat bee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이번 연구에서는 꼬마꽃벌과에 속하는 Halictus hedini hedini Blüthgen, 1934을 한국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 본 종의 기재, 분포정보, 그리고 삽화를 제공한다.

Fipronil의 꿀벌 (Apis mellifera)에 대한 위해성 평가 (Risk Assessment of Fipronil on Honeybee (Apis mellifera))

  • 김병석;양유정;박연기;정미혜;유아선;박경훈;안용준
    • 농약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9-44
    • /
    • 2009
  • 벼농사용 살충제인 fipronil의 비의도적 노출에 의한 꿀벌(Apis mellifera L.)의 피해를 확인하기 위해 급성독성시험, 엽상잔류독성시험, cage를 이용한 소규모야외시험을 실시하였다. 급성접촉독성시험에서 24시간과 48시간의 $LD_{50}$은 각각 0.008, $0.005{\mu}g$ a.i./bee 로 꿀벌에 매우 강한 급성독성을 보였으며 급성위해지수(QHc)는 12,500으로 매우 높은 수준이었다. 엽상잔류독성시험에서는 피프로닐 액상수화제 살포 후 28일까지 90%이상 치사율을 보여 장기간 꿀벌에 독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때 fipronil의 표면부착잔류량(dislodgeable foliar residue)을 분석한 결과 $DT_{50}$은 9일, $DT_{90}$은 31일이었다. 야외시험의 결과에서도 28일의 치사율이 40%로 조사되어 실내 엽상잔류독성시험과 유사한 잔류독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fipronil은 꿀벌에 대한 급성독성이 매우 강하면서 장기간의 잔류독성이 있어 잎 표면의 매우 낮은 잔류량으로 꿀벌에 피해를 줄 가능성이 매우 높은 살충제이다. 따라서 재배작물뿐만 아니라 살포지역 인근의 밀원식물에 약제살포시 바람에 날려 오염될 경우 화분매개용 꿀벌과 자연생태계 유용곤충에 위해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꿀벌이 왕성한 활동을 하는 시기에는 야외살포를 금지하여야 하며, 궁극적으로 야외생태계 유용곤충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실내사용 목적으로만 사용되도록 제한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전국 야생 벌목 분포에 대한 기후요인 영향 연구 (Effects of Climatic Factors on the Nationwide Distribution of Wild Aculeata (Insecta: Hymenoptera))

  • 유동수;권오창;신만석;김정규;이상훈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03-317
    • /
    • 2022
  • 온실가스 배출 증가에 의한 기후변화는 화분매개곤충과 식물과의 생태적 상호작용인 수분생태계와 농업생태계를 포함한 자연생태계를 변화시킬 수 있다. 특히 수분생태계에서 중요한 야생벌(wild bee)은 기후변화에 의해 감소되고 있어서 결국 농업경제, 현화식물의 생태활동, 나아가 전체 생물종 다양성에 악 영향을 끼치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지구온난화에 의해 한반도(남한)에서도 매년 기온이 상승하고 있고, 그에 따른 기후변화 발생으로 한반도 내 야생벌의 생태활동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남한)에서 출현하는 야생벌(꿀벌상과, 말벌상과, 청벌상과)의 분포와 기후요인과의 관계를 검정하기 위하여, 2017년(37 조사지점)에서 2018년 (14 조사지점)까지 총 51개 조사지점을 대상으로 말레이즈 트랩을 이용하여 야생벌류의 출현현황을 파악하였다. 형태 및 문헌을 통해 동정한 야생벌류와 산림기후대에 따른 분포는 평균기온, 적산온도와 상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공통사회 경제경로(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SSP) 시나리오의 2-4.5와 5-8.5버전으로 BIOMOD 종분포 모형에 따라 남한 전역에서 출현한 야생벌과 기후대별로 특이적으로 출현한 종의 서식지 분포 변화를 예측하여 현재의 종 서식지 분포에서, 2050년과 2100년에 북쪽으로 서식지가 이동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지구온난화가 지속될 경우 국내 야생벌의 분포 변화가 일어 날 수 있고, 그로 인한 한반도의 생태계 변화가 야기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기후변화에 따른 수분생태계 및 그와 관련된 영향에 대한 연구와 야생벌 관리를 위한 정책수립을 위해 참조할 수 있는 연구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에틸포메이트의 비표적생물에 대한 급성독성 및 sodium silicate의 약해저감 효과 (Acute toxicity of ethyl formate to nontarget organisms and reduction effect of sodium silicate on ethyl formate-induced phytotoxicity)

  • 김경남;이유빈;김유림;김동현;김채은;조예린;박준영;유용하;이병호;이성은
    • 환경생물
    • /
    • 제41권3호
    • /
    • pp.193-203
    • /
    • 2023
  • 에틸포메이트(Ethyl formate)는 자연상에서 발생되는 천연살충제로서 훈증방식으로 검역단계에서 해외로부터 유입되는 해충의 방제를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메틸브로마이드의 대체제로서 주로 사용되며 인축에 독성이 약하고 식물에 대한 약해가 적다. 이러한 에틸포메이트를 농업해충방제를 훈증제로 사용하기 전에 유용생물체에 대한 독성과 수박, 애호박, 참외에 대한 식물독성 및 발생한 식물독성의 저감화 방안을 강구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에틸포메이트 2시간 훈증처리 후 지렁이, 꿀벌, 누에에 대한 LC50 값은 각각 39.9, 7.09, 17.9 g m-3였다. EF에 대한 감수성 정도는 LC50 값 기준 지렁이, 누에, 꿀벌 순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에틸포메이트 훈증처리는 꿀벌에 대하여 강한 독성을 유발하였다. 식물독성은 7.5 g m-3 농도로 처리된 수박 잎에서 관찰되었으며 10.0 g m-3 농도로 처리 시 수박 잎의 가장자리는 까맣게 타들어 가는 산에 의한 약해가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다른 박과 식물인 애호박 및 참외에는 10 g m-3 농도처리 시 잎에 강한 약해를 보였고 이를 저감하기 위하여 사용된 sodium silicate는 10% 및 20% 처리 시 약해의 저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에틸포메이트 훈증처리 시 비표적생물에 대한 급성독성연구와 대상작물의 약해발생을 저감하는 연구는 에틸포메이트의 효율적인 농업해충 방제를 위한 중요한 결과를 도출했다.

농약 혼용에 따른 꿀벌유충 독성의 상승 및 상쇄 영향 (Synergistic and Antagonistic Interactions for Pesticide mixtures to Honeybee Larvae Toxicity)

  • 백민경;임정택;전경미;박경훈;최용수;이명렬;배철한;김진호;문병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41-246
    • /
    • 2016
  • BACKGROUND: Recently, the widespread distribution of pesticides in the hive has been of concern about pesticide exposure on honeybee (Apis mellifera L.) health. Larval toxicity was adapted to assess the synergistic and antagonistic interaction of cumulative mortality to the honeybee larvae of the four most common pesticides detected in pollen. METHODS AND RESULTS: Acetamiprid($3.0{\mu}l/L$), chlorothalonil ($803.0{\mu}l/L$), coumaphos ($128.0{\mu}l/L$), and tau-fluvalinate ($123.0{\mu}l/L$) were tested in combination; binary, ternary and four component mixture. Larvae were exposed to four pesticides mixed in diet at the average levels detected in pollen. As a result, synthetic toxicity was observed in the binary mixture of acetamiprid with coumaphos. The binary and ternary component mixtures of tested pesticides have mostly demonstrated additive effect in larval bees. The significant antagonistic effects were found in four parings of mixtures including chlorothalonil added to acetamiprid/tau-fluvalinate or acetamiprid/coumaphos/tau-fluvalinate, and tau-fluvalinate added to acetamiprid/chlorothalonil or acetamiprid/coumaphos/chlorothalonil. CONCLUSION: Interactions between combinations of four pesticides showed mostly additive or antagonistic effects in larval bees. Therefore, predicting the larval mortality of pesticides mixture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single pesticide may actually overestimate the risk. We suggest that pesticide mixture in pollen be evaluated by adding their toxicity together for complete data on interactions.

꿀벌 외래 해충, 작은벌집밑빠진벌레(Aethina tumida Murray, 1867)의 초기 발견 봉장 내 공간 분포 특성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a Newly Invaded Honeybee Pest, Aethina tumida Murray, 1867 (Coleoptera: Nitidulidae) in an Apiary Where it was First Detected)

  • 홍석민;정철의
    • 한국양봉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63-170
    • /
    • 2017
  • 꼬마벌집밑빠진벌레(SHB, Aethina tumida Murray(Coleoptera : Nitidulidae))는 벌통 내부에 소비와 저장식량에 피해를 주는 꿀벌 해충이다. 국내 Apis mellifera 벌통에 대한 SHB의 최초 피해 보고는 2016년 9월 23일 경남 밀양시에서 보고되었다. 그 후, 2016년 10월 5일 밀양시 양봉장에서 벌통 내부와 벌통 입구 30cm내에서 SHB 공간 분포를 조사했습니다. 총 169개의 벌통을 조사하였다. 벌통 내부에서는 SHB 유충과 성충이 발견되었으며, 토양 내에서는 성충, 유충 그리고 번데기가 발견되었다. 성충 SHB가 발견된 벌통 중 61% 벌통 내 꿀벌이 존재하였으나, 유충 SHB가 발견된 벌통에서는 꿀벌이 존재하지 않았으며, 유충에 의한 봉군 파괴를 뜻하였다. 벌통 내 꿀벌이 존재하는 경우 꿀벌 개체수가 많을수록 SHB의 밀도가 높았다. 분산 계수(CD)는 벌통 내부와 토양 내부 간의 중요한 군집 분포를 보였다. CD는 토양 내부보다 벌통 내부에서 훨씬 높았다. SHB에 의해 꿀벌이 피해를 입어 벌통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여 벌통 내 봉군의 붕괴를 일으킨다는 것을 뜻한다. 또한 10월에도 여전히 벌통 내부에서 SHB의 발육과 번식이 이루어져 늦은 가을까지 SHB의 개체군이 증가할 수 있다. SHB의 한국환경 적응에 대한 더 자세한 분석은 꿀벌에 새롭게 발견된 신규 외래해충의 관리 전략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